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무생: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玄戊生.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21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87년 3월 2일 전라남도 제주도 좌면 월평리(현재 제주도...)
 
잔글 (연도별 사망 제거 봇)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玄戊生.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21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현무생'''(玄戊生,1887).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21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 생애 ==
1887년 3월 2일 전라남도 제주도 좌면 월평리(현재 제주도 서귀포시 월평동)에서 출생했다. 그는 1918년 10월 5일 제주군 좌면 중문리에서 법정사 주지 김연일이 개최한 법정사 집회에서 “의군(義軍)을 일으켜 제주도에서 일본인 관리를 섬 밖으로 소탕하자”는 제의에 찬동하였고, 10월 6일 수백 명의 주민과 함께 중문리 경찰관주재소를 습격하고 불을 질렀다. 이로 인해 체포된 그는 1919년 2월 4일 벌금 30원, 노역장 유치 30일 판결을 받았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7045&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6678&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1920년 9월 29일에 사망했다.
1887년 3월 2일 전라남도 제주도 좌면 월평리(현재 제주도 서귀포시 월평동)에서 출생했다. 그는 1918년 10월 5일 제주군 좌면 중문리에서 법정사 주지 김연일이 개최한 법정사 집회에서 “의군(義軍)을 일으켜 제주도에서 일본인 관리를 섬 밖으로 소탕하자”는 제의에 찬동하였고, 10월 6일 수백 명의 주민과 함께 중문리 경찰관주재소를 습격하고 불을 질렀다. 이로 인해 체포된 그는 1919년 2월 4일 벌금 30원, 노역장 유치 30일 판결을 받았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7045&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6678&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1920년 9월 29일에 사망했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분류:대통령표창 수훈자]]
[[분류:대통령표창 수훈자]]
[[분류:서귀포시 출신]]
[[분류:서귀포시 출신]]
[[분류:1887년 출생]]
[[분류:1920년 사망]]

2023년 8월 26일 (토) 11:18 기준 최신판

현무생(玄戊生,1887).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21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1887년 3월 2일 전라남도 제주도 좌면 월평리(현재 제주도 서귀포시 월평동)에서 출생했다. 그는 1918년 10월 5일 제주군 좌면 중문리에서 법정사 주지 김연일이 개최한 법정사 집회에서 “의군(義軍)을 일으켜 제주도에서 일본인 관리를 섬 밖으로 소탕하자”는 제의에 찬동하였고, 10월 6일 수백 명의 주민과 함께 중문리 경찰관주재소를 습격하고 불을 질렀다. 이로 인해 체포된 그는 1919년 2월 4일 벌금 30원, 노역장 유치 30일 판결을 받았다.[1] 1920년 9월 29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1년 현무생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