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항구 정보
{{항구 정보
|항구이름 = 인천항
| 이름 = 인천항
|원어이름 =
| 그림 = [[File:2012. 9.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 Rep. of Korea Navy 62th Anniversary of Incheon Landing Operation (7998837752).jpg|320픽셀]]
|그림     = [[파일:2012. 9.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 Rep. of Korea Navy 62th Anniversary of Incheon Landing Operation (7998837752).jpg]]
| 위치 = {{국기|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그림설명 =
| 관할 = [[인천항만공사]]
|종류    = [[무역항]]
| 개항일 = 1883년 1월 1일
|위치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 종류 = [[무역항]]
|관할     = [[인천항만공사]]
| 부두 = 8개
|개항일   = 1883년 1월 1일
| 선석 = 126개
|부두     = 8개
|선석     = 126개
|비고    =
}}
}}


22번째 줄: 19번째 줄:


===내항===
===내항===
인천항 갑문 안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한국 최초의 컨테이너 부두가 건설된 곳으로 1910년에 이미 1부두가 건설된 곳이기도 하다. 내항은 자동차, 양곡, 잡화부두 등 총 8개 부두에 5만톤급 48선석이 운영중에 있으며 화물 하역능력은 연간 40,186천톤이다. 좁은 의미의 인천항은 보통 내항만을 두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인천항 갑문 안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한국 최초의 컨테이너 부두가 건설된 곳으로 1910년에 이미 1부두가 건설된 곳이기도 하다. 내항은 자동차, 양곡, 잡화부두 등 총 8개 부두에 5만톤급 48선석이 운영중에 있으며 화물 하역능력은 연간 40,186천톤이다. 좁은 의미의 인천항만 두고 이야기하면 보통 내항만을 두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1부두 : 잡화, 철재
*1부두 : 잡화, 철재
*2부두 : 잡화, 철재
*2부두 : 잡화, 철재
32번째 줄: 29번째 줄:
*8부두 : 잡화
*8부두 : 잡화


====인천항 갑문====
* 연안여객터미널: 제주항 카 페리는 구 국제여객1터미널을 사용한다.
[[파일:US Navy 111017-N-ED900-088 The Arleigh Burke-class guided-missile destroyer USS Pinckney (DDG 91) pulls into a lock gate to accommodate for differe.jpg|thumb|제1갑문을 통과중인 미 해군 구축함]]
인천항은 워낙에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장소인지라 선박의 정박 자체가 극도로 제한되는 환경이다. 이에 월미도와 소월미도 인근의 해역을 매립하여 부두를 확장하고 두 섬 사이의 해협에 2기의 갑문을 설치하여 대형 선박들도 내항 부두에 정박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었다. 1갑문은 폭 36m, 길이 363m이며 5만DWT급 선박까지 통행이 가능하며, 2갑문은 폭 22.5m, 길이 202m로 1만 DWT급의 선박까지 통행이 가능하다. 갑문의 하루 최대처리능력은 입출항 각 20척씩 처리가 가능하다.
 
===남항===
인천항 갑문 남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이 곳은 컨테이너부두 7선석, 잡화부두 1선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탄부두, 컨테이너터미널, 연안여객터미널(연안부두), 국제여객터미널·국제크루즈터미널(국제여객부두), 그리고 해경부두도 이쪽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 2019년 크루즈선이 정박할 수 있는 인천항크루즈터미널이 개장했고, 2020년 6월에는 국제여객터미널이 이전개장했다.
 
북항과 신항을 제외한 갑문 외부의 모든 외항 구역을 남항이라 칭하기 때문에, 구분이 애매모호하다. 북쪽 축항대로의 해경부두부터 남쪽 송도의 국제여객부두까지 전부 남항에 들어간다. 남항보다 더 남쪽에 있는 신항은 또 별개의 구역이다.
 
* 연안여객터미널: 제주항 카 페리는 구 국제여객1터미널을 사용한다. 구 국제여객2터미널은 아직 용처를 찾지 못한 상태.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선사명
! 선사명
104번째 줄: 92번째 줄:
|}
|}


*국제여객터미널: 2020년 6월부로 송도 부근의 신 터미널의 운영을 시작했다. 신항도 송도에 위치하지만 엄연히 다른 곳이다.
====인천항 갑문====
인천항은 워낙에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장소인지라 선박의 정박 자체가 극도로 제한되는 환경이다. 이에 월미도와 소월미도 인근의 해역을 매립하여 부두를 확장하고 두 섬 사이의 해협에 2기의 갑문을 설치하여 대형 선박들도 내항 부두에 정박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었다. 1갑문은 폭 36m, 길이 363m이며 5만DWT급 선박까지 통행이 가능하며, 2갑문은 폭 22.5m, 길이 202m로 1만 DWT급의 선박까지 통행이 가능하다. 갑문의 하루 최대처리능력은 입출항 각 20척씩 처리가 가능하다.
 
===남항===
인천항 갑문 남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이 곳은 컨테이너부두 7선석, 잡화부두 1선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탄부두, 컨테이너터미널, 연안여객터미널(연안부두)과 국제여객터미널, 그리고 해경부두도 이쪽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 2019년 크루즈선이 정박할 수 있는 인천항크루즈터미널이 개장하였고, 12월에는 신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할 예정이다.
 
===북항===
[[인천광역시]] [[서구 (인천)|서구]] 북성동, 원창동 일대에 건설된 항구로 5만톤급의 17선석 규모의 부두시설을 갖추고 있다. 1996년부터 2012년까지 인천신항만 개발을 통하여서 완성된 시설로  연간 화물 하역능력은 1,254만톤이다.
 
===인천신항===
[[연수구]] [[송도신도시]] 남서쪽에 바다를 매립하여 건설중인 항만으로 2020년까지 최대 4천TEU급 컨테이너 전용부두 12선석을 개발하고 연간 화물 하역능력을 33,347천톤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인천신항이 완공되면 인천광역시의 서쪽 해안선은 거의 전부가 항구 구역에 들어가게 된다.
 
*국제여객터미널: 2020년 6월부로 내항 시대를 마감하고 신항의 신 터미널의 운영을 시작했다.
**인천 - 잉커우
**인천 - 잉커우
**인천 - 친황다오(천황도)
**인천 - 친황다오(천황도)
115번째 줄: 115번째 줄:
**인천 - 톈진(천진)
**인천 - 톈진(천진)
**인천 - 롄윈강(연운항)
**인천 - 롄윈강(연운항)
===북항===
[[인천광역시]] [[인천 서구|서구]] 북성동, 원창동 일대에 건설된 항구로 5만톤급의 17선석 규모의 부두시설을 갖추고 있다. 1996년부터 2012년까지 인천신항만 개발을 통하여서 완성된 시설로  연간 화물 하역능력은 1,254만톤이다.
===인천신항===
[[연수구]] [[송도신도시]] 남서쪽에 바다를 매립하여 건설중인 항만으로 2020년까지 최대 4천TEU급 컨테이너 전용부두 12선석을 개발하고 연간 화물 하역능력을 33,347천톤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인천신항이 완공되면 인천광역시의 서쪽 해안선은 거의 전부가 항구 구역에 들어가게 된다.


==역사==
==역사==
129번째 줄: 123번째 줄:
*1973년 : 제1단계 인천항 개발사업을 시행. 1978년까지 지속된 이 사업으로 인천항에는 갑문방파제, 항만도로 포장 등의 시설이 보강되고, 대한민국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 취급시설을 완공하였다.
*1973년 : 제1단계 인천항 개발사업을 시행. 1978년까지 지속된 이 사업으로 인천항에는 갑문방파제, 항만도로 포장 등의 시설이 보강되고, 대한민국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 취급시설을 완공하였다.
*1981년 : 제2단계 인천항 개발사업을 추진. 1985년까지 진행된 이 사업은 내항 일부 부두 안벽 연장 및 석탄부두 조성, 커넵이어 시설, 기중기 등의 하역장비를 보강하고, 양곡전용부두와 사일로, 제8부두가 이 사업에서 건설되었다.
*1981년 : 제2단계 인천항 개발사업을 추진. 1985년까지 진행된 이 사업은 내항 일부 부두 안벽 연장 및 석탄부두 조성, 커넵이어 시설, 기중기 등의 하역장비를 보강하고, 양곡전용부두와 사일로, 제8부두가 이 사업에서 건설되었다.
*2015년 : 신항 1단계 선광신컨테이너 터미널이 개장되었다.
*2015년 : 인천 신항 1단계 선광신컨테이너 터미널이 개장되었다.
*2020년 : 남항 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했다.
*2020년 : 인천 신항 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했다.


==등대==
==등대==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