호르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생물학]]
{{학술}}
'''호르몬'''(Hormone)은 우리 몸의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화학물질 중 하나로 체내에서 만들어지며, 척추동물에 한정하여 대부분 종 특이성이 없다.
'''호르몬'''(Hormone)은 우리 몸의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화학물질 중 하나로 체내에서 만들어지며, 척추동물에 한정하여 대부분 종 특이성이 없다.


==개요==
==개요==
호르몬은 체내의 내분비샘에서 만들어져 적은 양으로 우리 몸의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화학물질로, 혈액을 통하여 이동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호르몬은 체내의 내분비샘에서 만들어져 적은 양으로 우리 몸의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화학물질로, 혈액을 통하여 이동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그 호르몬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체''를 가진 '''표적 세포'''(target cell)에만 작용한다.
* 그 호르몬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체를 가진 표적 세포(target cell)에만 작용한다.
* 미량만으로도 생리작용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결핍증이나 과다증이 나타난다.
* 미량만으로도 생리작용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결핍증이나 과다증이 나타난다.
* 척추동물에 한하여, 대부분 종 특이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항원으로 작용하지 않는다<ref>이에 대해서는 예외가 어느 정도 있다.</ref>.
* 척추동물에 한하여, 대부분 종 특이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항원으로 작용하지 않는다<ref>이에 대해서는 예외가 어느 정도 있다.</ref>.
23번째 줄: 21번째 줄:
** 후엽
** 후엽
*** 옥시토신(Ocytocin): 자궁 수축을 유도한다.
*** 옥시토신(Ocytocin): 자궁 수축을 유도한다.
*** 항이뇨 호르몬(ADH, 바소프레신): 이뇨를 막아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한다.
*** 항이뇨 호르몬(ADH; e.g. 바소프레신): 이뇨를 막아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한다.
* 갑상샘
* 갑상샘
** 티록신: 세포호흡을 촉진시킨다.
** 티록신: 세포의 물질대사를 촉진시킨다.
** 칼시토닌: 혈중 칼슘 이온의 농도를 낮춘다.
** 칼시토닌: 혈중 칼슘 이온의 농도를 낮춘다.
* 부갑상샘
* 부갑상샘
31번째 줄: 29번째 줄:
* 부신
* 부신
** 겉질
** 겉질
*** 당질 코르티코이드(코티솔): 혈당량을 높인다.
*** 당질 코르티코이드(e.g. 코티솔): 혈당량을 높인다.
***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알도스테론): 콩팥에서의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혈압을 높인다.
*** 무기질 코르티코이드(e.g. 알도스테론): 콩팥에서의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혈압을 높인다.
** 속질
** 속질
***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글리코젠을 분해하여 혈당량을 높이고, 심장 박동을 촉진시킨다.
***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글리코젠을 분해하여 혈당량을 높이고, 심장 박동을 촉진시킨다.
39번째 줄: 37번째 줄:
*** 글루카곤: 글리코젠을 분해하여 혈당량을 높인다.
*** 글루카곤: 글리코젠을 분해하여 혈당량을 높인다.
** β-세포
** β-세포
*** 인슐린: 글리코젠을 합성하여 혈당량을 낮춘다.
*** [[인슐린]]: 글리코젠을 합성하여 혈당량을 낮춘다.
* 위장관
** [[그렐린]]: 식욕을 증가시킨다.
* 생식샘
* 생식샘
** 정소
** 정소
*** 테스토스테론: 남성의 2차 성징 발현을 촉진시킨다.
*** [[테스토스테론]]: 남성의 2차 성징 발현을 촉진시킨다.
** 난소
** 난소
*** 에스트로젠: 여성의 2차 성징 발현을 촉진시킨다.
*** [[에스트로젠]]: 여성의 2차 성징 발현을 촉진시킨다.
*** 프로제스테론: 배란을 억제하고, 임신을 유지한다.
*** [[프로제스테론]]: 배란을 억제하고, 임신을 유지한다.
* 지방 세포
** [[렙틴]]: 식욕을 억제한다.


==논란==
[[비타민 D]]는 우리 몸에서 햇빛을 받으면 생성될 뿐만 아니라, 우리 몸의 생리작용을 조절하고 결핍증과 과다증이 있어 호르몬이 아니냐는 주장이 있다. 원래 비타민의 어원은 vital + amine - e<ref>나중에 아민기가 붙지 않은 비타민이 발견되어 e가 탈락했다.</ref>이고, 현재 비타민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것을 정의로 하고 있다. (나머지는 호르몬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비타민 D는 체내에서 (부족하지만) 합성되기는 하고, 이런 논거로 비타민 D가 호르몬이라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비타민 C는 다른 동물의 호르몬 역할을 한다)


==논란==
하지만 우리 몸의 호르몬은 섭취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충분히 생성되기 때문에, 비타민 D를 호르몬이라 정의하기에는 부적절하다는 주장 역시 있다.
[[비타민 D]]는 우리 몸에서 햇빛을 받으면 생성될 뿐만 아니라, 우리 몸의 생리작용을 조절하고 결핍증과 과다증이 있어 호르몬이 아니냐는 주장이 있다. 원래 비타민의 어원은 vital + amine - e<ref>나중에 아민기가 붙지 않은 비타민이 발견되어 e가 탈락했다.</ref>이고, 현재 비타민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것을 정의로 하고 있다. (나머지는 호르몬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비타민 D는 체내서 (부족하지만) 합성되기는 하고, 이런 논거로 비타민 D가 호르몬이라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비타민 C는 다른 동물의 호르몬 역할을 한다.)
 
하지만 우리 몸의 호르몬은 섭취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충분히 생성되기 때문에, 비타민 D가 호르몬이라 정의되기에는 부적절하다는 주장 역시 있다.
{{각주}}
[[분류:호르몬| ]]

2020년 6월 28일 (일) 11:51 기준 최신판

호르몬(Hormone)은 우리 몸의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화학물질 중 하나로 체내에서 만들어지며, 척추동물에 한정하여 대부분 종 특이성이 없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호르몬은 체내의 내분비샘에서 만들어져 적은 양으로 우리 몸의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화학물질로, 혈액을 통하여 이동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그 호르몬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체를 가진 표적 세포(target cell)에만 작용한다.
  • 미량만으로도 생리작용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결핍증이나 과다증이 나타난다.
  • 척추동물에 한하여, 대부분 종 특이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항원으로 작용하지 않는다[1].
  • 전달 속도는 신경보다 현저히 느리며, 효과는 오래 지속된다. 또한 신경은 근거리에만 작용하는 반면 호르몬의 작용 범위는 매우 넓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다음은 내분비샘과 호르몬의 예이다. 여기서 한 성에게만 작용하는 호르몬들은 다른 성에서도 나오지만, 작용하지 않거나 다른 방식으로 쓰인다.

  • 뇌하수체
    • 전엽
      • 성장 호르몬(GH): 뼈와 근육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티 록신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 부신 겉질 자극 호르몬(ACTH): 부신 겉질을 자극하여 두 코르티코이드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 생식샘 자극 호르몬
        • 여포 자극 호르몬(FSH): 여포의 성숙을 촉진시킨다.
        • 황체 형성 호르몬(LH): 배란을 촉진시킨다.
      • 프로락틴(Prolactin): 젖 분비를 촉진시킨다.
    • 후엽
      • 옥시토신(Ocytocin): 자궁 수축을 유도한다.
      • 항이뇨 호르몬(ADH; e.g. 바소프레신): 이뇨를 막아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한다.
  • 갑상샘
    • 티록신: 세포의 물질대사를 촉진시킨다.
    • 칼시토닌: 혈중 칼슘 이온의 농도를 낮춘다.
  • 부갑상샘
    • 파라토르몬: 혈중 칼슘 이온의 농도를 높인다.
  • 부신
    • 겉질
      • 당질 코르티코이드(e.g. 코티솔): 혈당량을 높인다.
      • 무기질 코르티코이드(e.g. 알도스테론): 콩팥에서의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혈압을 높인다.
    • 속질
      •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글리코젠을 분해하여 혈당량을 높이고, 심장 박동을 촉진시킨다.
  • 이자
    • α-세포
      • 글루카곤: 글리코젠을 분해하여 혈당량을 높인다.
    • β-세포
      • 인슐린: 글리코젠을 합성하여 혈당량을 낮춘다.
  • 위장관
  • 생식샘
  • 지방 세포
    • 렙틴: 식욕을 억제한다.

논란[편집 | 원본 편집]

비타민 D는 우리 몸에서 햇빛을 받으면 생성될 뿐만 아니라, 우리 몸의 생리작용을 조절하고 결핍증과 과다증이 있어 호르몬이 아니냐는 주장이 있다. 원래 비타민의 어원은 vital + amine - e[2]이고, 현재 비타민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것을 정의로 하고 있다. (나머지는 호르몬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비타민 D는 체내에서 (부족하지만) 합성되기는 하고, 이런 논거로 비타민 D가 호르몬이라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비타민 C는 다른 동물의 호르몬 역할을 한다)

하지만 우리 몸의 호르몬은 섭취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충분히 생성되기 때문에, 비타민 D를 호르몬이라 정의하기에는 부적절하다는 주장 역시 있다.

각주

  1. 이에 대해서는 예외가 어느 정도 있다.
  2. 나중에 아민기가 붙지 않은 비타민이 발견되어 e가 탈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