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철교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리 정보
{{교량 정보
|다리이름 = 한강철교
| 이름 = 한강철교
|원어이름 =
| 그림 = [[File:hangang_railway_bridge.jpg]]
|그림     = [[파일:hangang railway bridge.jpg]]
| 설명 = 북단에서 바라본 모습
|그림설명 = 북단에서 바라본 모습
| 다른 이름 =  
|나라    =  
| 횡단 = [[한강]]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동작구]] [[노량진동]]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동작구]] [[노량진동]]
|횡단    = [[한강]]
| 소유 = [[대한민국]]
|종류    =  
| 관리 = [[한국철도공사]]<br>[[한국철도시설공단]]
|길이    = A선 : 1,136m<br />B선 : 1,110m<br />C선 : 1,113m<br />D선 : 1,113m
| 설계 =
|폭      = A,B선 : 5.6m<br />C,D선 : 10m
| 디자인 =
|높이     =  
| 재료 =  
|경간     =  
| 연장 = A선 : 1,136m<br>B선: 1,110m<br>C선 : 1,113m<br>D선 : 1,113m
|관할    = [[한국철도공사]]<br />[[국가철도공단]]
| 너비 = A,B선 : 5.6m<br>C,D선 : 10m
|착공일   = [[1897년]] [[3월 29일]]
| 높이 =  
|개통일   = 제1철교(A) : [[1900년]] [[7월 5일]]<br />제2철교(B) : [[1912년]] [[9월]]<br />제3철교(C) : [[1944년]] [[8월]]<br />제4철교(D) : [[1994년]] [[12월]]
| 경간 =  
|폐쇄일  =  
| 수명 =
|설계    =  
| 시공 =
|건설    =  
| 제작 =  
|비고    =  
| 착공일 = [[1897년]] [[3월 29일]]
| 완공일 =
| 개통일 = A선 : [[1900년]] [[7월 5일]]<br>B선: [[1912년]] [[9월]]<br>C선 : [[1944년]] [[8월]]<br>D선 : [[1994년]] [[12월]]
| 건설비용 =
| 요금 =  
| 일일교통량 =
| 이전 다리 = [[한강대교]]
| 다음 다리 = [[원효대교]]
| 폐쇄 =  
}}
}}
 
==개요==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과 [[동작구]] [[노량진동]]을 이어주는 철도교이다. 대한민국 근현대사에 있어서 한강에 건설된 최초의 교량이라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현재년}}년 현재 [[용산역]]과 [[노량진역]]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과 [[동작구]] [[노량진동]]을 이어주는 철도교이다. 대한민국 근현대사에 있어서 한강에 건설된 최초의 교량이라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현재년}}년 현재 [[용산역]]과 [[노량진역]]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역사==
==연혁==
[[1896년]], [[경인선]] 철도 부설권을 획득한 미국인 제임스 모스의 주도로 한강을 건너는 철도교의 건설이 [[1897년]]에 시작되었다. 착공 이후 자금난과 일본측의 압력에 위협을 느낀 모스는 철교 부지의 토목공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부설권을 일본측에 넘겼고 [[1900년]] [[7월 5일]] 제1철교(A선)가 완공되었다. 서울에서 인천까지 육로로 12시간, 배편으로는 8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나 경인선과 한강철교가 완공되면서 기차로 2시간 이내로 도착할 수 있게 되었다.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한강철교가 건설된 자리는 [[조선시대]] 까지만 하더라도 나룻터가 있던 자리였고, 철교가 완성된 이후에도 일본에 대한 반감으로 나룻배를 이용하여 한강을 건너던 조선인들이 상당히 많았다. 제임스 모스는 한강철교와 인도교를 나란히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부설권을 넘겨받은 일본은 인도교를 건설하지 않았다. 대신 [[1917년]] 한강철교 상류 지점에 인도교(지금의 [[한강대교]])를 건설하였다.
 
<gallery mode="packed" heights=140px>
File:hangang_railway_bridge_1920.jpg|[[1920년]]대의 한강철교
File:hangang_railway_bridge_1920.jpg|[[1920년]]대의 한강철교
File:hangang_railway_bridge_1925_damaged.jpg|[[1925년]] 대홍수로 유실된 한강철교
File:hangang_railway_bridge_1925_damaged.jpg|[[1925년]] 대홍수로 유실된 한강철교
</gallery>
</gallery>
[[1896년]], [[경인선]] 철도 부설권을 획득한 미국인 제임스 모스의 주도로 한강을 건너는 철도교의 건설이 [[1897년]]에 시작되었다. 착공 이후 자금난과 일본측의 압력에 위협을 느낀 모스는 철교 부지의 토목공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부설권을 일본측에 넘겼졌고 [[1900년]] [[7월 5일]] 제1철교(A선)가 완공되었다. 서울에서 인천까지 육로로 12시간, 배편으로는 8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나 경인선과 한강철교가 완공되면서 기차로 2시간 이내로 도착할 수 있게 되었다. 한강철교가 건설된 자리는 [[조선시대]] 까지만 하더라도 나룻터가 있던 자리였고, 철교가 완성된 이후에도 일본에 대한 반감으로 나룻배를 이용하여 한강을 건너던 조선인들이 상당히 많았다. 제임스 모스는 한강철교와 인도교를 나란히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부설권을 넘겨받은 일본은 인도교를 건설하지 않았다. 대신 [[1917년]] 한강철교 상류 지점에 인도교(지금의 [[한강대교]])를 건설하였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하면서 열차 통행량이 늘어나게 되었고 기존의 단선 철교로는 늘어난 통행량을 감당하기 어려워 복선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제1철교 상류방향에 새로운 철교를 건설하기 시작하여 [[1912년]] 제2철교(B선)가 개통하였다. [[1913년]]에는 거더 강재를 보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1925년]] [[7월]] 발생한 기록적인 홍수(을축년 대홍수)로 제1철교와 제2철교의 구조물이 크게 파손되거나 유실되는 피해를 입었고, 이후 복구작업을 진행하면서 기존보다 교각과 제방의 높이를 약 1m정도 증설하여 재개통하였다. [[1944년]]에는 제1철교의 하류 방향에 제3철교(C선)가 개통되어 한강을 건너는 열차의 통행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하면서 열차 통행량이 늘어나게 되었고 기존의 단선 철교로는 늘어난 통행량을 감당하기 어려워 복선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제1철교 상류방향에 새로운 철교를 건설하기 시작하여 [[1912년]] 제2철교(B선)가 개통하였다. [[1913년]]에는 거더 강재를 보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1925년]] [[7월]] 발생한 기록적인 홍수(을축년 대홍수)로 제1철교와 제2철교의 구조물이 크게 파손되거나 유실되는 피해를 입었고, 이후 복구작업을 진행하면서 기존보다 교각과 제방의 높이를 약 1m정도 증설하여 재개통하였다. [[1944년]]에는 제1철교의 하류 방향에 제3철교(C선)가 개통되어 한강을 건너는 열차의 통행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gallery mode="packed" heights=14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File:hangang_railway_bridge_1945.jpg|[[1945년]]한강철교, C선이 완공되어 3개의 철교로 구성되었다.
File:hangang_railway_bridge_1945.jpg|[[1945]]년의 한강철교, C선이 완공되어 3개의 철교로 구성되었다.
File:hangang_railway_bridge_bombing.jpg|[[1950년]] [[6월 28일]] 폭파되는 한강철교
File:hangang_railway_bridge_bombing.jpg|[[1950년]] [[6월 28일]] 폭파되는 한강철교
</gallery>
</gallery>
49번째 줄: 54번째 줄:
전형적인 [[트러스]] 공법으로 건설된 교량이다. 특이사항은 4개의 철교 모두 철제 트러스 구조물이 남단과 북단에 모두 설치된 것이 아니라 남단부터 한강의 2/3 너비만큼만 설치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트러스 구조물의 형태도 A,B선은 전형적인 박스형 구조물이라면, C선과 D선은 연결부위가 삼각뿔 형태로 솟아있다는 차이가 있다.
전형적인 [[트러스]] 공법으로 건설된 교량이다. 특이사항은 4개의 철교 모두 철제 트러스 구조물이 남단과 북단에 모두 설치된 것이 아니라 남단부터 한강의 2/3 너비만큼만 설치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트러스 구조물의 형태도 A,B선은 전형적인 박스형 구조물이라면, C선과 D선은 연결부위가 삼각뿔 형태로 솟아있다는 차이가 있다.


한강에 건설된 최초의 교량이라는 역사적 의미와 함께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의 상징과 같은 건축물임을 감안하여 [[2006년]] [[6월 10일]] 대한민국 국가등록문화재 제250호로 지정되었다. 비교적 최근에 건설된 D선을 제외한 A,B,C선이 해당된다.
==한강철교 배선==
<div>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center;" | 상류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center;" | B선(1912년), 단선,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전철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center;" | A선(1900년), 단선,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전철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center;" | D선(1994년), 복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일반열차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center;" | C선(1944년), 복선,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center;" | 하류
|-
|}
</div>
 
1994년 개통한 D선을 포함하여 한강철교는 모두 4개의 철도교가 인접하여 한강을 가로지르는 형태이다. 용산역 방향으로 상류방향에 건설된 A선과 B선은 단선 철교이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급행열차가 건너는 선로이다. B선은 중간에 왼쪽으로 살짝 굽어있는 선형이므로 이 선로를 통과하는 열차는 속도제한이 걸리게 된다. 즉 급행열차가 B선의 커브로 인해 속도가 줄어들면서 직선으로 뻗어있는 D선을 통과하는 완행열차에게 추월당하는 상황도 종종 발생하게 되는 것. 경부선을 타고 올라온 열차가 [[경원선]] [[이촌역]] 방향으로 삼각선을 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면 분기시설을 갖춰진 [[영등포역]]을 통과하면서 B선에 연결된 바깥쪽 선로로 갈아타고 한강철교에 진입하게된다.


==한강철교 배선==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단선으로 건설된 A,B선은 급행전철이 통과하고, 복선 철교인 D선은 평소 통행량이 많은 완행전철이 사용하며 또다른 복선 철교인 C선 역시 통행량이 많은 [[KTX]]를 포함한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구조이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가운데 선로 정보= ↑ 상류
}}
{{철도승강장/선로|가운데 선로 정보= B선(1912년) | 오른쪽 선로 정보= 1호선 동인천급행 → | 왼쪽 선로 정보=  
}}
{{철도승강장/선로|가운데 선로 정보= A선(1900년) | 왼쪽 선로 정보= ← 1호선 용산급행 | 오른쪽 선로 정보=  
}}
{{철도승강장/선로|가운데 선로 정보= D선(1994년) | 오른쪽 선로 정보= 1호선 노량진 → | 왼쪽 선로 정보=  
}}
{{철도승강장/선로|가운데 선로 정보= D선(1994년) | 왼쪽 선로 정보= ← 1호선 용산 | 오른쪽 선로 정보=  
}}
{{철도승강장/선로|가운데 선로 정보= C선(1944년) | 오른쪽 선로 정보= 경부선 영등포 → | 왼쪽 선로 정보=  
}}
{{철도승강장/선로|가운데 선로 정보= C선(1944년) | 왼쪽 선로 정보= ← 경부선 용산 | 오른쪽 선로 정보=  
}}
}}
1994년 개통한 D선을 포함하여 한강철교는 모두 4개의 철도교가 인접하여 한강을 가로지르는 형태이다. 용산역 방향으로 상류방향에 건설된 A선과 B선은 단선 철교이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급행열차가 건너는 선로이다. B선은 중간에 왼쪽으로 살짝 굽어있는 선형이므로 이 선로를 통과하는 열차는 속도제한이 걸리게 된다. 즉 급행열차가 B선의 커브로 인해 속도가 줄어들면서 직선으로 뻗어있는 D선을 통과하는 완행열차에게 추월당하는 상황도 종종 발생하게 되는 것. 경부선을 타고 올라온 열차가 [[경원선]] [[이촌역]] 방향으로 삼각선을 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면 분기시설이 갖춰진 [[영등포역]]을 통과하면서 B선에 연결된 바깥쪽 선로로 갈아타고 한강철교에 진입하게된다.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단선으로 건설된 A, B선은 급행전철이 통과하고, 복선 철교인 D선은 평소 통행량이 많은 완행전철이 사용하며 또다른 복선 철교인 C선 역시 통행량이 많은 [[KTX]]를 포함한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구조이다.
==문화재 지정==
한강에 건설된 최초의 교량이라는 역사적 의미와 함께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의 상징과 같은 건축물임을 감안하여 [[2006년]] [[6월 10일]] 대한민국 국가등록문화재 제250호로 지정되었다. 비교적 최근에 건설된 D선을 제외한 A,B,C선이 해당된다.


==주변 정보==
==주변 정보==
77번째 줄: 85번째 줄:


==여담==
==여담==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 1900년대에 건설된 교량답게 현대에 건설된 다른 한강의 교량들과 다르게 교각의 높이가 낮은 편에 속한다. 따라서 한강철교 아래를 통과하는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 모두 한강철교와 한강대교를 지나는 구간은 고도가 낮아진다. 특히 강변북로보다 저지대에 건설된 올림픽대로는 한강철교와 한강대교 사이를 이어주는 구간의 고도가 한강 수면과 닿을 정도로 급격히 낮아지는 구간이며, 여름철 태풍이나 장마로 인해 한강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한강물에 침수되어 도로가 통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File:olympicdeary_flooding.jpg|[[2006년]] 집중호우로 한강철교 하부 올림픽대로가 침수되었다.
</gallery>
* 1900년대에 건설된 교량답게 현대에 건설된 다른 한강의 교량들과 다르게 교각의 높이가 낮은 편에 속한다. 따라서 한강철교 아래를 통과하는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 모두 한강철교와 한강대교를 지나는 구간은 고도가 낮아진다. 특히 강변북로보다 저지대에 건설된 올림픽대로는 한강철교와 한강대교 사이를 이어주는 구간의 고도가 한강 수면과 닿을 정도로 급격히 낮아지는 구간이며, 여름철 태풍이나 장마로 인해 한강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강물에 침수되어 도로가 통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각주}}
{{각주}}
{{한강의 다리}}
{{한강의 다리}}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다리]]
[[분류:대한민국의 다리]]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시설]]
 
{{리브레 맵스 마커|37.52019746203411|126.95273643138762|13|한강철교}}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