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두 판 사이의 차이

(자동 찾아 바꾸기: 「년만에」(을)를 「년 만에」(으)로)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은 [[영국]]의 정규 대형 [[항공모함]]이다.
{{선박 정보
|선박이름 =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원어이름 = Queen Elizabeth class aircraft carrier
|그림    = [[File:HMS Queen Elizabeth and HMS Prince of Wales meet at sea for the first time.jpg]]
|그림설명 = 2번함 프린스 오브 웨일즈(앞)와 퀸 엘리자베스(뒤)<ref>출처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HMS_Queen_Elizabeth_and_HMS_Prince_of_Wales_meet_at_sea_for_the_first_time.jpg#mw-jump-to-license</ref>
|종류    = 재래식 정규 항공모함
|함급    =
|선급    =
|건조    =
|운영    = {{국기|영국}}(영국 해군)
|진수    =
|취역    =
|퇴역    =
|사용연도 =
|생산량  =
|정원    =
|적재용량 =
|모항    =
|IMO      =
|호출부호 =
|MMSI    =
|함번    =
|엔진    =
|추진력  =
|속도    =
|무장    =
|항공기  =
|전장    =
|선폭    =
|흘수    =
|배수량  =
|비고    =
}}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Queen Elizabeth class aircraft carrier)은 [[영국]]의 정규 재래식 [[항공모함]]이다.


7만 톤이 넘는 거함으로, 러시아의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보다 큰 규모의 항모다. 몇십 년 만에 보유하는 대형 정규항모로서 함재기는 F-35B를 사용할 예정이였지만, {{ㅊ|다들 알다시피}} 개발이 늦어지며 C형의 운용으로 선회해서 2번함인 프린스 오브 웨일즈함은 캐터펄트를 보유한 항모로 건조하려고 하였으나 개장 비용을 감당할 여력이 없어서 다시 스키점프대 방식으로 돌아왔다.  
7만 톤이 넘는 거함으로, 러시아의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보다 큰 규모의 항모다. 몇십 년 만에 보유하는 대형 정규항모로서 함재기는 F-35B를 사용할 예정이였지만, {{ㅊ|다들 알다시피}} 개발이 늦어지며 C형의 운용으로 선회해서 2번함인 프린스 오브 웨일즈함은 캐터펄트를 보유한 항모로 건조하려고 하였으나 개장 비용을 감당할 여력이 없어서 다시 스키점프대 방식으로 돌아왔다.  

2023년 6월 18일 (일) 16:42 판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Queen Elizabeth class aircraft carrier
HMS Queen Elizabeth and HMS Prince of Wales meet at sea for the first time.jpg
2번함 프린스 오브 웨일즈(앞)와 퀸 엘리자베스(뒤)[1]
선박 정보
종류 재래식 정규 항공모함
운영 영국(영국 해군)
제원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Queen Elizabeth class aircraft carrier)은 영국의 정규 재래식 항공모함이다.

7만 톤이 넘는 거함으로, 러시아의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보다 큰 규모의 항모다. 몇십 년 만에 보유하는 대형 정규항모로서 함재기는 F-35B를 사용할 예정이였지만, 다들 알다시피 개발이 늦어지며 C형의 운용으로 선회해서 2번함인 프린스 오브 웨일즈함은 캐터펄트를 보유한 항모로 건조하려고 하였으나 개장 비용을 감당할 여력이 없어서 다시 스키점프대 방식으로 돌아왔다.

HMS 퀸 엘리자베스는 2017년 12월7일에 취역하였고 HMS 프린스 오브 웨일즈는 2019년 12월 10일에 취역하였다.

참고로 2번함 프린스 오브 웨일즈의 경우는 함명을 아크로열[2]로 해달라는 청원이 있었고 나름 지지를 받기도 했었다. 물론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2021년 11월 18일에 지중해에서 퀸 엘리자베스에 배치된 F-35B 1대가 추락했다. 조종사는 무사히 귀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