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항구 정보
|항구이름 = 인천항
|원어이름 =
|그림    = [[파일:2012. 9.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 Rep. of Korea Navy 62th Anniversary of Incheon Landing Operation (7998837752).jpg]]
|그림설명 =
|종류    = [[무역항]]
|위치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관할    = [[인천항만공사]]
|개항일  = 1883년 1월 1일
|부두    = 8개
|선석    = 126개
|비고    =
}}
*仁川港
*仁川港
==개요==
==개요==
수도권의 출입구가 되는 [[항구]]로 공식적인 항구로써의 개항은 1883년 [[강화도 조약]]에 의해서 제물포를 개항하면서 항구의 역사를 시작하게 된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수도권으로 들어오는 해상물류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이 인천항은 조수간만이 워낙에 크고, 수심이 얕은데다 진입하는 해상 항로가 좁아터져서 초대형 선박의 경우 [[평택항]]이나 [[당진항]]을 이용하거나 아예 [[광양항]]이나 [[부산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도권의 출입구가 되는 [[항구]]로 공식적인 항구로써의 개항은 1883년 [[강화도 조약]]에 의해서 제물포를 개항하면서 항구의 역사를 시작하게 된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수도권으로 들어오는 해상물류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이 인천항은 조수간만이 워낙에 크고, 수심이 얕은데다 진입하는 해상 항로가 좁아터져서 초대형 선박의 경우 [[평택항]]이나 [[당진항]]을 이용하거나 아예 [[광양항]]이나 [[부산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20번째 줄: 5번째 줄:
==구분==
==구분==
인천항은 내항부터 시작하여 북항, 남항, 인천신항으로 구성된 대규모 항구이다.
인천항은 내항부터 시작하여 북항, 남항, 인천신항으로 구성된 대규모 항구이다.
===내항===
인천항 갑문 안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한국 최초의 컨테이너 부두가 건설된 곳으로 1910년에 이미 1부두가 건설된 곳이기도 하다. 내항은 자동차, 양곡, 잡화부두 등 총 8개 부두에 5만톤급 48선석이 운영중에 있으며 화물 하역능력은 연간 40,186천톤이다. 좁은 의미의 인천항만 두고 이야기하면 보통 이 내항만을 두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내항===
인천항 갑문 안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한국 최초의 컨테이너 부두가 건설된 곳으로 1910년에 이미 1부두가 건설된 곳이기도 하다. 내항은 자동차, 양곡, 잡화부두 등 총 8개 부두에 5만톤급 48선석이 운영중에 있으며 화물 하역능력은 연간 40,186천톤이다. 좁은 의미의 인천항은 보통 내항만을 두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1부두 : 잡화, 철재
*1부두 : 잡화, 철재
*2부두 : 잡화, 철재
*2부두 : 잡화, 철재
33번째 줄: 18번째 줄:


====인천항 갑문====
====인천항 갑문====
[[파일:US Navy 111017-N-ED900-088 The Arleigh Burke-class guided-missile destroyer USS Pinckney (DDG 91) pulls into a lock gate to accommodate for differe.jpg|thumb|제1갑문을 통과중인 미 해군 구축함]]
인천항은 워낙에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장소인지라 선박의 정박 자체가 극도로 제한되는 환경이다. 이에 월미도와 소월미도 인근의 해역을 매립하여 부두를 확장하고 두 섬 사이의 해협에 2기의 갑문을 설치하여 대형 선박들도 내항 부두에 정박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었다. 1갑문은 폭 36m, 길이 363m이며 5만DWT급 선박까지 통행이 가능하며, 2갑문은 폭 22.5m, 길이 202m로 1만 DWT급의 선박까지 통행이 가능하다. 갑문의 하루 최대처리능력은 입출항 각 20척씩 처리가 가능하다.
인천항은 워낙에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장소인지라 선박의 정박 자체가 극도로 제한되는 환경이다. 이에 월미도와 소월미도 인근의 해역을 매립하여 부두를 확장하고 두 섬 사이의 해협에 2기의 갑문을 설치하여 대형 선박들도 내항 부두에 정박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었다. 1갑문은 폭 36m, 길이 363m이며 5만DWT급 선박까지 통행이 가능하며, 2갑문은 폭 22.5m, 길이 202m로 1만 DWT급의 선박까지 통행이 가능하다. 갑문의 하루 최대처리능력은 입출항 각 20척씩 처리가 가능하다.


===남항===
===남항===
인천항 갑문 남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이 곳은 컨테이너부두 7선석, 잡화부두 1선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탄부두, 컨테이너터미널, 연안여객터미널(연안부두), 국제여객터미널·국제크루즈터미널(국제여객부두), 그리고 해경부두도 이쪽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 2019년 크루즈선이 정박할 수 있는 인천항크루즈터미널이 개장했고, 2020년 6월에는 국제여객터미널이 이전개장했다.
인천항 갑문 남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이 곳은 컨테이너부두 7선석, 잡화부두 1선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탄부두, 컨테이너터미널, 연안여객터미널과 국제여객터미널, 그리고 해경부두도 이쪽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 2016년에 국제여객터미널을 송도 방향으로 이전할 예정이며, 크루즈선이 정박할 수 있는 부두도 1선석을 갖출 예정이다.
 
북항과 신항을 제외한 갑문 외부의 모든 외항 구역을 남항이라 칭하기 때문에, 구분이 애매모호하다. 북쪽 축항대로의 해경부두부터 남쪽 송도의 국제여객부두까지 전부 남항에 들어간다. 남항보다 더 남쪽에 있는 신항은 또 별개의 구역이다.
 
* 연안여객터미널: 제주항 카 페리는 구 국제여객1터미널을 사용한다. 구 국제여객2터미널은 아직 용처를 찾지 못한 상태.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선사명
! 선박명
! 톤수
! 정원
! 운항구간
! 소요시간
|-
| 하이덱스스토리지(주)
| [[비욘드트러스트호]]
| 26,546
| 854
| 인천-[[제주항|제주]]
| 13시간 30분
|-
| rowspan="4" | 고려고속훼리(주)
| 코리아킹호<br />코리아피스호<br />옹진훼미리호
| 534<br />302<br />452
| 449<br />336<br />354
| 인천-[[소청도]]-[[대청도]]-[[백령도]]
| 4시간<br />4시간<br />5시간
|-
| 플라잉카페리호<br />코리아피스호<br />코리아스타호
| 452<br />302<br />494
| 411<br />336<br />557
| 인천-[[연평도|소연평도]]-[[연평도|대연평도]]
| 2시간
|-
| 스마트호<br />코리아피스호
| 194<br />302
| 304<br />336
| 인천-[[자월도]]-[[승봉도]]-[[이작도|소이작도]]-[[이작도|대이작도]]
| 1시간 35분
|-
| 코리아나호<br />코리아익스프레스 카훼리호<br />스마트호<br />코리아피스호
| 226<br />903<br />194<br />302
| 288<br />694<br />304<br />336
| 인천-[[소야도]]-[[덕적도]]
| 1시간 10분<br />1시간 50분<br />예비선박<br />예비선박
|-
| (유)대부해운
| 대부고속훼리5호
| 490
| 600
| 인천-[[자월도]]-[[승봉도]]-[[이작도|소이작도]]-[[이작도|대이작도]]
| 2시간 10분
|-
| (주)에이치해운
| 하모니플라워호
| 2071
| 564
| 인천-[[소청도]]-[[대청도]]-[[백령도]]
| 4시간
|-
| (유)대부해운
| 서해누리호
| 106
| 97
| 인천-[[대부도]]-[[육도]]-[[풍도]]
| 3시간
|}
 
*국제여객터미널: 2020년 6월부로 송도 부근의 신 터미널의 운영을 시작했다. 신항도 송도에 위치하지만 엄연히 다른 곳이다.
**인천 - 잉커우
**인천 - 친황다오(천황도)
**인천 - 옌타이(연태)
**인천 - 다롄(대련)
**인천 - 시다오(석도)
**인천 - 단둥(단동)
**인천 - 웨이하이(위해)
**인천 - 칭다오(청도)
**인천 - 톈진(천진)
**인천 - 롄윈강(연운항)


===북항===
===북항===
[[인천광역시]] [[인천 서구|서구]] 북성동, 원창동 일대에 건설된 항구로 5만톤급의 17선석 규모의 부두시설을 갖추고 있다. 1996년부터 2012년까지 인천신항만 개발을 통하여서 완성된 시설로  연간 화물 하역능력은 1,254만톤이다.
[[인천광역시]] [[서구 (인천)|서구]] 북성동, 원창동 일대에 건설된 항구로 5만톤급의 17선석 규모의 부두시설을 갖추고 있다. 1996년부터 2012년까지 인천신항만 개발을 통하여서 완성된 시설로  연간 화물 하역능력은 1,254만톤이다.


===인천신항===
===인천신항===
129번째 줄: 36번째 줄:
*1973년 : 제1단계 인천항 개발사업을 시행. 1978년까지 지속된 이 사업으로 인천항에는 갑문방파제, 항만도로 포장 등의 시설이 보강되고, 대한민국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 취급시설을 완공하였다.
*1973년 : 제1단계 인천항 개발사업을 시행. 1978년까지 지속된 이 사업으로 인천항에는 갑문방파제, 항만도로 포장 등의 시설이 보강되고, 대한민국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 취급시설을 완공하였다.
*1981년 : 제2단계 인천항 개발사업을 추진. 1985년까지 진행된 이 사업은 내항 일부 부두 안벽 연장 및 석탄부두 조성, 커넵이어 시설, 기중기 등의 하역장비를 보강하고, 양곡전용부두와 사일로, 제8부두가 이 사업에서 건설되었다.
*1981년 : 제2단계 인천항 개발사업을 추진. 1985년까지 진행된 이 사업은 내항 일부 부두 안벽 연장 및 석탄부두 조성, 커넵이어 시설, 기중기 등의 하역장비를 보강하고, 양곡전용부두와 사일로, 제8부두가 이 사업에서 건설되었다.
*2015년 : 신항 1단계 선광신컨테이너 터미널이 개장되었다.
*2015년 : 인천 신항 1단계 선광신컨테이너 터미널이 개장되었다.
*2020년 : 남항 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했다.


==등대==
==등대==
인천항에는 총 10기의 방파제등대 및 부두등대가 자리하고 있다. 다음은 그 목록
인천항에는 총 10기의 무인등대가 자리하고 있다. 다음은 그 목록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명칭'''
!'''명칭'''
!'''경위도'''
!'''경위도'''
!'''광파표지'''
!'''광파표지'''
!'''광달거리<br />(해리)'''
!'''광달거리</br>(마일)'''
!'''높이<br />(m)'''
!'''높이</br>(m)'''
!'''형태'''
!'''형태'''
!'''항로표지'''
!'''항로표지'''
|-
|-
| 갑문남방파제등대||37-27-54.9N<br />126-35-37.7E||5초 1적색광||18||9||홍색 하부4각 상부원통형||우현표지
| 갑문남방파제등대||37-27-54.9N</br>126-35-37.7E||5초 1적색광||18||9||홍색 하부4각 상부원통형||우현표지
|-
|-
| 갑문북방파제 등대||37-28-08.1N<br />126-35-41.6E||5초 1녹색광||17||9||백색 하부4각상부원통형||좌현표지
| 갑문북방파제 등대||37-28-08.1N</br>126-35-41.6E||5초 1녹색광||17||9||백색 하부4각상부원통형||좌현표지
|-
|-
| 국제여객부두 A호 등대||37-27-17.6N<br />126-35-36.5E||6초 2황색광||7||5.3||황철탑형||특수표지
| 국제여객부두 A호 등대||37-27-17.6N</br>126-35-36.5E||6초 2황색광||7||5.3||황철탑형||특수표지
|-
|-
| 국제여객부두 B호 등대||37-27-19.3N<br />126-35-39.1E||7초 3황색광||7||5.3||황철탑형||특수표지
| 국제여객부두 B호 등대||37-27-19.3N</br>126-35-39.1E||7초 3황색광||7||5.3||황철탑형||특수표지
|-
|-
| 북방파제 등대||37-27-24.6N<br />126-35-41.5E||5초 1녹색광||5||15||백원형 콘크리트조||좌현표지
| 북방파제 등대||37-27-24.6N</br>126-35-41.5E||5초 1녹색광||5||15||백원형 콘크리트조||좌현표지
|-
|-
| 석탄부두 A호 등대||37-26-18N<br />126-35-13E||7초 1황색광||20||8.8||황원형 콘크리트조||특수표지
| 석탄부두 A호 등대||37-26-18N</br>126-35-13E||7초 1황색광||20||8.8||황원형 콘크리트조||특수표지
|-
|-
| 석탄부두 B호 등대||37-26-29.7N<br />126-35-14.9E||5초 1황색광||7||7.8||황원형 콘크리트조||특수표지
| 석탄부두 B호 등대||37-26-29.7N</br>126-35-14.9E||5초 1황색광||7||7.8||황원형 콘크리트조||특수표지
|-
|-
| 역무선 방파제 등대||37-27-15.9N<br />124-35-29.2E||5초 1홍색광||9||11||홍원형 콘크리트조||우현표지
| 역무선 방파제 등대||37-27-15.9N</br>124-35-29.2E||5초 1홍색광||9||11||홍원형 콘크리트조||우현표지
|-
|-
| 연안항구 남방파제 등대||37-27-42N<br />126-35-27E||7초 3홍색광||9||9||홍8각형 콘크리트조||우현표지
| 연안항구 남방파제 등대||37-27-42N</br>126-35-27E||7초 3홍색광||9||9||홍8각형 콘크리트조||우현표지
|-
|-
| 연안항구 북방파제 등대||37-27-51.1N<br />126-35-28.1E||7초 3녹색광||5||9||백8각형 콘크리트조||좌현표지
| 연안항구 북방파제 등대||37-27-51.1N</br>126-35-28.1E||7초 3녹색광||5||9||백8각형 콘크리트조||좌현표지
|}
|}


{{주석}}
{{주석}}
{{대한민국의_항구}}
[[분류:항구]]
[[분류:무역항]]
{{대한민국의 무인등대}}
 
{{리브레 맵스 마커|37.467586243114454|126.61191701889038|8|인천항(내항)}}
 
{{리브레 맵스 마커|37.44232514776874|126.60618782043457|8|인천항(남항)}}
 
{{리브레 맵스 마커|37.4920215937712|126.61537170410156|8|인천항(북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