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법/자주 틀리는 문법: 두 판 사이의 차이

< 한국어‎ | 문법
잔글 (코코아봇(토론)의 편집을 175.223.27.46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한국어]] [[한국어/문법|문법]] 중 자주 틀리는 문법에 대한 모음들이다.
[[한국어]] [[한국어/문법|문법]] 중 자주 틀리는 문법에 대한 모음들이다.
==- 되/돼 혼동==
==- 되/돼 혼동==
흔히 되와 돼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돼는 '되'와 '어'가 합쳐진 말이다. 따라서 되었다를 됐다라고 줄여쓸 수도 있다. '됬다'를 '되다'의 과거형이라서 가능한 표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과거형이라면 '되'와 '-었-'이 결합한 되었다, 됐다가 되어야 한다.
==- 던/든 혼동==
==- 던/든 혼동==
==- /에 혼동==
==~ 에/의 혼동==
이 부분은 스마트폰 보급 이후 초등학교에 입학한 신세대 이후 사람들 에게만 혼동되는 것으로 수가 적긴한데 차츰 혼동 중인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이 부분은 의미의 차이가 확연하기에 구분이 쉽고 혼동하는 사람이 적다. 다만 발음이 유사하여 스마트폰 보급 이후 초등학교에 입학한 세대의 사람들이 주로 혼동하는 조사이다.
 
~에 : 부사격 조사
 
~의 : 관형격 조사
'의'는 발음상으로는 '에' 발음도 허용되지만 적을때는 반드시 '의'로 적어야한다.
 
==조사 "의" 남발==
한국어는 '의'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나 어색한 표현이다.
 
일본어에서는 조사 'の'(노)가 상대적으로 자주 사용되는데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그런 일본식 표현이 한국어로 그대로 유입되게 된다. 한국어는 원래 소유격조사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았고 경우에 따라 생략하기도 하였다.


==소유격조사 "" 남발==
"나의 동생의 친구의 친구"처럼 '의'를 한 문장에 여러개 쓰거나 하는 식의 사용은 문법상으로는 문제가 없으나 때에 따라 어색한 표현이 된다.
흔히 ~'''의''' OO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이다. 애초에 [[한국어]]에는 소유격 조사 자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예외적으로 앞말과 뒷말을 이으면서 [[사이시옷]]을 넣는 방식으로 소유격을 나타내는 경우만 간혹 있을 뿐이다. 소유격 조사 자체를 넣지 않고도 충분히 뜻 표현이 되는 언어이기 때문에 굳이 이 소유격 조사가 있을 필요성이 없으며 이 소유격조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의미 전달이 되지 않아 불가피하게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사용될 뿐이다.


애초에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이 소유격조사가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이유로는 외국어 번역체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들어온 일본어의 '''の'''의 용법이 한국어로 그대로 녹아들게 되었고, 특히 한자어를 많이 사용했던 관공서나 기업에서 이러한 문체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서 사회문법으로 자리잡게 되어 무의식중에 사용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어에서는 조사 의를 생략하기도 하는데 일본어에서는 매우 어색한 표현이 된다.


===위키에서===
소유격조사는 한국어에 원래 존재하지 않았고 일본의 영향으로 소유격조사가 생겨났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한글 이전의 한국어를 표현하는 수단인 이두문에서도 矣(~의)가 발견된다. 중세국어에서는 유정물은 'ᄋᆡ()' 무정물은 ''을 붙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9643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속격조사]</ref>
[[위키]]업계(?)에서는 이 소유격 조사를 상당히 남발하는 모습이 많이 관찰된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위키백과]]가 사용하는 분류나 둘러보기 틀 이름이 ~'''의''' OO 식으로 된 경우가 거의 전부이며, 위키백과의 틀을 차용하여 사용한 [[리브레위키]]에서도 이러한 표현을 마찬가지로 자주 볼 수 있다. 이외에 [[나무위키]] 같은 경우도 {{나무위키|나무위키:대문|대문}}에서부터 이런 표현을 별 생각 없이 사용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르다 틀리다의 오용==
==다르다 틀리다의 오용==
간단히 수식으로 생각해보자
* 다르다
A ≠ B (A와 B는 다르다)
* 틀리다
A와 B는 10이 되어야 한다.
A = 10, B = 9
B ≠ 10
이때 B는 10이 아니므로 '''틀렸다'''.
A와 B는 다르다.


==~에요/~예요의 혼동==
==~에요/~예요의 혼동==
{{빈 문단}}


==이중 피동==
==이중 피동==
{{주석}}
{{주석}}
[[분류:문법]][[분류:한국어]]
[[분류:문법]][[분류:한국어]]

2024년 4월 11일 (목) 18:41 기준 최신판

한국어 문법 중 자주 틀리는 문법에 대한 모음들이다.

- 되/돼 혼동[편집 | 원본 편집]

흔히 되와 돼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돼는 '되'와 '어'가 합쳐진 말이다. 따라서 되었다를 됐다라고 줄여쓸 수도 있다. '됬다'를 '되다'의 과거형이라서 가능한 표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과거형이라면 '되'와 '-었-'이 결합한 되었다, 됐다가 되어야 한다.

- 던/든 혼동[편집 | 원본 편집]

~ 에/의 혼동[편집 | 원본 편집]

이 부분은 의미의 차이가 확연하기에 구분이 쉽고 혼동하는 사람이 적다. 다만 발음이 유사하여 스마트폰 보급 이후 초등학교에 입학한 세대의 사람들이 주로 혼동하는 조사이다.

~에 : 부사격 조사

~의 : 관형격 조사 '의'는 발음상으로는 '에' 발음도 허용되지만 적을때는 반드시 '의'로 적어야한다.

조사 "의" 남발[편집 | 원본 편집]

한국어는 '의'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나 어색한 표현이다.

일본어에서는 조사 'の'(노)가 상대적으로 자주 사용되는데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그런 일본식 표현이 한국어로 그대로 유입되게 된다. 한국어는 원래 소유격조사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았고 경우에 따라 생략하기도 하였다.

"나의 동생의 친구의 친구"처럼 '의'를 한 문장에 여러개 쓰거나 하는 식의 사용은 문법상으로는 문제가 없으나 때에 따라 어색한 표현이 된다.

한국어에서는 조사 의를 생략하기도 하는데 일본어에서는 매우 어색한 표현이 된다.

소유격조사는 한국어에 원래 존재하지 않았고 일본의 영향으로 소유격조사가 생겨났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한글 이전의 한국어를 표현하는 수단인 이두문에서도 矣(~의)가 발견된다. 중세국어에서는 유정물은 'ᄋᆡ(의)' 무정물은 'ㅅ'을 붙였다.[1]

다르다 틀리다의 오용[편집 | 원본 편집]

간단히 수식으로 생각해보자

  • 다르다

A ≠ B (A와 B는 다르다)

  • 틀리다

A와 B는 10이 되어야 한다.

A = 10, B = 9

B ≠ 10

이때 B는 10이 아니므로 틀렸다. A와 B는 다르다.

~에요/~예요의 혼동[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이중 피동[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