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과 바다의 경계

코코아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4월 11일 (목) 18:42 판 (코코아봇(토론)의 편집을 Pika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해양과 바다의 경계 제3판 표지
  • Limits Oceans and Seas

해양과 바다의 경계국제수로기구(IHO)[1]에서 발간하는 간행물로 전 세계 바다의 명칭과 그 구역을 정하여 국제 해도 작성에 활용하고, 선박의 항해안전과 수로 확정, 해양학적인 활용 등을 목적으로 1929년 처음 발간한 책자이자 국제 표준 해도집이다.

코드 부호로는 S-23이라고 부르며, 1919년 런던에서 열린 제1차 국제수로회의에서 채택된 결의안을 기반으로 했으며, 이 결의에서는 안전한 항해를 위해 바다와 대양의 이름과 한계를 정의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일제강점기 때문에 회의에 참가할 수 없었지만 일본은 참가할 수 있었다. 결의문에 따르면 일본해라는 명칭은 1923년 등록돼 1929년 채택됐다. S-23의 발간 이후 전 세계의 지도 제작자들은 지도와 해도를 제작할 때 이 간행물을 근거로 하였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제1판[편집 | 원본 편집]

1929년 처음으로 간행된 초판으로 전세계 바다를 58개의 해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제2판[편집 | 원본 편집]

1929년 처음으로 간행된 초판으로 전세계 바다를 59개의 해역으로 구분하고 있다.(세부 영역까지 합치면 66개)

제3판[편집 | 원본 편집]

1952년 IHO총회에서 기존 제2판의 개정을 결의, 1953년에 발간한 해도집이다. 기존 항해자(각국의 수로관련 기관)들을 위한 해역구분을 위주로 하되, 과학적인 해양탐사 측정에 따른 결과가 부분적으로 포함되기 시작하였다.

제4판[편집 | 원본 편집]

1997년 15차 총회에서 외부용역울 줘서 일단 마무리하기로 한 뒤 4년간의 작업을 거쳐 2001년에 내놓은 판으로 본래 1986년 총회에서 회원국 투표를 거쳐 개정을 하려고 하였다가 부결된 역사가 있다. 당시 1986년의 개정안이 부결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동해의 표기 문제로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동해/일본해 병기를 주장하면서 일본해 단독 표기가 된 기존 3판까지의 S-23 사용을 거부하였고, 일본측에서는 일본해 단독 표기를 주장하여 명칭 표기 문제에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2001년의 개정판(4판)이 나올 때 까지 동해 표기 문제에 대한 합의가 불발되고, 결국 국제수로기구에서는 아예 동해 관련 부분을 통으로 공백으로 발간하기로 결정하였다.(동해의 부속 해역인 타타르 해협은 표기)

동해 표기 문제[편집 | 원본 편집]

이 해양과 바다의 경계에서 우리나라의 동해(East Sea)를 일본해(Japan Sea/Sea of Japan)로 표시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국제 지도에서 동해를 일본해라고 부르는 근거가 되어왔었다.

1929년 1판이 만들어질 당시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로 국제수로회의에 참석하여 우리의 의사를 표시할 수 없는 상태였으며, 이 당시 우리나라를 식민지배하던 일본의 의견만이 반영되어 1929년 모나코 회의에서 동해의 명칭을 국제적으로 일본해(Sea of Japan / Japan Sea)로 의결하였다.

이후 이 일본해 표기는 1953년 간행된 3판에까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이에 대한 의견을 구하던 1952년은 6.25 동란중인 상황으로 IHO에 미가입한 상태였었다.(우리나라는 1957년에 IHO에가입) 이런 상황이다 보니 당연히 이 당시에도 우리나라의 의견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로 일본해 표기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이후 1977년 11차 IHO총회에서 20년이 넘도록 사용해 온 3판의 개정을 결정할 때 비로소 한국의 의견이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해역별 지도를 삽입한 4판 개정안에 대한 투표를 1986년 회원국 투표에 붙인바 있으나 이 문제로 인해 개정판의 발간이 부결되기도 하는 등의 부침이 발생하게 되었다.

결국 작업이 지지부진해지자 IHO에서는 1997년의 15차 총회에서 외부용역을 주어 일단 마무리짓기로 하고, 4년간의 편집작업을 거쳐서 바다와 해양의 경계(S-23)을 일단 발간하게 되었다.

당시 투표가 부결된 원인 중 하나가 바로 동해의 표기 문제로 우리나라에서는 1974년부터 동해/일본해의 병기를 지속적으로 주장하였고, 일본측에서는 80년이 넘게 쓰고 있었다는 이유로 일본해 단독 표기를 주장하고 나선 것으로 현재의 동해는 남북한과 러시아, 일본 4개국이 접하고 있는 국제해역임에도 불구하고 처음 명칭을 정하는 1920년 당시 지금의 대한민국은 식민지 상태로 의견을 개진할 수 없는 상태였으며, 식민 지배국가가 일방적으로 정한 명칭이 사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거기다 막상 일본해 명칭을 정했던 일본조차도 1919년 당시 현재의 동해를 조선해만(朝鮮海灣)이라는 명칭으로 사용하고, 지금의 동중국해에 동해(東海) 명칭을 표기하는 등의 혼선을 보였으며, 동해라는 바다 명칭을 아시아 대륙의 동쪽 바다가 된다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어 일본이 주장하는 동해의 일본해 표기 자체도 1세기가 채 되지 않은 기간동안만 사용하였던 명칭이었다.

어쨌건 과거 일본도 현재의 동해에 대해 동해나 조선해 등의 이름을 썼지만 현재 대한민국이 동해 단독표기를 주장하지 않고 동해/일본해 병기를 주장한 이유 중 하나는 IHO에서 바다명칭을 정할 때 회원국간 합의에 따르게 되어있고, 여러 국가와 접하는 바다 명칭을 정할 때 하나의 이름으로 정하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합의안이 제대로 나올 때 까지는 모두 병기하도록 권고하는 것을 따른 것이다.

결국 이 동해/일본해 병기 문제로 개정판의 작업이 지지부진해서 더 이상의 작업 진척이 되지 않다가 IHO에서는 S-23의 4판에서 결국 동해에 대한 부분(챕터 7.6)은 아예 전체를 공란으로 표시한 채 개정판을 발간하였다.

이후 2020년 제2차 IHO총회에서는 기존의 종이해도 방식 표준인 S-23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하고 새로운 전자해도 표준인 S-130을 표준으로 하여 개발하기로 결의하였다. 이 합의의 주된 내용 중 하나는 디지털 해도에는 바다의 명칭을 적는 것이 아닌, 코드화된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해도에 사용하는 것이 주요 골자인데 이에 대한 한국정부와 일본정부 양측 모두 동해의 명칭 표기 문제에서 서로 자신들이 승리했다고 주장하는 묘한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일단 한국정부에서는 일본해 단독표기의 근거였던 S-23을 국제표준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결의함에 따라 일본측이 주장하는 일본해 단독표기 근거가 사라졌다는 점에 의미를 두면서 앞으로의 전자해도는 동해/일본해 그런거 없이 번호로 표기하게 되었으므로 한국이 승리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하고 있으며, 반대로 일본측은 표준으로 사용하지 않고 문헌보존학의 측면에서 S-23을 보존함에도 불구하고 일본해 단독 표기가 된 출판물인 S-23이 영구보존되기 때문에 일본해 단독표기가 문서로 영원히 남게 되었으므로 일본해가 최종 명칭으로 굳어진 것이라는 주장을 하면서 양측이 서로 정신승리를 시전중인 상황이다.

결국 동해 표기 문제와 관련해서 일본해 표기를 국제표준에서 끌어내린것은 성공했지만 식별 번호(코드)화를 하면서 동해 명칭을 병기하여 사용하는 것도 함께 사라지게 되면서 동해라는 명칭도 같이 사라져버린 상황이 된 것이며, 좀 더 들어가 보면 해도가 아닌 일반 지도에서는 기존 S-23을 그대로 참조할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으며, 해도라 하여도 "챕터7.6에 해당하는 해역(동해)의 식별 번호(코드)에 붙은 명칭이 그래서 결국 어떤 이름이냐?"는 질문에서 대한 답으로 기존 일본해 표기가 되어있는 S-23이 재소환될 수 있다는점에서 보면 무조건 일본해 명칭이 사라졌다고 보기도 어려운 측면이 있다.[2] [3][4]

각주

  1. 1921년 설립 당시에는 국제수로국 IHB명칭을 사용
  2. 참조
  3. 참조 : 1. S-23(Names and Limits of Oceans and Seas)을 기초로 한 바다속성지명과 바다경계의 획정 근거 분석 성효현, 강지현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8, no.6, pp.914-928, 2013, 1225-6633
  4. 국립해양조사원 웹페이지>해양정보>동해-국제수로기구>간행물-해양과 바다의 경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