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s>[[국뽕]] 공급원</s>
<s>[[국뽕]] 공급원</s>


'''한류'''(韓流)는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동아시아]]를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 [[한국]]의 [[대중문화]]가 인기를 얻는 현상을 가리킨다. [[영어]]로는 원어 그대로 'Hallyu' 혹은 'Korean Wave'라고 한다.
한류는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동아시아]]를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 [[한국]]의 [[대중문화]]가 인기를 얻는 현상을 가리킨다. [[영어]]로는 원어 그대로 'Hallyu' 혹은 'Korean Wave'라고 하며, [[한자]]로는 韓流라고 표기한다.


== 등장 ==
== 등장 ==
10번째 줄: 11번째 줄:


=== 동아시아가 공유하는 만화 미학 ===
=== 동아시아가 공유하는 만화 미학 ===
한류가 [[아시아]]에 묶여 있지 않고 서구까지 퍼져나갈 수 있었던 것에 대해, [[일본 문화]]를 아는 것이 한류에 대한 접근 계기가 되어 그들에게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다. 예를 들어, 서구의 한류 팬 중엔 일본 [[문화]]에 관심을 가졌다가 그 근방에 있는 [[한국 문화]]에도 관심을 갖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류가 [[아시아]]에 묶여 있지 않고 서구까지 퍼져나갈 수 있었던 것에 대해, [[일본 문화]]를 아는 것이 한류에 대한 접근 계기가 되어 그들에게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다. 예를 들어, 서구의 한류 팬 중엔 일본 [[문화]]에 관심을 가졌다가 그 근방에 있는 [[한국 문화]]에도 관심을 갖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동아시아 내적으로도 비슷한 방향의 분석이 존재한다. 과거 [[일제]]의 식민지배 하에 있던 국가들이 강제로 배워야 했던 [[일본어]]라든가 일본의 [[만화]]를 비롯한 대중 문화에 노출되었고, 이 기간은 그들에게 지우기 힘든 영향을 남겼다는 것이다. 해적판으로 몰래 구해 본 [[일본 만화]]를 보고 [[만화가]]의 꿈을 키운 사람이 성장해 유명한 만화가가 된다던가. 다만, 일제가 끼친 영향에 대한 고찰을 넘어서 [[식민지 근대화론]]이나 [[일제 강점기]]에 대한 긍정으로 비약·곡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 부분을 생각하는 입장에서 경계적 의식이 밑바탕에 깔려 있어야 한다.
한편 동아시아 내적으로도 비슷한 방향의 분석이 존재한다. 과거 [[일제]]의 식민지배 하에 있던 국가들이 강제로 배워야 했던 [[일본어]]라든가 일본의 [[만화]]를 비롯한 대중 문화에 노출되었고, 이 기간은 그들에게 지우기 힘든 영향을 남겼다는 것이다. 해적판으로 몰래 구해 본 [[일본 만화]]를 보고 [[만화가]]의 꿈을 키운 사람이 성장해 유명한 만화가가 된다던가. 다만, 일제가 끼친 영향에 대한 고찰을 넘어서 [[식민지 근대화론]]이나 [[일제 강점기]]에 대한 긍정으로 비약·곡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 부분을 생각하는 입장에서 경계적 의식이 밑바탕에 깔려 있어야 한다.
21번째 줄: 22번째 줄:
한류의 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는 IT에 기반한 미디어의 발달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트위터]]와 [[유튜브]]는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전 세계적으로 어마어마한 인기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ref> 물론 [[강남스타일]]은 한류의 맥락이 아니라 우연, 단순한 [[밈]]으로서 해석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다만 여기서 [[강남스타일]]은 구체적인 하나의 사례로서 제시된 것이지, 유일한 사례로 제시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미디어가 끼친 영향을 이해하는 데 문제될 것은 없다. </ref>  
한류의 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는 IT에 기반한 미디어의 발달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트위터]]와 [[유튜브]]는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전 세계적으로 어마어마한 인기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ref> 물론 [[강남스타일]]은 한류의 맥락이 아니라 우연, 단순한 [[밈]]으로서 해석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다만 여기서 [[강남스타일]]은 구체적인 하나의 사례로서 제시된 것이지, 유일한 사례로 제시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미디어가 끼친 영향을 이해하는 데 문제될 것은 없다. </ref>  


홍석경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홍석경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인용문2|[…] 이제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든 모든 인구가 디지털화되어 온라인상에 유통되는 모든 문화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매체 정경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br> 이것은 세계 최고의 인터넷 서비스와 속도를 자랑하는 대한민국에서는 너무 당연한 사실처럼 보인다. 그러나 한국이 이 상황에 들어선 것도 [[1990년]]대 후반의 일이며, 유럽의 경우 [[2000년]]대 중반에야 고속 인터넷 보급이 일반화되었다.<ref> http://www.huffingtonpost.com/2011/09/24/fastest-internet-speed-pando-august-2011_n_975491.html#s368157&title=2_Romania. {{날짜/출력|2012-9-13}} 참조.</ref> […] 유튜브나 데일리 모션, 각종 프로슈머 지향적인 사이트에 매일 올라오는 막대한 양의 영상 속에서 어떤 것이 가시성을 띠고 유명해지는지를 예측하는 것은 바다에 던져진 병이 다른 대륙의 해변에 닿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일일 것이다. 그런데 그 병의 양이 다른 것들보다 월등히 많고 알록달록해서 눈에 띄는 색이라면? 양적 확대를 통해 질적 현상을 설명하려는 의도는 분명히 아니지만, 한류 콘텐츠가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 속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관찰하면 한국의 앞서가는 디지털 문화가 충분조건은 아닐지언정 필요조건이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대략 [[2000년]]대 중반 이후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한 한류 콘텐츠의 동아시아 외부에서의 소비와 팬 형성은 한국의 우수한 인터넷 속도와 앞서가는 디지털 문화에 의지하고 있다.|홍석경|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풀하우스, 강남스타일, 그리고 그 이후(2013) }}
{{인용문2|[…] 이제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든 모든 인구가 디지털화되어 온라인상에 유통되는 모든 문화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매체 정경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세계 최고의 인터넷 서비스와 속도를 자랑하는 대한민국에서는 너무 당연한 사실처럼 보인다. 그러나 한국이 이 상황에 들어선 것도 [[1990년]]대 후반의 일이며, 유럽의 경우 [[2000년]]대 중반에야 고속 인터넷 보급이 일반화되었다.<ref> http://www.huffingtonpost.com/2011/09/24/fastest-internet-speed-pando-august-2011_n_975491.html#s368157&title=2_Romania. [[2012년]] [[9월 13일]] 참조.</ref> […] 유튜브나 데일리 모션, 각종 프로슈머 지향적인 사이트에 매일 올라오는 막대한 양의 영상 속에서 어떤 것이 가시성을 띠고 유명해지는지를 예측하는 것은 바다에 던져진 병이 다른 대륙의 해변에 닿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일일 것이다. 그런데 그 병의 양이 다른 것들보다 월등히 많고 알록달록해서 눈에 띄는 색이라면? 양적 확대를 통해 질적 현상을 설명하려는 의도는 분명히 아니지만, 한류 콘텐츠가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 속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관찰하면 한국의 앞서가는 디지털 문화가 충분조건은 아닐지언정 필요조건이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대략 [[2000년]]대 중반 이후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한 한류 콘텐츠의 동아시아 외부에서의 소비와 팬 형성은 한국의 우수한 인터넷 속도와 앞서가는 디지털 문화에 의지하고 있다.|홍석경|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풀하우스, 강남스타일, 그리고 그 이후(2013) }}
대충 요약하자면, 인터넷이라는 넓은 바다에서 다들 연안해군에 그치고 있을 때,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속도라는 [[항공모함]]을 무기로 대양해군으로 발돋움, 세계를 정ㅋ벅ㅋ했다는 것이다.
대충 요약하자면, 인터넷이라는 넓은 바다에서 다들 연안해군에 그치고 있을 때,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속도라는 [[항공모함]]을 무기로 대양해군으로 발돋움, 세계를 정ㅋ벅ㅋ했다는 것이다.


=== 정부의 지원 ===
=== 정부의 지원 ===
<s>우리 정부가 그럴 리가 없어!</s>  
<s>우리 정부가 그럴 리가 없어!</s>  
전반적으로, 한국 정부는 한류 초기부터 이미 한국의 문화 콘텐츠 수출 증진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를 위해 한국 정부는 법적, 재정적인 지원을 통해 독립적인(independent) 문화 콘텐츠 사업의 성장을 꾀했다.
전반적으로, 한국 정부는 한류 초기부터 이미 한국의 문화 콘텐츠 수출 증진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를 위해 한국 정부는 법적, 재정적인 지원을 통해 독립적인(independent) 문화 콘텐츠 사업의 성장을 꾀했다.  
 
실제로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로 한국은 문화 산업을 경제 위기 극복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지정했다.<ref> Shim, D. (2008). The Growth of Korean Cultural Industries and the Korean Wave. In C. B. Huat, & K. Iwabuchi, East Asian Pop Culture: Analysing the Korean Wave (pp. 15-31).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ref> 이에 따라 한국 정부를 “한류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꼽는 분석도 있다.<ref> Kim, Y. (2011). Globalization of Korean Media: Meanings and Significance. In D. K. Kim, & M.-S. Kim, Hallyu: Influence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Asia and Beyond (pp. 35-62).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실제로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로 한국은 문화 산업을 경제 위기 극복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지정했다.<ref> Shim, D. (2008). The Growth of Korean Cultural Industries and the Korean Wave. In C. B. Huat, & K. Iwabuchi, East Asian Pop Culture: Analysing the Korean Wave (pp. 15-31).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ref> 이에 따라 한국 정부를 “한류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꼽는 분석도 있다.<ref> Kim, Y. (2011). Globalization of Korean Media: Meanings and Significance. In D. K. Kim, & M.-S. Kim, Hallyu: Influence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Asia and Beyond (pp. 35-62).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ref>
</ref>
39번째 줄: 36번째 줄:


=== 서구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동아시아의 연예인 문화 ===
=== 서구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동아시아의 연예인 문화 ===
소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부분은 특히 서구에서 한류 아이돌들이, 그리고 나아가 동아시아의 아이돌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에 가깝다. 다시 홍석경(2013)의 글을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소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부분은 특히 서구에서 한류 아이돌들이, 그리고 나아가 동아시아의 아이돌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에 가깝다. 다시 홍석경(2013)의 글을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인용문2|동아시아의 연예인 문화는 서구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동아시아 문화산업에 고유한 특성이라고 보인다. […] 일본과 한국의 연예인들은 문화산업 전체에서 토털 엔터테이너로서 일해야 한다. […] 이들은 참으로 독특한 집단이다. 서구의 대부분 나라에는 한쪽에는 직업적 가수, 배우, 코미디언, 춤꾼 등 퍼포머들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그들을 초대하고 ‘사용’하는 사회자, 제작자, 그리고 일반 시청자가 있는 구조이다. 한국의 방송사가 공채했던 탤런트들은 아이돌의 등장 이전에도 드라마에만 종사했던 것이 아니라 연예 프로그램에서 입담을 풀기도, 가요 프로그램에서 노래를 부르기도 하던 ‘만능’이란 이름이 붙어 다니는 재능꾼들(‘탤런트’)이었다. […] 한국, 일본, 대만의 엔터테인먼트 사업이 생산하고 있는 아이돌들은 서구의 미디어 유명인 셀러브리티 및 스타, 그리고 동아시아의 탤런트 사이의 사각지대 속 어딘가에 위치한다.
{{인용문2|동아시아의 연예인 문화는 서구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동아시아 문화산업에 고유한 특성이라고 보인다. […] 일본과 한국의 연예인들은 문화산업 전체에서 토털 엔터테이너로서 일해야 한다. […] 이들은 참으로 독특한 집단이다. 서구의 대부분 나라에는 한쪽에는 직업적 가수, 배우, 코미디언, 춤꾼 등 퍼포머들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그들을 초대하고 ‘사용’하는 사회자, 제작자, 그리고 일반 시청자가 있는 구조이다. 한국의 방송사가 공채했던 탤런트들은 아이돌의 등장 이전에도 드라마에만 종사했던 것이 아니라 연예 프로그램에서 입담을 풀기도, 가요 프로그램에서 노래를 부르기도 하던 ‘만능’이란 이름이 붙어 다니는 재능꾼들(‘탤런트’)이었다. […] 한국, 일본, 대만의 엔터테인먼트 사업이 생산하고 있는 아이돌들은 서구의 미디어 유명인 셀러브리티 및 스타, 그리고 동아시아의 탤런트 사이의 사각지대 속 어딘가에 위치한다.


55번째 줄: 51번째 줄:


== 한류의 예 ==
== 한류의 예 ==
한류는 크게 [[드라마]], [[K-Pop]], [[온라인 게임]], [[영화]]로 나눌 수 있다.
한류는 크게 [[드라마]], [[K-Pop]], [[온라인 게임]], [[영화]]로 나눌 수 있다.  
* 분야별로, 가나다순으로 제시
* 분야별로, 가나다순으로 제시


68번째 줄: 64번째 줄:
* [[카라]]
* [[카라]]
* [[원더걸스]]
* [[원더걸스]]
* [[방탄소년단]]


=== [[온라인 게임]] ===
=== [[온라인 게임]] ===
82번째 줄: 77번째 줄:
=== 그 외 ===
=== 그 외 ===
* [[장근석]]
* [[장근석]]
<br />등등 [[추가바람]]
<br>등등 [[추가바람]]
== 유사 사례 ==
== 유사 사례 ==
* [[일류]], [[쿨 재팬]]: 日流, Japanese Wave. 한류의 일본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일류]], [[쿨 재팬]]: 日流, Japanese Wave. 한류의 일본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각주}}
{{각주}}
[[분류:대중문화]]
[[분류:대중문화]]
[[분류:대한민국의 문화]]
[[분류:대한민국의 문화]]
[[분류:문화현상]]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