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번째 줄: 8번째 줄:
== 수입 증지 ==
== 수입 증지 ==
[[파일:창원시 수입증지.jpg|thumb]]
[[파일:창원시 수입증지.jpg|thumb]]
수입 인지(收入印紙, Revenue Stamp)의 일종으로, 중앙정부기관<ref>한국에선 공기업인 한국은행이 판매를 담당함. 흔히는 1만원 이상의 상품권 뒷면이나 통장 첫면에서 발견할 수 있음.</ref>(정부 주무부처 및 그 산하기관)이 관리하는 증지인 '수입 인지'와는 달리, [[지방자치단체]] 기관(시구군청 및 읍면동사무소 및 그 산하기관)에서 취급하는 수수료 증지를 말한다. 사실 개념적으론 큰 차이 없이 납부처에 따라 용어가 다른 것으로, 수입 증지는 대개 수수료 지불을 마쳤음을 증명하는 표식으로 발급한다.
수입 인지(收入印紙, Revenue Stamp)의 일종으로, 중앙정부기관<ref>한국에선 공기업인 한국은행이 판매를 담당함. 흔히는 1만원 이상의 상품권 뒷면이나 통장 첫면에서 발견할 수 있음.</ref>(정부 주무부처 및 그 산하기관)이 관리하는 증지인 '수입 인지'와는 달리, [[지방자치단체]] 기관(시구군청 및 읍면동사무소 및 그 산하기관)에서 취급하는 수수료 증지를 말한다. 사실 개념적으론 큰 차이 없이 납부처에 따라 용어가 다른 것으로, 수입 증지는 대개 수수료 지불을 마쳤음을 증명하는 표식으로 발급한다.  


증지 발급 기기를 이용하면 대체로 우표 모양의 기본형태 증지를 받을 수 있지만, [[가족관계증명서]]나 [[주민등록등본]] 발급 같으면 [[미터 스탬프]]처럼 인증기 또는 통합발급기에서 인쇄하는 것으로 갈음하고 있고, 전자수입인지가 보편화되면서 은행에서 증지를 달라고 하면 A4용지에 크게 증명서처럼 인쇄해서 준다.
증지 발급 기기를 이용하면 대체로 우표 모양의 기본형태 증지를 받을 수 있지만, [[가족관계증명서]]나 [[주민등록등본]] 발급 같으면 [[미터 스탬프]]처럼 인증기 또는 통합발급기에서 인쇄하는 것으로 갈음하고 있고, 전자수입인지가 보편화되면서 은행에서 증지를 달라고 하면 A4용지에 크게 증명서처럼 인쇄해서 준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화폐 증지(Currency Stamp)는 다른 증지와 다소 다른 개념으로, [[화폐개혁]](Currency reform)의 일종이다. 실물로 발행할 경우는 구권 화폐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ref>즉, 중앙은행으로 회수할 때 증지를 붙이지 않은 구권을 돈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ref> 그냥 우표 형태 그대로 사용하게 하고, 첨쇄 발행의 경우엔 대개 미리 인쇄하여 묵혀둔 지폐를 꺼내다 다시 찍어내어 배급, 혹은 새로 인쇄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첨쇄를 넣어 찍어내는 형태로 생산한 뒤 배급하는 형태를 취한다.
화폐 증지(Currency Stamp)는 다른 증지와 다소 다른 개념으로, [[화폐개혁]](Currency reform)의 일종이다. 실물로 발행할 경우는 구권 화폐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ref>즉, 중앙은행으로 회수할 때 증지를 붙이지 않은 구권을 돈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ref> 그냥 우표 형태 그대로 사용하게 하고, 첨쇄 발행의 경우엔 대개 미리 인쇄하여 묵혀둔 지폐를 꺼내다 다시 찍어내어 배급, 혹은 새로 인쇄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첨쇄를 넣어 찍어내는 형태로 생산한 뒤 배급하는 형태를 취한다.


통화 유통 시장의 개혁이 급히 필요하긴 한데 구권을 대체할 신권을 찍어낼 사정이 여의치 않거나, 교환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유통량 통제를 강력하게 조절하고 싶을 때, 또는 모종의 이유로 중앙정부가 [[분단|두 쪽으로]] [[독립|갈라서거나]] 국가 자체가 [[전복|교체되면서]] 이전 체계와 확연한 구분이 필요한 경우 등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통화 유통 시장의 개혁이 급히 필요하긴 한데 구권을 대체할 신권을 찍어낼 사정이 여의치 않거나, 교환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유통량 통제를 강력하게 조절하고 싶을 때, 또는 모종의 이유로 중앙정부가 [[분단|두 쪽으로]] [[독립|갈라서거나]] 국가 자체가 [[전복|교체되면서]] 이전 체계와 확연한 구분이 필요한 경우 등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실제 사례로는 [[일본 엔]]의 A호권 발행 이전에 [[일본제국 엔]]의 인플레이션 조절을 위해 실물로 발행한 사례나, [[소련]]에서 [[러시아]]로 넘어가는 시기에서 일부 [[소련 루블|소련 지폐]]에 증지를 첨쇄한 형태로 발행한 사례, 소련 해체 후 [[몰도바]]와 이해관계가 틀어진 [[트란스니스트리아]]가 구 소련 지폐에 증지를 부착하여 독자적으로 사용하게 된 사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실제 사례로는 [[일본 엔]]의 A호권 발행 이전에 [[일본제국 엔]]의 인플레이션 조절을 위해 실물로 발행한 사례나, [[소련]]에서 [[러시아]]로 넘어가는 시기에서 일부 [[소련 루블|소련 지폐]]에 증지를 첨쇄한 형태로 발행한 사례, 소련 해체 후 [[몰도바]]와 이해관계가 틀어진 [[트란스니스트리아]]가 구 소련 지폐에 증지를 부착하여 독자적으로 사용하게 된 사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