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 두 판 사이의 차이

(일단 저장)
(→‎정의: 어이쿠 논리기호가 거꾸로라니)
16번째 줄: 16번째 줄:


집합 ''A''와 ''B''가 주어졌을 때, ''A''와 ''B''에 공통으로 속해 있는 원소를 모두 모은 집합을 ''A''와 ''B''의 교집합(Intersection)이라고 하며, ''A''∩''B''로 표기한다. 즉,
집합 ''A''와 ''B''가 주어졌을 때, ''A''와 ''B''에 공통으로 속해 있는 원소를 모두 모은 집합을 ''A''와 ''B''의 교집합(Intersection)이라고 하며, ''A''∩''B''로 표기한다. 즉,
: <math>A\cap B=\{x:(x\in A)\vee(x\in B)\}</math>
: <math>A\cap B=\{x:(x\in A)\wedge(x\in B)\}</math>
한편, ''A'' 또는 ''B''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를 모두 모은 집합을 ''A''와 ''B''의 합집합(Union)이라 하며, ''A''∪''B''로 표기한다. 즉,
한편, ''A'' 또는 ''B''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를 모두 모은 집합을 ''A''와 ''B''의 합집합(Union)이라 하며, ''A''∪''B''로 표기한다. 즉,
: <math>A\cup B=\{x:(x\in A)\wedge(x\in B)\}</math>
: <math>A\cup B=\{x:(x\in A)\vee(x\in B)\}</math>
''A''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들 중에 ''B''의 원소가 아닌 것들을 모두 모은 집합을 ''A''에 대한 ''B''의 차집합이라 하고, ''A''\''B''로 나타낸다. 즉,
: <math>A\setminus B=\{x:(x\in A)\wedge(x\not\in B)\}</math>
 
=== 기본연산 ===
=== 기본연산 ===
* [[교환법칙]]
* [[교환법칙]]

2015년 5월 30일 (토) 01:54 판

틀:학술 관련 정보 틀:토막글 집합(Set)게오르그 칸토어가 만들어낸 수학적인 개념이다.

순진한 집합론

정의

순진한 집합론(Naive set theory)에서는 칸토어가 처음 정의한 대로, 잘 정의된 수학적 대상을 모아놓은 것을 집합이라고 하며, 이때 집합의 구성 요소를 원소(element)라고 한다. 만약 a가 집합 A의 원소라면,

[math]\displaystyle{ a\in A }[/math]

로 표기한다. 만약 a가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라면,

[math]\displaystyle{ a\not\in A }[/math]

로 표기한다. 만약 집합 AB의 원소가 동일하다면 AB는 같다고 하고,

[math]\displaystyle{ A=B }[/math]

로 표기한다. 만약 A의 임의의 원소가 B의 원소라면, AB의 부분집합(Subset)이라고 하고,

[math]\displaystyle{ A\subset B }[/math]

로 표기한다. 집합론 책에서는 부분집합임을 명시하기 위해 ⊆라는 표기를 대신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ABAB의 부분집합이지만 서로 같지 않음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하면 된다.

집합 AB가 주어졌을 때, AB에 공통으로 속해 있는 원소를 모두 모은 집합을 AB의 교집합(Intersection)이라고 하며, AB로 표기한다. 즉,

[math]\displaystyle{ A\cap B=\{x:(x\in A)\wedge(x\in B)\} }[/math]

한편, A 또는 B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를 모두 모은 집합을 AB의 합집합(Union)이라 하며, AB로 표기한다. 즉,

[math]\displaystyle{ A\cup B=\{x:(x\in A)\vee(x\in B)\} }[/math]

A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들 중에 B의 원소가 아닌 것들을 모두 모은 집합을 A에 대한 B의 차집합이라 하고, A\B로 나타낸다. 즉,

[math]\displaystyle{ A\setminus B=\{x:(x\in A)\wedge(x\not\in B)\} }[/math]

기본연산

[math]\displaystyle{ A\cap B=B\cap A }[/math]
[math]\displaystyle{ A\cup B=B\cup A }[/math]
[math]\displaystyle{ (A\cap B)\cap C=A\cap (B\cap C) }[/math]
[math]\displaystyle{ (A\cup B)\cup C=A\cup (B\cup C) }[/math]
[math]\displaystyle{ A\cap(B\cup C)=(A\cap B)\cup(A\cap C) }[/math]
[math]\displaystyle{ A\cup(B\cap C)=(A\cup B)\cap(A\cup C) }[/math]
[math]\displaystyle{ C\setminus (A\cap B)=(C\setminus A)\cup (C\setminus B) }[/math]
[math]\displaystyle{ C\setminus (A\cup B)=(C\setminus A)\cap (C\setminus B) }[/math]

역설

왜 이론 앞에 모자랄 정도로 순진해 빠졌다(naive)라는 단어가 붙었는지 궁금할 것이다.칸토어는 왜 비참하게 죽었을까?

  • 러셀의 역설

공리적 집합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