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엔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화폐 정보
{{화폐 정보
|화폐이름 = 일본 엔
|현지어 명칭 = {{ruby|日本円|にほんえん}}<ref>구어체로는 상당수가 닛뽄엔(にっぽんえん)이라고 읽지만, 정식으로는 "니혼엔"이라 읽는다. <s>하지만 정작 '일본은행'의 표기법은 닛뽄깅꼬(Nippon Ginko)...</s></ref> <small>니혼엔<sup>[[일본어|jp]]</sup></small>
|원어이름 = 日本円
|다른 언어명 = 엔화/일본 엔<small><sup>[[한국어|kr]]</sup></small>, Japanese Yen<small><sup>[[영어|en]]</sup></small>, 日圓=日元<small><sup>[[중국어|cn]]</sup></small>
|그림    = Nippon Ginko.jpg
|그림1=Nippon Ginko.jpg
|그림설명 =  
|그림1_설명 =  
|그림2   =  
|그림2 =  
|그림2설명=  
|그림2_설명 =  
|사용국   = {{나라|일본}}
|사용국 = {{국기|일본}}
|비공식   = {{나라|미얀마}}<br />{{나라|짐바브웨}}<br />
|비공식 사용국 = {{국기|미얀마}}<br />{{국기|짐바브웨}}<br />
|ISO      = JPY<ref>은근히 연예부 기사에서 [[JYP]]와 자주 혼동한다. 가끔가다 경제부 기사에서도 헷갈리곤 한다(...) <s>영진박 엔터테인먼트</s></ref>
|iso 코드 = JPY<ref>은근히 연예부 기사에서 [[JYP]]와 자주 혼동한다. 가끔가다 경제부 기사에서도 헷갈리곤 한다(...) <s>영진박 엔터테인먼트</s></ref>
|기호     = ¥, 円<ref>¥(통화기호)를 쓴다면 숫자 앞에, 円(한자)를 쓴다면 숫자 뒤에 붙인다.</ref>
|기호 = ¥, 円<ref>¥(통화기호)를 쓴다면 숫자 앞에, 円(한자)를 쓴다면 숫자 뒤에 붙인다.</ref>
|보조단위 =
|보조단위_비율_1 = <small>1/100</small>
{{화폐 정보/보조단위
|보조단위_이름_1 = <small>센(銭)</small><ref>센 단위는 1953년부터 유통되지는 않고 있으나 환율 계산 등에는 지금도 쓰인다. 한국의 '전'단위와 취급이 같다.</ref>
|비율 = <small>1/100</small>
|지폐 = ¥1000, ¥2000, ¥5000, ¥10000
|이름 = <small>센(銭)</small><ref>센 단위는 1953년부터 유통되지는 않고 있으나 환율 계산 등에는 지금도 쓰인다. 한국의 '전'단위와 취급이 같다.</ref>
}}
|지폐     = ¥1000, ¥2000, ¥5000, ¥10000
<small>(구권) ¥1, ¥5, ¥10, ¥50, ¥100, ¥500</small>
<small>(구권) ¥1, ¥5, ¥10, ¥50, ¥100, ¥500</small>
|동전     = ¥1, ¥5, ¥10, ¥50, ¥100, ¥500
|동전 = ¥1, ¥5, ¥10, ¥50, ¥100, ¥500
|중앙은행 = [[일본은행]] (日本銀行, Bank of Japan)
|발행 기관 = [[일본은행]] (日本銀行, Bank of Japan)
|인쇄처   = [[파일:National Printing Bureau logo.svg|100px]]<small> (일본)</small>국립인쇄국<ref>일본은행과 함께 일본 정부와는 별개의 운영권을 갖는 국립기관(인가법인)이다. 도쿄에 본사가 있다.</ref>
|인쇄처 = 국립인쇄국(国立印刷局, National Printing Bureau)<ref>일본은행과 함께 일본 정부와는 별개의 운영권을 갖는 국립기관(인가법인)이다. 도쿄에 본사가 있다.</ref>
|조폐국   = 조폐국({{일본어=|造幣局}}, Japan Mint)<ref>동전 제조 및 발행을 전담하며, 일본은행과는 무관한 일본 정부 산하의 기관(정확히는 독립행정법인(独立行政法人))이다. 오사카에 본사가 있다.</ref>
|조폐국 = 조폐국(造幣局, Japan Mint)<ref>동전 제조 및 발행을 전담하며, 일본은행과는 무관한 일본 정부 산하의 기관(정확히는 독립행정법인(独立行政法人))이다. 오사카에 본사가 있다.</ref>
|환율     = 9.5 ~ 11.5원/¥ <small>(2020~2022년, 평균 10.5원)</small>
|인플레이션 =
|고정환율 =  
|환율 = 11.37원/¥ <small>(2019. 09. 01 기준)</small>
|이전화폐 = [[연합군 통화#AM 엔 (일본)|미군정 엔]] <small>(~1946/1958)</small>
|고정환율 =
|이후화폐 =
|전신 = [[일본제국 엔]] (1871~1945)
|비고    =
}}
}}
{{ruby|日本円|にほんえん}}, Nihon/Nippon Yen <small>니혼엔/닛폰엔<sup>[[일본어|jp]]</sup></small><ref>구어체로는 상당수가 닛폰엔(にっぽんえん)이라고 읽지만, 정식으로는 "니혼엔"이라 읽는다. <s>하지만 정작 '일본은행'의 표기법은 닛폰긴코(Nippon Ginko)...</s></ref><br />日本元(日元) <small>르번위엔/르위엔<ref>현지인들의 발음은 '르어번 위안(엔)으로 부른다.</ref></small><sup>[[중국어|cn]]</sup>, Japanese Yen <small>제패니즈 옌</small><sup>[[영어|en]]</sup>


== 개요 ==
== 개요 ==
38번째 줄: 33번째 줄:


[[엔]]이라는 명칭은 둥글다는 뜻의 圓(ゑん)<ref>획수가 많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잦던 중국과 일본에서는 각자가 간략화 시도를 하였다. 중국은 결론적으로 圆으로 축약하였지만 일본에서는 처음엔 口안에 ㅣ을 쭉 긋는 방식(...)을 쓰다가 조금 더 그럴싸하게 정비하는 과정을 통해 현재의 모습으로 바뀌었다.</ref>의 [[일본어]] 발음이다. 본래 발음은 [wen]이었다만 음의 변화과정에서 [jen]으로 바뀌었고, 이를 들은 외국인이 yen이라 받아적으면서 현재에 이른다. 참고로, 현대 일본어에선 무조건 [en]으로 발음하도록 고등학교 고문(古文)시간에 교육하고 있다.
[[엔]]이라는 명칭은 둥글다는 뜻의 圓(ゑん)<ref>획수가 많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잦던 중국과 일본에서는 각자가 간략화 시도를 하였다. 중국은 결론적으로 圆으로 축약하였지만 일본에서는 처음엔 口안에 ㅣ을 쭉 긋는 방식(...)을 쓰다가 조금 더 그럴싸하게 정비하는 과정을 통해 현재의 모습으로 바뀌었다.</ref>의 [[일본어]] 발음이다. 본래 발음은 [wen]이었다만 음의 변화과정에서 [jen]으로 바뀌었고, 이를 들은 외국인이 yen이라 받아적으면서 현재에 이른다. 참고로, 현대 일본어에선 무조건 [en]으로 발음하도록 고등학교 고문(古文)시간에 교육하고 있다.
대략적인 환율은 1엔=10원.


== 환전 및 사용 ==
== 환전 및 사용 ==
46번째 줄: 39번째 줄:
결론적으로 말하면 최대한 수수료를 깎아서 환전하는 것이 가장 이득이다. 사설환전소와 수수료를 70%이상 감면한 시중은행은 서로 거의 호각에 준하는 환율을 보이니 수십만엔 이상 거액을 환전하는 것이 아닌 이상은 가격에 너무 얽매일 필요까진 없다. 한국인에게 있어 일본 여행 난이도는 거의 최하급이라 여행객 숫자 또한 상당히 많기에, 남은 엔화의 개인거래도 활발하니 이걸 활용하는 것도 좋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최대한 수수료를 깎아서 환전하는 것이 가장 이득이다. 사설환전소와 수수료를 70%이상 감면한 시중은행은 서로 거의 호각에 준하는 환율을 보이니 수십만엔 이상 거액을 환전하는 것이 아닌 이상은 가격에 너무 얽매일 필요까진 없다. 한국인에게 있어 일본 여행 난이도는 거의 최하급이라 여행객 숫자 또한 상당히 많기에, 남은 엔화의 개인거래도 활발하니 이걸 활용하는 것도 좋다.


반대로 일본에서는 한국 원화를 기타 통화로 분류하기 때문에 바꾸기가 녹록치 않은 편이다.<ref> 한국으로 치자면 엔화를 아프리카,중남미,중동권 등 환전하기 어려운 화폐로 취급 하는것과 같은 개념이다.</ref>가뜩이나 높은 인건비로 인한 수수료도 만만찮은데, 환율도 대개 시망으로 치는 경우가 많다.<ref>예를 들어 일본 평균 환율이 100KRW/9엔 이라 치면 은행 환전소에서는 100원당 8엔40센 으로 치는등 어이 털리는 수수료를 자랑하기 때문이다.</ref> (이렇게 합쳐진 수수료만 거의 원금의 10%대에 달한다.) 따라서 그냥 현금카드로 인출하는 것이 훨씬 더 이득인데, 기존에 통용되던 [[한국씨티은행]] 국제현금카드 인출 방법이 일본 시티은행의 미츠이스미토모은행(SMBC) 합병으로 인해 2017년 10월부터 무효가되어 안타깝지만, 저렴하게 인출하는 것도 점점 어려워질 전망이다.<ref>다른 은행카드 대부분이 약 1% 수수료에 별도 인출수수료(건당 3천원 정도)를 부과하는 반면, 시티은행 현금인출시엔 0.1%에 건당 1달러만 내면 끝이다. 10만엔을 인출시 전신환값 제외하고 2천원으로 끝낼 것을 13,000원 주고 뽑아야 할 판이니...</ref> 여튼 가능하다면 한국에서 환전업무를 모두 끝내고 오는 것이 훨씬 좋다. 오죽하면 일본인들조차 한국 여행할 때 엔화를 그냥 들고 와서 한국의 환전소를 찾아다니며 환전할 지경.
반대로 일본에서는 한국 원화를 기타 통화로 분류하기 때문에 바꾸기가 녹록치 않은 편이다.<ref> 한국으로 치자면 엔화를 아프리카,중남미,중동권 등 환전하기 어려운 화폐로 취급 하는것과 같은 개념이다.</ref>가뜩이나 높은 인건비로 인한 수수료도 만만찮은데, 환율도 대개 시망으로 치는 경우가 많다.</ref>예를 들어 일본 평균 환율이 100KRW/9엔 이라 치면 은행 환전소에서는 100원당 8엔40센 으로 치는등 어이 털리는 수수료를 자랑하기 때문이다.</ref> (이렇게 합쳐진 수수료만 거의 원금의 10%대에 달한다.) 따라서 그냥 현금카드로 인출하는 것이 훨씬 더 이득인데, 기존에 통용되던 [[한국씨티은행]] 국제현금카드 인출 방법이 일본 시티은행의 미츠이스미토모은행(SMBC) 합병으로 인해 2017년 10월부터 무효가되어 안타깝지만, 저렴하게 인출하는 것도 점점 어려워질 전망이다.<ref>다른 은행카드 대부분이 약 1% 수수료에 별도 인출수수료(건당 3천원 정도)를 부과하는 반면, 시티은행 현금인출시엔 0.1%에 건당 1달러만 내면 끝이다. 10만엔을 인출시 전신환값 제외하고 2천원으로 끝낼 것을 13,000원 주고 뽑아야 할 판이니...</ref> 여튼 가능하다면 한국에서 환전업무를 모두 끝내고 오는 것이 훨씬 좋다. 오죽하면 일본인들조차 한국 여행할 때 엔화를 그냥 들고 와서 한국의 환전소를 찾아다니며 환전할 지경.


지폐를 1만엔처럼 큰 단위로 들고 다니면 불편하지 않을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일본 물가가 그 정도로 싼 편도 아니고<ref>약간만 쇼핑해도 1천엔쯤은 우습게 넘어간다.</ref>, 여행객에 대한 친절로 무장한 직원들의 [[오모테나시]] 파워로 거스름돈은 꼬박꼬박 잘 건네주기 때문이다. 예외가 있다면 간단한 음식을 파는 노점상이나 [[자판기]]를 이용해야 하는 상황<ref>자판기는 어지간하면 1천엔권만 먹는다. 몰론 식당 자판기나 전철 표 판매기같은 것은 1만엔권도 먹는다.</ref>이거나, 지하철 및 버스에 탈 때(=동전교환기 이용시) 및 [[코믹마켓]]에 참가할 의향이 있는 경우<ref>이때는 최대한 1천엔권으로 챙겨가는 것이 심신에 좋다. 구할 수 있다면 500엔 동전도 유용한데 당연히 한국에서는 거의 없다.</ref> 정도.
지폐를 1만엔처럼 큰 단위로 들고 다니면 불편하지 않을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일본 물가가 그 정도로 싼 편도 아니고<ref>약간만 쇼핑해도 1천엔쯤은 우습게 넘어간다.</ref>, 여행객에 대한 친절로 무장한 직원들의 [[오모테나시]] 파워로 거스름돈은 꼬박꼬박 잘 건네주기 때문이다. 예외가 있다면 간단한 음식을 파는 노점상이나 [[자판기]]를 이용해야 하는 상황<ref>자판기는 어지간하면 1천엔권만 먹는다. 몰론 식당 자판기나 전철 표 판매기같은 것은 1만엔권도 먹는다.</ref>이거나, 지하철 및 버스에 탈 때(=동전교환기 이용시) 및 [[코믹마켓]]에 참가할 의향이 있는 경우<ref>이때는 최대한 1천엔권으로 챙겨가는 것이 심신에 좋다. 구할 수 있다면 500엔 동전도 유용한데 당연히 한국에서는 거의 없다.</ref> 정도.
70번째 줄: 63번째 줄:
* 몇몇 국제공항에는 동전 소진을 위한 [[가챠]]와 상품권 교환기가 비치되어 있다. 상품권 교환기에서는 애플 아이튠즈 카드, 아마존 기프트 카드, 교통카드 충전 등을 할 수 있다.
* 몇몇 국제공항에는 동전 소진을 위한 [[가챠]]와 상품권 교환기가 비치되어 있다. 상품권 교환기에서는 애플 아이튠즈 카드, 아마존 기프트 카드, 교통카드 충전 등을 할 수 있다.


정 못 쓰고 한국에 들고 들어와 버렸다면 일본에 가는 지인에게 증정하거나, 다음 여행 때까지 놔두거나,엄청난 손해를 보고 원화로 환전하거나, 필요로 하는 사람과 교환하는 방법밖에 없다. 일본에 자주 가는 경우가 아니라면 어느 쪽도 처분하는 입장에서는 썩 편리한 것이 아니니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
정 못 쓰고 한국에 들고 들어와 버렸다면 일본에 가는 지인에게 증정하거나, 다음 여행 때까지 놔두거나, 외화현찰수수료가 면제되는 외화계좌에 넣어 버리거나, 엄청난 손해를 보고 원화로 환전하거나, 필요로 하는 사람과 교환하는 방법밖에 없다. 일본에 자주 가는 경우가 아니라면 어느 쪽도 처분하는 입장에서는 썩 편리한 것이 아니니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


=== 전통의 철옹성 통화 (환율추이) ===
=== 전통의 철옹성 통화 (환율추이) ===
85번째 줄: 78번째 줄:
2019년 7월 말 한국 경제제재를 구현함에 따라 한-일 무역충돌이 일어났는데, 그 직후 하루이틀 만에(8월 1일 ~ 3일) 원화는 5% 가까이 떨어진 반면, 엔화는 그리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미-중 무역충돌에 힘입어 109엔/USD에서 106엔/USD까지 조용히(?)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2019년 7월 말 한국 경제제재를 구현함에 따라 한-일 무역충돌이 일어났는데, 그 직후 하루이틀 만에(8월 1일 ~ 3일) 원화는 5% 가까이 떨어진 반면, 엔화는 그리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미-중 무역충돌에 힘입어 109엔/USD에서 106엔/USD까지 조용히(?)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 2020년대의 이변 ====
2020년 1월 경, 코로나19의 발발로 중국이 초토화되자 달러 사재기가 일어나서 상대적으로 엔화가 살짝 떨어지기는 했는데, 3월 경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더 크게 번지는 바람에 달러가 물러가고 엔화의 인기가 폭주하였다. (110엔/$<small><sub>(1~2월)</sub></small>→103엔/$<small><sub>(3월)</sub></small>) 4월에는 2020 도쿄 올림픽 연기 확정, 그리고 <s>그동안 숨겨왔던</s> 확진자 급증으로 인하여 자체적 위기가 왔음에도, 엔화 자체의 인기보정이 강했는지 여전히 106~107엔/$ 선으로 유지되고 있다.
2020년 1월 경, 코로나19의 발발로 중국이 초토화되자 달러 사재기가 일어나서 상대적으로 엔화가 살짝 떨어지기는 했는데, 3월 경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더 크게 번지는 바람에 달러가 물러가고 엔화의 인기가 폭주하였다. (110엔/$<small><sub>(1~2월)</sub></small>→103엔/$<small><sub>(3월)</sub></small>) 그러나 올림픽 연기+수익 하락이 사실상 확정되었고, <s>그동안 숨겨왔던</s> 확진자가 급증하여 점점 부정적으로 돌아서기 시작하였다.
 
2021년에는 병원균의 변이가 계속적으로 발생하자 일본 정부 차원에서 아예 강력한 쇄국정책을 펴버렸고, 유학생 급감 및 인력 관리에 차질을 입은 수많은 외국 기업들이 견디지 못하고 일시적 사업 중단을 하는 등으로 엔화 수요가 급감하자 도로 110엔대로 돌아가는, 확실하게 떨어진 지표를 보이게 된다. 문제는 그 사이 일본이 전염병 우려로 얼어붙은 내수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내부적으로 돈을 엄청나게 풀었고, 따라서 해외로 진출한 일본기업들도 외화의 엔화 환전에 소극적으로 변했다는 점이다.
 
2022년 2월의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다시금 엔화가 안전자산으로서 기능할 것이라 예상했으나, 이미 앞서 엔화의 인기 하락, 지나친 양적 완화가 맞물려 오히려 가파르게 하락하였다. 3월 말엽에 다시 120엔대를 넘김에 따라, 1998년(태국발 외환위기), 2007년, 2015년(아베노믹스) 이후로 다시 엔저시대가 돌아오게 되었다. 2022년 10월 20일에는 잠깐이지만 엔달러 환율이 150엔을 뚫었는데, 이는 헤이세이 버블의 절정이던 1990년에 처음 찍었던 이래로 32년만인지라 진지하게 엔화 위기론이 거론되기도 했다. 이와 같은 결과의 원인은 일본은행과 미연방준비은행의 기준금리 차이로 인해 각 통화의 수요가 극단적으로 벌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사실상 정론으로 통한다. 이 때문에 원화 대비로도 엔화의 약세가 더욱 두드러지며, 졸지에 원-엔 환율이 2015년 원화 강세 수준으로 떨어졌다.
 
2023년 3월에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이 기폭제가 되어 달러 약화의 반작용으로 엔달러가 130엔 아래로 떨어지나 싶었으나, 장기 디플레이션의 후폭풍으로 인해 일본 경제도 예전만큼의 명성을 회복하지는 못하던 까닭에 한 달 사이에 130엔 후반대로 올라와 줄다리기에 들어갔다. 하지만 일본은행은 정책 변화를 계속 주저하였고, 그런 모습에 해외 자본계가 실망했는지 대략 1년 뒤인 2023년 10월 25일에 다시 150엔을 넘기게 된다. 이와 같은 장기간 엔저 현상은 일본 내 수입품 물가 상승을 초래하여, 원가 때문에 일본 내 오렌지주스 공급이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나타나기에 이른다.<ref>오렌지주스 사태는 미국 내 오렌지 흉작이 더 큰 원인이기는 하지만, 결정적인 타격은 엔저에 있다.</ref>


=== 자비없는 송금 수수료 ===
=== 자비없는 송금 수수료 ===
103번째 줄: 89번째 줄:
== 현찰 시리즈 ==
== 현찰 시리즈 ==
일본은행권의 시기별 구분은 [[한자]] 표현상 '알파벳+호권 (~号券(ごうけん))' 이고 [[가타가나]]로는 알파벳+시리즈(Series, シリーズ)의 표현을 사용한다. 즉, 현행권은 E호권 혹은 E시리즈. (E号券=Eシリーズ)
일본은행권의 시기별 구분은 [[한자]] 표현상 '알파벳+호권 (~号券(ごうけん))' 이고 [[가타가나]]로는 알파벳+시리즈(Series, シリーズ)의 표현을 사용한다. 즉, 현행권은 E호권 혹은 E시리즈. (E号券=Eシリーズ)
지폐는 1946년(쇼와 21년) 이후로 발행한 권종, 동전은 1948년(쇼와 23년) 이후 발행한 권종이면 모두 유통(사용)이 가능하다. 단, 액면가가 '''1엔 미만'''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없다.


=== 동전 ===
=== 동전 ===
112번째 줄: 96번째 줄:
은행창구에서 동전→지폐 교환시 수수료를 떼므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도 있다. 예로 1엔짜리 200개를 가져가는 바람에 수수료가 324엔<ref>수수료 300엔 + 세금 24엔의 구조. 일본은 은행수수료도 상거래에 해당하기에 세금이 붙는다.<s>동전 처리하러 갔다가 동전 더 만들 기세</s></ref> 나와서 되려 돈을 더 줘야하는 상황이 된다든가(...) 자동화기기를 이용하거나 그냥 통째로 입금처리 하거나, 아니면 수수료 면제범위인 20개~100개 단위로 나눠가며 바꿔야 한다.
은행창구에서 동전→지폐 교환시 수수료를 떼므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도 있다. 예로 1엔짜리 200개를 가져가는 바람에 수수료가 324엔<ref>수수료 300엔 + 세금 24엔의 구조. 일본은 은행수수료도 상거래에 해당하기에 세금이 붙는다.<s>동전 처리하러 갔다가 동전 더 만들 기세</s></ref> 나와서 되려 돈을 더 줘야하는 상황이 된다든가(...) 자동화기기를 이용하거나 그냥 통째로 입금처리 하거나, 아니면 수수료 면제범위인 20개~100개 단위로 나눠가며 바꿔야 한다.


그렇다면 한꺼번에 사용하면 되지 않나 싶어도 그게 불가능한게, 한국과 달리 일본 법률에선 상거래시 한번에 동전을 20개 이상 처분하지 못하게 했기 때문이다<ref>통화의 단위 혹은 화폐의 발행등에 관한 법률 제 7조(법화로서의 통용한도) 화폐는 액면가격의 20배까지를 한도로, 법정통화로서 통용한다. ({{일본어=|貨幣は、額面価格の20倍までを限り、法貨として通用する。}})</ref>. 간단히 말해 1엔짜리 동전을 사용시엔 암묵적인 동의가 없다면 20엔까지만 결제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뜻이다. 즉, 월급을 동전으로 지급하거나 계산할 때 동전으로 지급하면서 떙깡부리는 짓이 '''법률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한꺼번에 사용하면 되지 않나 싶어도 그게 불가능한게, 한국과 달리 일본 법률에선 상거래시 한번에 동전을 20개 이상 처분하지 못하게 했기 때문이다<ref>통화의 단위 혹은 화폐의 발행등에 관한 법률 제 7조(법화로서의 통용한도) 화폐는 액면가격의 20배까지를 한도로, 법정통화로서 통용한다. (貨幣は、額面価格の20倍までを限り、法貨として通用する。)</ref>. 간단히 말해 1엔짜리 동전을 사용시엔 암묵적인 동의가 없다면 20엔까지만 결제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뜻이다. 즉, 월급을 동전으로 지급하거나 계산할 때 동전으로 지급하면서 떙깡부리는 짓이 '''법률적으로 불가능'''하다.


==== 변천사 ====
==== 변천사 ====
134번째 줄: 118번째 줄:
** 초판은 백동화였는데, 스펙이 한국의 500원 동전과 같아서 자판기가 구별을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자 일본은행이 한국은행과 담판을 벌인다. 하지만 500엔이 한 발 늦게 발행되기 시작한 것으로 밝혀져<ref>이 진실이 널리 알려지기 전까지는 혐한러들의 주요 레퍼토리(한국이 베낀 것 리스트)이기도 했다.</ref> 일본 측에서 개정판을 발행하게 되었다. 도안은 오동나무. 2021년 신주화에서는 1유로 주화처럼 황동띠가 들어간다.
** 초판은 백동화였는데, 스펙이 한국의 500원 동전과 같아서 자판기가 구별을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자 일본은행이 한국은행과 담판을 벌인다. 하지만 500엔이 한 발 늦게 발행되기 시작한 것으로 밝혀져<ref>이 진실이 널리 알려지기 전까지는 혐한러들의 주요 레퍼토리(한국이 베낀 것 리스트)이기도 했다.</ref> 일본 측에서 개정판을 발행하게 되었다. 도안은 오동나무. 2021년 신주화에서는 1유로 주화처럼 황동띠가 들어간다.
** 전 세계에 통용되는 주화들 중 가치면에서 최상위권에 속하는 동전이다. (이것보다 가치가 높은 것은 스위스 5프랑 동전 뿐이다.) 게임센터를 제외하여 일상적으로 흔히 '원코인'이라 불리는 것은 바로 이걸 가리킨다. 일본인들이 동전지갑을 필수품으로 들고다니게 만든 원인 중 하나.
** 전 세계에 통용되는 주화들 중 가치면에서 최상위권에 속하는 동전이다. (이것보다 가치가 높은 것은 스위스 5프랑 동전 뿐이다.) 게임센터를 제외하여 일상적으로 흔히 '원코인'이라 불리는 것은 바로 이걸 가리킨다. 일본인들이 동전지갑을 필수품으로 들고다니게 만든 원인 중 하나.
{| class="wikitable"
|[[파일:Japan Mint Sets 2019 002.jpg]]
|[[파일:Japan Mint Sets 2019 001.jpg]]
|-
| style="text-align: right; width:50%;" | 앞면
| style="text-align: left; width:50%;"| 뒷면 (헤이세이 31년 (2019년 4월까지) 민트)
|}


=== 예정 : [[레이와]] 시대 신권 (F호, 2024 ~ ) ===
=== 예정 : [[레이와]] 시대 신권 (F호, 2024 ~ ) ===
2019년(헤이세이 31년)<ref>레이와로 넘어가기 이전이다.</ref> 4월 9일 오전, 도쿄 카스미가세키 청사에서 신권(F호권) 계획을 발표하였고, 계획대로라면 2024년(레이와 6년) 7월 3일에 발행이 예정되어 있다. 2천엔권은 수요가 없다는 이유로 E호권에 이어 이번에도 신규 발행은 하지 않기로 했다.
2019년(헤이세이 31년)<ref>레이와로 넘어가기 이전이다.</ref> 4월 9일 오전, 도쿄 카스미가세키 청사에서 신권(F호권) 계획을 발표하였고, 계획대로라면 2024년(레이와 6년)발행이 예정되어 있다. 2천엔권은 수요가 없다는 이유로 E호권에 이어 이번에도 신규 발행하지 않기로 했다.


1만엔권 모델로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선정되면서, 헤이세이 시절 고액권의 상징이던 후쿠자와 유키치(a.k.a. '유키치상(諭吉さん)')의 이미지를 넘겨줄 예정이다. 1천엔권 과학자 모델에선 노구치를 대신하여 키타사토 시바사부로가, 5천엔권 문인(文人) 모델에선 히구치를 대신하여 츠다 우메코가 들어가는데, <s>적어도 일본사 시간에 졸지만 않았다면</s> 시부사와가 일본인에게 있어서는 이름 정도는 들어봤을 유명인인데 반해, 키타사토 및 츠다는 대중적인 인지도가 많이 낮은 편이었다. 때문에 두 인물의 고향마을 및 대학([[도쿄의과대학]], [[츠다주쿠여자대학]])에서는 유명해짐에 따라 뭔가 덕을 좀 볼 수 있겠다며 환영 플랜카드를 내걸기도 하였다.
1만엔권의 모델로는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선정되면서, 헤이세이 시절 고액권의 상징이던 후쿠자와 유키치의 이미지를 넘겨줄 예정이다. 과학자 모델에선 노구치를 대신하여 키타사토 시바사부로, 문인 모델에선 히구치를 대신하여 츠다 우메코가 들어가는데, 두 인물 모두 대중적인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ref>반면, 시부사와는 <s>적어도 일본사 시간에 졸지만 않았다면</s> 일본인에게 있어서 이름 정도는 들어봤을 유명인이다.</ref> 때문에 두 인물의 고향마을 및 대학([[도쿄의과대학]], [[츠다쥬쿠대학]])에서는 뭔가 덕을 좀 볼 수 있겠다고 환영 플랜카드를 내걸었다고.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 일본 엔 F호(6차) 시리즈 (2024년판)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Nihon Yen F(6th) Series (2024~)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000 [[기타자토 시바사부로]]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000 [[기타자토 시바사부로]]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5,000 [[츠다 우메코]]{{ㅈ|츠다주쿠여자대학 설립자}}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5,000 [[츠다 우메코]]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0,000 [[시부사와 에이이치]]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0,000 [[시부사와 에이이치]]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1000 yen obverse scheduled to be issued 2024 front.jpg]][[파일:1000 yen obverse scheduled to be issued 2024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5000 yen obverse scheduled to be issued 2024 front.jpg]][[파일:5000 yen obverse scheduled to be issued 2024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10000 yen obverse scheduled to be issued 2024 front.jpg]][[파일:10000 yen obverse scheduled to be issued 2024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우키요에 「[[가나가와의 큰 파도]]」
| style="text-align: center;" | 우키요에 「[[가나가와의 큰 파도]]」
165번째 줄: 141번째 줄:


=== 현행권 : [[헤이세이]] 시대 발행분 ===
=== 현행권 : [[헤이세이]] 시대 발행분 ===
[[파일:USD-JPY (Plaza Accord).svg|right|섬네일|80년대 중후반 엔달러 환율<small> (버블 경제 절정기)</small>]]
[[File:USD-JPY (Plaza Accord).svg|right|섬네일|80년대 중후반 엔달러 환율<small> (버블 경제 절정기)</small>]]
1984년(쇼와 59년) 11월 1일, D호권 신 시리즈가 기존의 지폐들을 통째로 교체하였으며, 이후 무려 20년 가까이 발행 및 유통되었다. 이때 그동안 쇼와 시대 고액권의 상징인 쇼토쿠 태자는, 후쿠자와 유키치에게 그 역할을 넘겨주게 된다.
1984년(쇼와 59년) 11월 1일, D호권 신 시리즈가 기존의 지폐들을 통째로 교체하였으며, 이후 무려 20년 가까이 발행 및 유통되었다. 이때 그동안 쇼와 시대 고액권의 상징인 쇼토쿠 태자는, 후쿠자와 유키치에게 그 역할을 넘겨주게 된다.


177번째 줄: 153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 니혼 엔 - 헤이세이 시리즈 (D/E, 1984 ~ 2004 ~ 2024)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Nihon Yen : Heisei Series (D/E, 1984 ~ 2004 ~ 2024)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7%;"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7%;" |  
185번째 줄: 161번째 줄: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E호권<br /><small>(H16~R5)</small>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E호권<br /><small>(H16~R5)</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51.jpg]][[파일:Series E 1K 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51.jpg]]<b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JPY503.jpg]][[파일:5000 Yenes (2004) (Reverso).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JPY503.jpg]]<br />[[File:5000 Yenes (2004) (Reverso).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53.jpg]][[파일:10000 Yenes (Reverso).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53.jpg]]<br />[[File:10000_Yenes_(Reverso).jpg]]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B7F0B1;" | [[노구치 히데요]] (野口英世)<br />[[후지산]]<ref>후지산만 전문적으로 찍은 사진가, 오카다 고요(岡田紅陽)의 작품을 사용한 도안으로, D 오천엔권의 후지산 또한 마찬가지이다. [[야마나시현]]의 모토스 호수(本栖湖)에서 촬영한 것이다.</ref>과 [[벚꽃]]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B7F0B1;" | [[노구치 히데요]] (野口英世)<br />[[후지산]]<ref>후지산만 전문적으로 찍은 사진가, 오카다 고요(岡田紅陽)의 작품을 사용한 도안으로, D 오천엔권의 후지산 또한 마찬가지이다. [[야마나시현]]의 모토스 호수(本栖湖)에서 촬영한 것이다.</ref>과 [[벚꽃]]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 [[히구치 이치요]] (樋口一葉)<br />오가타 고린作 제비붓꽃그림<ref>尾形光琳(おがた・こうりん) - 燕子花図(かきつばたず)</ref>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 [[히구치 이치요]] (樋口一葉)<br />오가타 고린作 제비붓꽃그림<ref>尾形光琳(おがた・こうりん) - 燕子花図(かきつばたず)</ref>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E08C;" | [[후쿠자와 유키치]] ({{일본어=|福沢諭吉}})<br />[[뵤도인]](평등원)봉황당의 [[봉황]]상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E08C;" | [[후쿠자와 유키치]] (福沢諭吉)<br />[[뵤도인]](평등원)봉황당의 [[봉황]]상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D호권<br /><small>(S59~H15)</small>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D호권<br /><small>(S59~H15)</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1000 yen Natsume Soseki.jpg]][[파일:Series D 1K 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1000 yen Natsume Soseki.jpg]]<b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43.jpg]][[파일:Series D 5K 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43.jpg]]<b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eries D 10K Yen Bank of Japan note - front.jpg]][[파일:Series D 10K 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br />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CEF279;" | [[나쓰메 소세키]] (夏目漱石)<br />[[두루미]] 두 마리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CEF279;" | [[나쓰메 소세키]] (夏目漱石)<br />[[두루미]] 두 마리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AED7D;" | [[니토베 이나조]] ({{일본어=|新渡戸稲造}}{{ㅈ|[[도쿄여자대학]] 설립자}}) & [[태평양]]<br />[[후지산]]과 [[소나무]]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AED7D;" | [[니토베 이나조]] (新渡戸稲造) & [[태평양]]<br />[[후지산]]과 [[소나무]]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E08C;" | [[후쿠자와 유키치]]<br />[[꿩]] ([[장끼]]와 [[까투리]])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E08C;" | [[후쿠자와 유키치]]<br />[[꿩]] ([[장끼]]와 [[까투리]])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2,000<br />(D호권)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AEAEA;" | ¥2,000<br />(D号券)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42.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42.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2000 Yen Murasaki Shikibu.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슈레이몬]] (守礼門)<br />--<br />[[무라사키 시키부]] (紫式部)<br />[[겐지모노가타리]] 에마키 삽화/글<ref>{{일본어=|源氏物語絵巻第38帖「鈴虫」}}(겐지모노가타리 제 38장, 스즈무시)의 일부. 9개 구절 모두다 앞소절(윗부분) 나오고 뒷소절은 잘렸다.</ref><ref>해당 시를 현대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十五夜のゆふ'''くれに仏のおまへ(보름달이 아직 그림자를 숨기고 있는 저녁 무렵 부처님 앞에) / '''に宮おはしては'''しちかくなかめ'''たまひつヽ念珠'''したまふわかき(황녀(온나산노미야)분이 납시게 되셔, 가까이 바라보며 불경을 외고 계십니다.) / '''あまきみたち二'''三人はなたてま(젊은 분들이 두세명, (황녀에게) 꽃을 보내드리고자) / '''つるとてならす'''あかつきのおとみつ(아카츠키(閼伽坏, 부처에게 바치는 공양수같은 것.)나 물의 소리를 내어서) / '''のけはひなとき'''こゆさまかはりたる(속세를 벗어난 일에 열중하듯 보이도록 했으나) / '''いとなみにいそき'''あへるいとあわれな(매우 안 된 일이긴 하지만) / '''るにれいのわ'''たりたまひてむしのね'''いとしけく'''(みたるるゆふへかなとてわれもしのひやかに念珠したまふ)(연례행사마냥 겐지가 와버렸으니 '곤충들의 울음소리가 많이 섞인 저녁이네요.' 라고...) (※편집자 번역)"</ref><ref>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절간에 있는 궁녀는 공양으로 올린 물그릇을 열심히 때리며 한창 제를 지내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히카루 겐지의 발을 돌리게 하려 했지만, 겐지는 끝끝내 담을 넘어와 물그릇 소리를 밤에 우는 곤충 소리에 비유하며 "소리가 참 좋네요", 라며 작업을 거는 장면이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슈레이몬]] (守礼門)<br />--<br />[[무라사키 시키부]] (紫式部)<br />[[겐지모노가타리]] 에마키 삽화/글<ref>源氏物語絵巻第38帖「鈴虫」(겐지모노가타리 제 38장, 스즈무시)의 일부. 9개 구절 모두다 앞소절(윗부분) 나오고 뒷소절은 잘렸다.</ref><ref>해당 시를 현대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十五夜のゆふ'''くれに仏のおまへ(보름달이 아직 그림자를 숨기고 있는 저녁 무렵 부처님 앞에) / '''に宮おはしては'''しちかくなかめ'''たまひつヽ念珠'''したまふわかき(황녀(온나산노미야)분이 납시게 되셔, 가까이 바라보며 불경을 외고 계십니다.) / '''あまきみたち二'''三人はなたてま(젊은 분들이 두세명, (황녀에게) 꽃을 보내드리고자) / '''つるとてならす'''あかつきのおとみつ(아카츠키(閼伽坏, 부처에게 바치는 공양수같은 것.)나 물의 소리를 내어서) / '''のけはひなとき'''こゆさまかはりたる(속세를 벗어난 일에 열중하듯 보이도록 했으나) / '''いとなみにいそき'''あへるいとあわれな(매우 안 된 일이긴 하지만) / '''るにれいのわ'''たりたまひてむしのね'''いとしけく'''(みたるるゆふへかなとてわれもしのひやかに念珠したまふ)(연례행사마냥 겐지가 와버렸으니 '곤충들의 울음소리가 많이 섞인 저녁이네요.' 라고...) (※편집자 번역)"</ref><ref>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절간에 있는 궁녀는 공양으로 올린 물그릇을 열심히 때리며 한창 제를 지내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히카루 겐지의 발을 돌리게 하려 했지만, 겐지는 끝끝내 담을 넘어와 물그릇 소리를 밤에 우는 곤충 소리에 비유하며 "소리가 참 좋네요", 라며 작업을 거는 장면이다.</ref>
|-
|-
! colspan="4"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
* 2000년 7월 19일에는 새천년(밀레니엄)을 기념하는 것과 동시에 G8 정상회담 개최를 기념하여, 오부치 케이조(小淵惠三)의 제안으로 은근히 일본 내에서 소외된 지역이던 오키나와를 소재로 하는 2천엔권이 발행되었다. <small><s>하지만 결국엔 (본토 한정으로) 이 지폐 자체가 소외된다...</s></small>
* 2000년 7월 19일에는 새천년(밀레니엄)을 기념하는 것과 동시에 G8 정상회담 개최를 기념하여, 오부치 케이조(小淵惠三)의 제안으로 은근히 일본 내에서 소외된 지역이던 오키나와를 소재로 하는 2천엔권이 발행되었다. <small><s>하지만 결국엔 (본토 한정으로) 이 지폐 자체가 소외된다...</s></small>
* 2000년까지는 대장성인쇄국(大蔵省印刷局)에서 발행하였으나, 2001년 1월에 재무성인쇄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2003년 4월에 국립인쇄국으로 다시 인쇄소의 명칭을 변경하였다. 단, 2000엔권은 해당사항이 없다.
* 2000년까지는 대장성인쇄국(大蔵省印刷局)에서 발행하였으나, 2001년 1월에 재무성인쇄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2003년 4월에 국립인쇄국으로 다시 인쇄소의 명칭을 변경하였다. 단, 2000엔권은 해당사항이 없다.
* 2003년에는 차세대 신권(E호권)을 준비하느라 추가 인쇄를 일시적으로 멈췄고, 2004년(헤이세이 16년)에 메인 인물을 교체하고 보안요소가 강화된 E호권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세대교체를 알렸다. 다만 후쿠자와 유키치는 그대로 1만엔권의 모델을 유지하였다.
* 2003년에는 차세대 신권(E호권)을 준비하느라 추가 인쇄를 일시적으로 멈췄고, 2004년(헤이세이 16년)에 메인 인물을 교체하고 보안요소가 강화된 E호권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세대교체를 알렸다. 다만 후쿠자와 유키치는 그대로 1만엔권의 모델을 유지하였다.
* E호권에 들어가는 인물로는 서로 이름이 비슷한 노구치 히데요(野口英世)와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가 올랐는데... 둘 다 유명세를 타면서 운명이 갈려버린 것이 특이점이다. D호권에서 [[개화기]] 유명 문인(文人)인 나츠메 소세키(夏目漱石)를 대신해 등장한 노구치는 [[천하의 개쌍놈]]으로 재평가 되면서 시원하게 욕바가지를 먹었는데, 공기급 인지도로 마친 니토베 이나조({{일본어=|新渡戸稲造}}) 대신 등장한, 마찬가지로 대중들에게 있어 무명에 가까웠던<ref>일본 고등학교의 현대문학 교과서에 나오긴 하지만, 딱 그 정도이다. 문학에 구태여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면 아주 어렴풋이 '아, 그런 작가도 있었...나?' 정도로만 기억할 인지도였다.</ref> 메이지 여류문인의 히구치는, 아주 제대로 홍보되면서 인물 자체가 재조명되었다. <s>열도의 흔한 여존남비 현상</s>
* E호권에 들어가는 인물로는 서로 이름이 비슷한 노구치 히데요(野口英世)와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가 올랐는데... 둘 다 유명세를 타면서 운명이 갈려버린 것이 특이점이다. D호권에서 [[개화기]] 유명 문인(文人)인 나츠메 소세키(夏目漱石)를 대신해 등장한 노구치는 [[천하의 개쌍놈]]으로 재평가 되면서 시원하게 욕바가지를 먹었는데, 공기급 인지도로 마친 니토베 이나조(新渡戸稲造) 대신 등장한, 마찬가지로 대중들에게 있어 무명에 가까웠던<ref>일본 고등학교의 현대문학 교과서에 나오긴 하지만, 딱 그 정도이다. 문학에 구태여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면 아주 어렴풋이 '아, 그런 작가도 있었...나?' 정도로만 기억할 인지도였다.</ref> 메이지 여류문인의 히구치는, 아주 제대로 홍보되면서 인물 자체가 재조명되었다. <s>열도의 흔한 여존남비 현상</s>
 
 
* <big>'''참조''' : 여기서부터 아래의 지폐는 1엔 이상 권종에 한하여 일본 국내에서의 사용(유통)이 가능하다.</big>
** 그러나 대개 대면 거래 한정으로 가능하며, 자판기나 ATM 등에선 인식을 못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의 환전소('''한국 포함''')에선 A~C호 구권(때로는 D호마저)의 환전을 취급하지 않으니<ref>A~C호권 환전에 성공했다면 그건 어디까지나 환전소에서 편의를 준 것이다.</ref> 주의하자.<ref>농협은행 에서는 현행권만 받으며 2천엔 지폐를 제외한 이외 지폐는 애당초 취급을 안한다 안내를 받았다. 하나은행,우리은행,신한은행은 불명</ref>


{{폐기권}}
다만, 일본내에서는 문제 없이 사용이 가능하지만 대면 거래에서만 가능하며 기기는 D호권만 간신히 받는 곳이 있다. 동남아,유럽 등 외국의 환전소는 무조건 현행권이 아니면 환전을 해주지 않으니 주의하자.
=== [[쇼와 시대]] 구권 (B/C호) ===
=== [[쇼와 시대]] 구권 (B/C호) ===
B호는 1950년부터 발행, C호는 B호의 연장선으로서 1963년 전후로 도입되었다. 이 당시에는 고액권=[[쇼토쿠 태자]]라는 이미지가 있었는데, 후대(1984~2024)의 후쿠자와 유키치의 이미지와 동일하였다. 다만 5천엔/1만엔권은 당시 일본인의 감각으로도 상당한 고액권이어서<ref>1970년 전후 평균임금이 약 4~6만엔 정도였다. 후술하지만 당시 엔달러 환율은 360엔/USD으로, 환산하면 약 100~200달러 정도이다.</ref> 주류로 쓰이는 고액권은 1,000엔권이었다. 때문에 창작물 등에서도 후기 쇼와 지폐의 이미지로 주로 1천엔권(가끔가다 이와쿠라 500엔권)이 그려지곤 한다.
B호는 1950년부터, C호는 B호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1963년에 도입되었다. 이 당시에는 고액권=[[쇼토쿠 태자]]라는 이미지가 있었는데, 지금(1984~2024)의 후쿠자와 유키치의 이미지와 동일하다. C호권의 저액권 2종류는 기존의 와시(화지)를 섞은 혼합소재에서 흔히 쓰이는 순면소재로 바꾼 것을 기준으로 하는데, 때문에 이후(F호권)까지 발행된 종류 중에서는 유일하게 순백색을 띄고있다. 다만 부작용이 더 많다는 조폐국의 판단으로 D호권부터는 다시 와시 혼합소재(미색)로 회귀했다. 이러한 요소들이 모두, 창작물 등에서도 후기 쇼와 지폐의 특징으로 표현되고 있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더 이전 구권인 A호권도 '쇼와 시대'의 구권이긴 하지만, A호권의 경우는 이미지적으로 '발전하는 쇼와 시대'라기 보다는, 제국이 망한 직후에 지독히 어려웠던 시절의 포지션에 더 가깝다. 그 A호권 지폐의 상징이 쇼토쿠 태자 100엔권(및 니노미야 1엔권)이었던 탓인지, 후기 쇼와를 묘사할 때 B호권의 쇼토쿠 1천엔보다는, C호권의 이토 히로부미 1천엔권을 좀 더 자주 채용하곤 한다.
 
그 C호권으로 개정 당시 1,000엔 이하 신규 및 기존 권종을 와시(화지)를 섞은 혼합소재(미색지)를 대신해 순면소재의 백색지로 바꿔 도입하였는데, 부작용이 더 많다는 조폐국의 판단으로 D호권부터는 다시 와시 혼합소재(미색지)로 회귀했다. 때문에 C호권은 다른 일본은행권과 촉감부분 등에서 이질적인 편이다.


1982년에 500엔권 동전이 발행되었음에도 C호의 이와쿠라 500엔권 지폐도 계속 발행되어 1984년에 D호로 개정된 이후로도 병행 통용되었으나, 1994년 4월부로 발행을 중단하였다. 이후 10여년간은 간간히 눈에 띄었으나, E호권 개정 무렵(2004년 전후)에 사실상 자취를 감추었다. 자판기 및 ATM 등에서 신권 취급을 위해 업그레이드 할 때, 500엔권을 취급하지 않는 방향으로 전환된 영향으로 보인다.
엄밀히는 더 이전 구권인 A호권도 '쇼와 시대'의 구권이긴 하지만, A호권의 경우는 이미지적으로 '발전하는 쇼와 시대'라기 보다는 제국이 망한 직후에 지독히 어려웠던 시절의 포지션에 더 가깝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 일본 엔 : 쇼와시대 (B호(2차)/C호(3차), 1950 ~ 1963 ~ 1983)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Nihon Yen : Showa Series (B/C, 1950 ~ 1963 ~ 1983)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 25%; background-color:#E8D9FF;" | ¥100 (B) [[이타가키 다이스케]]<br />국회의사당 (도쿄)
| style="text-align: center; width: 25%; background-color:#E8D9FF;" | ¥100 (B)
| style="text-align: center; width: 25%; background-color:#FFD8D8;" | ¥500 (C) [[이와쿠라 도모미]]<br />[[후지산]]
| style="text-align: center; width: 25%; background-color:#FFD8D8;" | ¥500 (C)
| style="text-align: center; width: 25%; background-color:#FFD8D8;" | ¥1,000 (C) [[이토 히로부미]]<br /><small><s>[[한국인]]과 [[중국인]]이 이 지폐를 싫어합니다.</s></small>
| style="text-align: center; width: 25%; background-color:#FFD8D8;" | ¥1,000 (C)
| style="text-align: center; width: 25%; background-color:#FFD8D8;" | ¥10,000 (C) [[쇼토쿠 태자]]<br /><small>(뒷면 도안 없음)</small>
| style="text-align: center; width: 25%; background-color:#FFD8D8;" | ¥10,000 (C)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22.jpg]][[파일:SeriesB100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22.jpg]]<br />[[이타가키 다이스케]]<br />국회의사당 (도쿄)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31.jpg]][[파일:Series C 500 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31.jpg]]<br />[[이와쿠라 도모미]]<br />[[후지산]]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32.jpg]][[파일:Series C 1K 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32.jpg]]<br />[[이토 히로부미]]<br /><small><s>[[한국인]]과 [[중국인]]이 이 지폐를 싫어합니다.</s></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25.jpg]][[파일:Series C 10K 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25.jpg]]<br />[[쇼토쿠 태자]]<br /><small>(뒷면 도안 없음)</small>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 ¥50 (B) [[다카하시 고레키요]]<br />일본은행 본청사 (도쿄)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 ¥50 (B)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 ¥500 (B) 이와쿠라 토모미<br />[[후지산]]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 ¥500 (B)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 ¥1,000 (B) [[쇼토쿠 태자]]<br />[[호류지]] 유메도노 <small>(법륭사몽전)</small>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 ¥1,000 (B)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D8D8;" | ¥5,000 (C) [[쇼토쿠 태자]]<br />일본은행 본관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D8D8;" | ¥5,000 (C)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21.jpg]][[파일:Series B 50 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21.jpg]]<br />[[다카하시 고레키요]]<br />일본은행 본청사 (도쿄)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23.jpg]][[파일:Series B 500 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23.jpg]]<br />이와쿠라 토모미<br />[[후지산]]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24.jpg]][[파일:Series B 1000 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b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24.jpg]]<br />[[쇼토쿠 태자]]<br />[[호류지]] 유메도노 (법륭사몽전)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eries C 5K Yen Bank of Japan note - front.jpg]]<br />[[파일:Series C 5K Yen Bank of Japan note - back.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eries C 5K Yen Bank of Japan note - front.jpg]]<br />[[쇼토쿠 태자]]<br /><small>(뒷면 도안 없음)</small>
|}
|}
* 5천엔과 1만엔은 B호권과 유사한 디자인을 하고 있지만, 시기적으로 늦게 나온 탓인지(1958년) 백색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공식 분류상으로는 C호권으로 구분한다. 다만 시제품 발행은 B호 시기에 가까운 1953년에 이뤄졌었고, 당시의 1만엔에는 앞면 좌측에 A호권 100엔 뒷면에 있던 호류지(법륭사)가 들어가있었다.
* 5천엔과 1만엔은 B호권과 유사한 디자인을 하고 있지만, 시기적으로 늦게 나온 탓인지 공식 분류상으로는 C호권으로 구분한다.
** 지금 시선에서야 50년대에 왜 10만원짜리<ref>1958년 당시 물가는 2021년 대비 물가지수 기준으론 절반 수준, 생활물가 기준으로는 ¼에 불과했다. 즉, 지금으로 치면 대략 30~40만원짜리 지폐가 나오는 격.</ref>필요했을까?, 싶었겠으나 그 당시 대미 환율이 달러당 300엔이 넘어서, 미달러 환산액이 30달러도 채 안되었다.<ref>바꿔 말해서 기존 최고액권(1천엔)은 고작 3달러였다는 것. <s>삼딸라는 너무 적소, 사딸라 쯤 합시다.</s> 다만 미국도 사정은 비슷해서, 1950년대의 생활물가가 2020년 대비 약 1/10 수준이었음에도 첨단공업상품(차량, TV, 전화기, 라디오, 냉장고 등)의 대중화로 인해 고액권 수요가 발생하여서 이미 100달러 지폐까지 발행하고 있었다.</ref> 일본의 경제모델이 미국을 따르기도 하였고, 무역 의존도도 매우 높았기에 환전 편의를 위해서도 필요하였다.
* [[토요사토미미노 미코]]든 나무패는 본 시리즈의 쇼도쿠 태자를 보고 그렸다고 원작자 [[ZUN]]이 직접 밝힌 바 있다.
* 액면 자체가 낮은 A호권(및 공식적으로는 B호권 포함)을 제하고, 고액권 중에서는 가장 발행시기가 빠른 본 시리즈의 1만엔권(C호)가 가장 위조에 취약하기 때문에 위폐가 어느 정도 존재한다. 최근 사례는 2010년대 초반 대만발 위폐로, 한국에도 일부가 흘러들어와 소소하게 뉴스거리가 된 적이 있다. 진폐에 비해 아주 약간 푸른빛깔을 띄는 것이 특징이지만, 직접 대조하지 않는 이상은 눈에 띄지 않아서 취급시에는 대단히 주의가 필요하다.
* 액면 자체가 낮은 A호권(및 공식적으로는 B호권 포함)을 제하고, 고액권 중에서는 가장 발행시기가 빠른 본 시리즈의 1만엔권(C호)가 가장 위조에 취약하기 때문에 위폐가 어느 정도 존재한다. 최근 사례는 2010년대 초반 대만발 위폐로, 한국에도 일부가 흘러들어와 소소하게 뉴스거리가 된 적이 있다. 진폐에 비해 아주 약간 푸른빛깔을 띄는 것이 특징이지만, 직접 대조하지 않는 이상은 눈에 띄지 않아서 취급시에는 대단히 주의가 필요하다.
* C호권 1000엔(1963년)에는 원래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어른의 사정으로 이토 히로부미로 바뀌었다. 시부사와의 등재는 그로부터 60년의 세월이 지난 2024년(F호)에서야 이루어졌다.
* [[토요사토미미노 미코]]가 든 나무패는 C호권(1만엔)의 쇼도쿠 태자를 보고 그렸다고 원작자 [[ZUN]]이 직접 밝힌 바 있다.


=== A호권 (1946~1949) ===
=== A호권 (1946~1949) ===
261번째 줄: 229번째 줄:
1946년(쇼와 21년) 일본은 태평양 전쟁의 패전으로 과거 일본 제국이 뿌린 돈이 너무 많아 사실상 경제적 파탄으로 이어지던 시기였다. 당시 총리인 요시다 시게루는 예금봉쇄를 명령하였다. 기존의 모든 통화를 예금 이외로는 모두 무효화하고, 대신 신권의 인출을 당분간 1세대당 300엔<ref>미화로 약 1달러 정도. 당시 일본의 물가(구매력 기준)로 치자면 약 100만원에 해당하는 큰 돈이었다. (당시 노동자의 월 임금이 400엔 내외.)</ref> 및 1인당 100엔 인출의 제한을 둔 것.
1946년(쇼와 21년) 일본은 태평양 전쟁의 패전으로 과거 일본 제국이 뿌린 돈이 너무 많아 사실상 경제적 파탄으로 이어지던 시기였다. 당시 총리인 요시다 시게루는 예금봉쇄를 명령하였다. 기존의 모든 통화를 예금 이외로는 모두 무효화하고, 대신 신권의 인출을 당분간 1세대당 300엔<ref>미화로 약 1달러 정도. 당시 일본의 물가(구매력 기준)로 치자면 약 100만원에 해당하는 큰 돈이었다. (당시 노동자의 월 임금이 400엔 내외.)</ref> 및 1인당 100엔 인출의 제한을 둔 것.


63년 후 [[북한|어떤 집단]]에서 시행한 정책과 닮은 것처럼 보이겠지만, 결정적으로 신용할 수 있는 예금이었기에 사회문제로 이어지지는 않은건 몰론, 성공적으로 인플레를 잡아내어 디노미네이션의 좋은 사례로 거론된다.
63년 후, [[북한|어떤 집단]]에서 시행한 정책과 닮은 것처럼 보이겠지만, 결정적으로 신용할 수 있는 예금이었기에 사회문제로 이어지지는 않은건 몰론, 성공적으로 인플레를 잡아내어 디노미네이션의 좋은 사례로 거론된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270번째 줄: 238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width: 33%;" | ¥1
| style="text-align: center; width: 33%;" | ¥1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11.jpg]]
[[매화]]나무
[[매화]]나무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12.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12.jpg]]
[[비둘기]]
[[비둘기]]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82번째 줄: 250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15.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15.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yen16.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yen16.jpg]]
[[쇼토쿠 태자]] (앞)<br />[[호류지]]=법륭사 (뒤)
[[쇼토쿠 태자]] (앞)<br />[[호류지]]=법륭사 (뒤)
|-
|-
|}
|}
* A호권 10엔은 발행 당시 미국의 음모로 찍어낸 돈이라는 소문이 돌았는데, 그 근거는 아래와 같았다.
* 100엔권의 경우, 신권 발행이 늦어져서 인지를 부착하여 신권을 표기하는, 일종의 첨쇄권이 통용된 적이 있다.
** 앞면 좌측의 일본 국회의사당이 [[십자가]] 형태의 틀 안에 들어있다.
** 앞면 우측의 국화무늬와 봉황<sup>※둘 다 일본 황실을 상징함.</sup>이 철책 안에 갇혀있는 형태를 띈다.
** 앞면의 틀 형태 자체가 외곽선 따라 크게 보면 미국(米国)으로 읽히게끔 그려져 있다.
** 뒷면 배경 쪽에 있는 작은 무늬들을 세어보면 48개<ref>당시는 알래스카와 하와이를 편입하기 이전이어서 총 48주였다.</ref>가 있어, 미국 국기의 별 = 미국의 주(州)를 나타내고 있다.
* 100엔권의 경우, 신권(A호권) 발행이 늦어져서 기존 지폐에 인지를 부착하여 신권을 표기하는, 일종의 첨쇄권이 통용된 적이 있다.
* 1945년 패전 직후 당시에는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000엔권도 발행 예정에 있었다. 총 3번의 시도가 있었다.
* 1945년 패전 직후 당시에는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000엔권도 발행 예정에 있었다. 총 3번의 시도가 있었다.
** い천엔권(평판인쇄) : 크기 172 * 100mm, 앞면에 야마토타케루(우측), 타케베 대사 본당(좌측)<ref>야마토타케루를 모시는 신사의 총본산. 시가현의 오오츠(大津)에 있다.</ref>을 집어넣었다. 사실 1942년 발행된 갑호권 1000엔을 재활용한 것으로, 일제에서 일본국으로 변경되면서 뒤따르는 제반 기재사항을 적당히 손봤을 뿐이다. 그러나 당시 재무성 장관(大蔵大臣<ref>정확히는 대장성(오오쿠라) 장관. 지금은 재무성으로 직함(財務大臣)이 변경됨.</ref>)이 실제 인쇄중이던 지폐들을 보고는 "이건 고액권 주제에 너무 허접해서 되려 헤프게 쓸 우려도 있고, 위조하기도 쉬워서 되려 화폐경제만 어지러워지고 물가 상승을 부채질하게 될 거다" 라고 <s>쿠사리</s> 조언하며 그대로 발행 계획이 엎어졌다. 하지만 그 전에 이미 나흘에 걸쳐 440만장(기번호 1~3)이나 인쇄를 해버렸기에, 기껏 찍어놓고는 전량 천공처리로 폐기하였다. 때문에 실물은 견본으로만 남아있다.
** い천엔권(평판인쇄) : 크기 172 * 100mm, 앞면에 야마토타케루(우측), 타케베 대사 본당(좌측)<ref>야마토타케루를 모시는 신사의 총본산. 시가현의 오오츠(大津)에 있다.</ref>을 집어넣었다. 사실 1942년 발행된 갑호권 1000엔을 재활용한 것으로, 일제에서 일본국으로 변경되면서 뒤따르는 제반 기재사항을 적당히 손봤을 뿐이다. 그러나 당시 재무성 장관(大蔵大臣<ref>정확히는 대장성(오오쿠라) 장관. 지금은 재무성으로 직함(財務大臣)이 변경됨.</ref>)이 실제 인쇄중이던 지폐들을 보고는 "이건 고액권 주제에 너무 허접해서 되려 헤프게 쓸 우려도 있고, 위조하기도 쉬워서 되려 화폐경제만 어지러워지고 물가 상승을 부채질하게 될 거다" 라고 <s>쿠사리</s> 조언하며 그대로 발행 계획이 엎어졌다. 하지만 그 전에 이미 나흘에 걸쳐 440만장(기번호 1~3)이나 인쇄를 해버렸기에, 기껏 찍어놓고는 전량 천공처리로 폐기하였다. 때문에 실물은 견본으로만 남아있다.
** A천엔권(1945년, 볼록판인쇄) : 패전 후 급격히 증가하는 인플레를 잡기 위해 예금봉쇄 계획과 함께하던 권종으로, 12신장의 바사라 장군상을 사이에 두고 신 야쿠시지(新薬師寺)와 호류지 봉황&나비를 양쪽에 넣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당시의 정부인 미군정(GHQ)이 승인해주지 않아 계획이 엎어졌다.
** A천엔권(1945년, 볼록판인쇄) : 패전 후 급격히 증가하는 인플레를 잡기 위해 예금봉쇄 계획과 함께하던 권종으로, 12신장의 바사라 장군상을 사이에 두고 신 야쿠시지(新薬師寺)와 호류지 봉황&나비를 양쪽에 넣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당시의 정부인 미군정(GHQ)이 승인해주지 않아 계획이 엎어졌다.
** A천엔권(1946년, 요판인쇄) : 일본제국 엔 폐지에서 일본국 엔으로 전환하는 과도기에 계획하던 고액권으로, 기존에 쓰이는 고액권이 당시 환율로 30센트<ref>※360엔/USD</ref> 가량밖에 되지 않아 불편함이 많았기에 GHQ의 인가까지 받아내어 의욕적으로 인쇄하려 하였다. 급하게 찍어내야 했기에 기존 제국시절에 쓰인 야마토타케루 도안의 갑 천엔권({{일본어=|甲千円券}})에서 은행명만 바꾼 정도의 인쇄판을 그대로 쓰기로 하고, 대신 [[팔레트 스왑|색상만 바꿔]]서 차별점을 두었다. 그러나 그 갑 천엔권의 인쇄판 뒷면에 남아있던 태환(兌換)문구가 문제되어<ref>당시 발행하려던 천엔권은 '''불환권'''이었다. 거기서 태환(=현물환금. 이 시점에선 미국 달러 환전)을 보장하면 혹시나 모를 뱅크런 같은 사태를 방지할 수 없어, 발행하는 의미가 없어진다.</ref> 배포 직전에 중단되고 만다. 그때 이미 약 540만장 정도 인쇄하였기에 실물이 남아있긴 하나, 천공처리 혹은 견양 낙인 후 폐기되어서 견양권으로만 남아있다.
** A천엔권(1946년, 요판인쇄) : 일본제국 엔 폐지에서 일본국 엔으로 전환하는 과도기에 계획하던 고액권으로, 기존에 쓰이는 고액권이 당시 환율로 30센트<ref>※360엔/USD</ref> 가량밖에 되지 않아 불편함이 많았기에 GHQ의 인가까지 받아내어 의욕적으로 인쇄하려 하였다. 급하게 찍어내야 했기에 기존 제국시절에 쓰인 야마토타케루 도안의 갑 천엔권(甲千円券)에서 은행명만 바꾼 정도의 인쇄판을 그대로 쓰기로 하고, 대신 [[팔레트 스왑|색상만 바꿔]]서 차별점을 두었다. 그러나 그 갑 천엔권의 인쇄판 뒷면에 남아있던 태환(兌換)문구가 문제되어<ref>당시 발행하려던 천엔권은 '''불환권'''이었다. 거기서 태환(=현물환금. 이 시점에선 미국 달러 환전)을 보장하면 혹시나 모를 뱅크런 같은 사태를 방지할 수 없어, 발행하는 의미가 없어진다.</ref> 배포 직전에 중단되고 만다. 그때 이미 약 540만장 정도 인쇄하였기에 실물이 남아있긴 하나, 천공처리 혹은 견양 낙인 후 폐기되어서 견양권으로만 남아있다.


== 이야기거리 ==
== 이야기거리 ==
* 자동번역기에서 일본→한글로 번역시, 엔을 그냥 '원'이라 번역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엔을 (환율이 적용된)원으로 착각하여 결제하였다가 참사를 당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일본에서는 되려 10배 커진 엄청난 가격(...)으로 오해해 경악하고 구매를 관두기도 한다고.
* 자동번역기에서 일본→한글로 번역시, 엔을 그냥 '원'이라 번역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엔을 (환율이 적용된)원으로 착각하여 결제하였다가 참사를 당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일본에서는 되려 10배 커진 엄청난 가격(...)으로 오해해 경악하고 구매를 관두기도 한다고.
* 일본 엔화는 지폐와 동전을 막론하고, 지폐(E호권)에 숨겨둔 미세문자 'ニ', 'ホ', 'ン'<ref>그것도 앞뒤로 각각 한 글자씩, 총 6개밖에 없다. 위치를 모른다면 월리를 찾아라가 다시보니 선녀로 느껴질만큼 난이도가 높다.</ref>을 제외하면 [[히라가나]] 및 [[가타가나]]가 단 한 글자도 쓰여있지 않다. 모두 로마자 아니면 한자로만 쓰여있는게 특징. <s>본격 자국문자 디스하기</s>
* 일본 엔화는 지폐와 동전을 막론하고, 지폐에 미세문자로 숨어 있는 'ニ', 'ホ', 'ン'을 제외하면 [[히라가나]] 및 [[가타가나]]가 단 한 글자도 쓰여있지 않다. 모두 로마자 아니면 한자로만 쓰여있는게 특징. <s>본격 자국문자 디스하기</s>
* 주조 및 조폐는 같은 곳에서 행해지나 동전은 일본국 정부에서, 지폐는 일본은행에서 발행하고 있다.
* 주조 및 조폐는 같은 곳에서 행해지나 동전은 일본국 정부에서, 지폐는 일본은행에서 발행하고 있다.
* 일본 500엔 동전 구권(A)이 한국 500원 동전(A)과 규격이 거의 일치해서, 자판기의 판독기가 두 동전을 구별하지 못하는 일이 잦았다. 그래서 한국의 500원 동전을 가져와다 자판기에 넣어 쓰는 일이 허다하게 일어나자<ref>혐한 세력은 지금도 이걸 한국인과 자이니치들의 민폐짓이라 단정하지만, 그렇다고 보기엔 너무 많은 양, 너무 넓은 범위에서 발견되었다.</ref> 정부에서는 자판기에 500엔을 못넣게 조치하였다고 한다. 일본은행이 한국은행에게 왜 비슷하게 만들었냐고 항의했지만, 까놓고 보니 간발의 차로 500엔 동전이 500원 동전보다 늦게 나온 것이 드러나, 결국 일본 정부가 500엔 동전의 도안을 갈아치우게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4557300 日 변조막기위해 새 500엔 동전 검토], 연합뉴스, 1999.11.21.</ref><ref>일본은 500엔때문에 동전에 최초로 홀로그램을 넣는 나라로.,</ref>
* 일본 500엔 동전 구권(A)이 한국 500원 동전(A)과 규격이 거의 일치해서, 자판기의 판독기가 두 동전을 구별하지 못하는 일이 잦았다. 그래서 한국의 500원 동전을 가져와다 자판기에 넣어 쓰는 일이 허다하게 일어나자<ref>혐한 세력은 지금도 이걸 한국인과 자이니치들의 민폐짓이라 단정하지만, 그렇다고 보기엔 너무 많은 양, 너무 넓은 범위에서 발견되었다.</ref> 정부에서는 자판기에 500엔을 못넣게 조치하였다고 한다. 일본은행이 한국은행에게 왜 비슷하게 만들었냐고 항의했지만, 까놓고 보니 간발의 차로 500엔 동전이 500원 동전보다 늦게 나온 것이 드러나, 결국 일본 정부가 500엔 동전의 도안을 갈아치우게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4557300 日 변조막기위해 새 500엔 동전 검토], 연합뉴스, 1999.11.21.</ref><ref>일본은 500엔때문에 동전에 최초로 홀로그램을 넣는 나라로.,</ref>
307번째 줄: 270번째 줄:
엔화 지폐 자체의 특이점으로, 보통 [[면화]]나 플라스틱 소재로 만드는 다른 지폐들과는 달리 [[닥나무]](ミツマタ)로 만든 [[와시]](和紙)소재를 다량 함유한 전용 용지를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전체적으로 펄프색<ref>미색(米色)이라고도 한다.</ref>이고, 실제로 만져보면 다른 돈들보다도 '종이'라는 인상이 확연하다.
엔화 지폐 자체의 특이점으로, 보통 [[면화]]나 플라스틱 소재로 만드는 다른 지폐들과는 달리 [[닥나무]](ミツマタ)로 만든 [[와시]](和紙)소재를 다량 함유한 전용 용지를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전체적으로 펄프색<ref>미색(米色)이라고도 한다.</ref>이고, 실제로 만져보면 다른 돈들보다도 '종이'라는 인상이 확연하다.


와시는 섬유질이 질겨서 일반적인 내구력이 좋기는 하나, 나무섬유 특성상 접힘으로 인한 찢어짐에 정말 많이 취약하여 험하게 쓰면 금이 쉽게 나거나 반쪽나기 쉬운 단점이 있다. <s>그리고 색감도 많이 수수하다.</s> 그래서 내구도에 비해 유통수명은 짧은데<ref>일본은행 오피셜에 의하면, 1만엔권이 4~5년 정도, 나머지는 1~2년 남짓이라 한다. 참고로 한국 지폐는 5만원 및 1만원권이 약 10년 이상, 5천원 및 1천원권은 5년 정도이다.</ref>, 일본 사회가 현찰을 무척 선호하는데다 낡은 지폐를 좋지 않게 보는 관습이 있다보니 순환이 굉장히 빠르게 진행되기에 그렇게 큰 문제로 보지 않는 듯 하다.
와시는 섬유질이 질겨서 일반적인 내구력이 좋기는 하나, 나무섬유 특성상 접힘으로 인한 찢어짐에 정말 많이 취약하여 험하게 쓰면 금이 쉽게 나거나 반쪽나기 쉬운 단점이 있다. <s>그리고 색감도 많이 수수하다.</s> 그래서 내구도에 비해 유통수명은 짧은데, 일본 사회가 현찰을 무척 선호하는데다 낡은 지폐를 좋지 않게 보는 관습이 있다보니 순환이 굉장히 빠르게 진행되기에 그렇게 큰 문제로 보지 않는 듯 하다.


여담으로 돈 찍어내기 위해 일본 인쇄국이 사들인 닥나무는 거의 대부분이 네팔 등지에서 온 수입품으로, 2019년도 기준으로 일본산 6톤(톤당 330만엔 가량), 수입산 96톤(톤당 135만엔 가량) 정도라고 한다. 2024년부터 생산될 신권에는 원료 수급 안정화를 위해 일본산의 비중을 조금 더 높일 것을 계획하는 듯 하다.<sup>[https://www.nippon.com/ja/news/yjj2020050900148/ 출처(일본어)]</sup>
여담으로 돈 찍어내기 위해 일본 인쇄국이 사들인 닥나무는 거의 대부분이 네팔 등지에서 온 수입품으로, 2019년도 기준으로 일본산 6톤(톤당 330만엔 가량), 수입산 96톤(톤당 135만엔 가량) 정도라고 한다. 2024년부터 생산될 신권에는 원료 수급 안정화를 위해 일본산의 비중을 조금 더 높일 것을 계획하는 듯 하다.<sup>[https://www.nippon.com/ja/news/yjj2020050900148/ 출처(일본어)]</sup>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