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맞춤법 수정. 띄며 → 띠며)
(자동 찾아 바꾸기: 「할수」(을)를 「할 수」(으)로)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전어'''는 연근해와 바닷물이 섞이는 강 어귀에서 사는 바닷물고기로 [[한반도]]에선 서[[남해]]안에서 주로 잡히고 있다. 대체적으로 육지와 가까운 연안에 서식하는 편이다. 강어귀 등에서도 자주 보인다.
'''전어'''는 연근해와 바닷물이 섞이는 강 어귀에서 사는 바닷물고기로 [[한반도]]에선 서[[남해]]안에서 주로 잡히고 있다. 대체적으로 육지와 가까운 연안에 서식하는 편이다. 강어귀 등에서도 자주 보인다.


[[청어]]목에 속하는 물고기이며 등 부분은 회색을 띠며 아가미 뒤에 검은 반점이 있다. 몸 색은 밝은 은백색을 띠고 있고 등은 검은빛에 가깝다. 몸길이는 15cm까지 자라는 것이 보통으로 최대 30cm까지 자라기도 한다.주식으론 플랑크톤을 잡어먹고 살기에 영양분이 풍부한 연안지방에 분포한다. 특징으로는 길게 뒤로 뻗어나온 가는 등지느러미가 특징이라고 할수 있다.
[[청어]]목에 속하는 물고기이며 등 부분은 회색을 띠며 아가미 뒤에 검은 반점이 있다. 몸 색은 밝은 은백색을 띠고 있고 등은 검은빛에 가깝다. 몸길이는 15cm까지 자라는 것이 보통으로 최대 30cm까지 자라기도 한다.주식으론 플랑크톤을 잡어먹고 살기에 영양분이 풍부한 연안지방에 분포한다. 특징으로는 길게 뒤로 뻗어나온 가는 등지느러미가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가을이 제철로 보통 구이로 먹는 걸을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회, 구이, 무침 등 다양한 요리에 재료로 들어간다. 맛도 뛰어나서 오죽하면 "가을 전어는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게 한다"는 속담도 있을 정도다.<ref>근데 [[일본]]에선 속담이 살짝 바뀐다. "가을 전어는 며느리에게 먹이지 않는다."</ref> 원래는 [[경상도]] 지방에서 주로 소비되던 어류였지만 점차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보통 가을이 제철로 보통 구이로 먹는 걸을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회, 구이, 무침 등 다양한 요리에 재료로 들어간다. 맛도 뛰어나서 오죽하면 "가을 전어는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게 한다"는 속담도 있을 정도다.<ref>근데 [[일본]]에선 속담이 살짝 바뀐다. "가을 전어는 며느리에게 먹이지 않는다."</ref> 원래는 [[경상도]] 지방에서 주로 소비되던 어류였지만 점차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8번째 줄: 8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어류]]
[[분류:청어과]]

2019년 10월 6일 (일) 02:10 기준 최신판

전어는 연근해와 바닷물이 섞이는 강 어귀에서 사는 바닷물고기로 한반도에선 서남해안에서 주로 잡히고 있다. 대체적으로 육지와 가까운 연안에 서식하는 편이다. 강어귀 등에서도 자주 보인다.

청어목에 속하는 물고기이며 등 부분은 회색을 띠며 아가미 뒤에 검은 반점이 있다. 몸 색은 밝은 은백색을 띠고 있고 등은 검은빛에 가깝다. 몸길이는 15cm까지 자라는 것이 보통으로 최대 30cm까지 자라기도 한다.주식으론 플랑크톤을 잡어먹고 살기에 영양분이 풍부한 연안지방에 분포한다. 특징으로는 길게 뒤로 뻗어나온 가는 등지느러미가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가을이 제철로 보통 구이로 먹는 걸을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회, 구이, 무침 등 다양한 요리에 재료로 들어간다. 맛도 뛰어나서 오죽하면 "가을 전어는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게 한다"는 속담도 있을 정도다.[1] 원래는 경상도 지방에서 주로 소비되던 어류였지만 점차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전어라는 이름은 돈 물고기란 의미로, 과거 전어의 값이 비단 한 필에 달하는 등 비싼 물고기였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는 값이 많이 떨어져 대량 소비가 가능하다.

각주

  1. 근데 일본에선 속담이 살짝 바뀐다. "가을 전어는 며느리에게 먹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