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권연대투쟁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 배경 ==
== 배경 ==
2002년 5월 19일 1급 중증[[장애인]] 윤재봉씨가 [[발산역]] 고정형리프트를 이용해 이동하던 중 추락하여 사망하였다. 이동권연대는 서울도시철도공사에 항의방문 하였고, 서울시에 공식사과를 받아내기 위해 투쟁을 계속 하였다. 서울시장과의 면담에 실패하고 서울시청 진입도 저지되자 이동권연대는 8월 12일부터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실을 점거하고 단식농성을 벌였다.<ref>국가인권위원회는 서울시청 옆에 있다.</ref> 이 투쟁이 진행되는 중에 이동권연대를 위해 작곡된 곡이 장애인이동권연대투쟁가이다. 당시만해도 지하철에는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는 전체역의 21%수준이었고 대부분이 계단 옆에 설치된 고정형 리프트였다. 이 리프트는 이전부터 가끔 추락사고를 일으키는 물건이었다.  
2002년 5월 19일 1급 중증[[장애인]] 윤재봉씨가 [[발산역]] 고정형리프트를 이용해 이동하던 중 추락하여 사망하였다. 이동권연대는 서울도시철도공사에 항의방문 하였고, 서울시에 공식사과를 받아내기 위해 투쟁을 계속 하였다. 서울시장과의 면담에 실패하고 서울시청 진입도 저지되자 이동권연대는 8월 12일부터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실을 점거하고 단식농성을 벌였다.<ref>국가인권위원회는 서울시청 옆에 있었다. </ref> 이 투쟁이 진행되는 중에 이동권연대를 위해 작곡된 곡이 장애인이동권연대투쟁가이다. 당시만해도 지하철에는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는 전체역의 21%수준이었고 대부분이 계단 옆에 설치된 고정형 리프트였다. 이 리프트는 이전부터 가끔 추락사고를 일으키는 물건이었다. 노래 가사와 같이 당시 이동권 확보를 위한 장애인 운동은 거의 죽음을 무릎쓰고 쇠사슬로 몸을 묶어버티는 방식이었다.


== 가사 ==
== 가사 ==

2016년 3월 15일 (화) 21:23 판


개요

2002년 국가인권위원회 점거 단식농성을 벌이던 장애인 이동권 쟁취를 위한 연대회의(이하 이동권연대)를 위해 노동의 소리 김호철이 작사,작곡하고 민중가수인 박준이 부른 민중가요이다.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이라는 주제를 다루었다.

배경

2002년 5월 19일 1급 중증장애인 윤재봉씨가 발산역 고정형리프트를 이용해 이동하던 중 추락하여 사망하였다. 이동권연대는 서울도시철도공사에 항의방문 하였고, 서울시에 공식사과를 받아내기 위해 투쟁을 계속 하였다. 서울시장과의 면담에 실패하고 서울시청 진입도 저지되자 이동권연대는 8월 12일부터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실을 점거하고 단식농성을 벌였다.[1] 이 투쟁이 진행되는 중에 이동권연대를 위해 작곡된 곡이 장애인이동권연대투쟁가이다. 당시만해도 지하철에는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는 전체역의 21%수준이었고 대부분이 계단 옆에 설치된 고정형 리프트였다. 이 리프트는 이전부터 가끔 추락사고를 일으키는 물건이었다. 노래 가사와 같이 당시 이동권 확보를 위한 장애인 운동은 거의 죽음을 무릎쓰고 쇠사슬로 몸을 묶어버티는 방식이었다.

가사

지옥같은 절망을 깨고 새순 돗는 평지를 따라
노동하는 일상의 아침 투쟁으로 쟁취하리라
죽음도 불사하는 투쟁 이동권연대의 투쟁
천막을 치고 온몸을 묶어 너와 나 심장을 묶어
열사들의 함성을 따라 장애해방 세상을 향해
이동권연대는 간다 죽어서도 끝까지 간다

참고자료

이동권연대 투쟁일지

정태수열사 추모음반 <태수야>

행동하는의사회 경과보고

각주

  1. 국가인권위원회는 서울시청 옆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