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룡대팔식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운룡대팔식'''(雲龍大八式)은 [[무협물]]에 나오는 [[무공]]으로, 대부분 [[신법]]으로 묘사되지만 장법으로 묘사될 때도 있다. 대개 [[곤륜파]]의 무공으로 등장한다. 간혹 '''운룡대구식'''(雲龍大九式)이란 이름으로 나올 때도 있다.
'''운룡대팔식'''(雲龍大八式)은 [[무협물]]에 나오는 [[무공]]으로, 대부분 [[신법]]으로 묘사되지만 장법으로 묘사될 때도 있다. 대개 [[곤륜파]]의 무공으로 등장한다. 간혹 '''운룡대구식'''(雲龍大九式)이란 이름으로 나올 때도 있다.


== 기원 ==
== 유래 ==
처음으로 운룡대팔식이 나온 작품은 [[사마령]]이 1959년에 발표한 《검기천환록》(劍氣千幻錄)이다. [[대한민국]]에는 『곤륜산맥』이라는 제목으로 번안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blog.naver.com/seoil5824/10043866838 |제목=무협작가 사마령 |저자=박 넝쿨 |날짜=2009-3-11 |웹사이트=박넝쿨의 중국 탐험 |확인날짜=2021-4-1 }}</ref> 이 작품에서 운룡대팔식은 곤륜파의 독문 심법으로 나오며, 권(拳)·장(掌)·검(劍)을 따지지 않고 적용할 수 있을 뿐더러 공중에 뜬 상태로 운신하는 데에 쓸 수도 있었다.<ref name="baike">{{웹 인용 |url=https://baike.baidu.com/item/%E5%89%91%E6%B0%94%E5%8D%83%E5%B9%BB%E5%BD%95 |제목=剑气千幻录 |저자= |날짜= |웹사이트=바이두 백과 |확인날짜=2021-4-1 }}</ref>
처음으로 운룡대팔식이 나온 작품은 [[사마령]]이 1959년에 발표한 《검기천환록》(劍氣千幻錄)이다. [[대한민국]]에는 『곤륜산맥』이라는 제목으로 번안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blog.naver.com/seoil5824/10043866838 |제목=무협작가 사마령 |저자=박 넝쿨 |날짜=2009-3-11 |웹사이트=박넝쿨의 중국 탐험 |확인날짜=2021-4-1 }}</ref> 이 작품에서 운룡대팔식은 곤륜파의 독문 심법으로 나오며, 권(拳)·장(掌)·검(劍)을 따지지 않고 적용할 수 있을 뿐더러 공중에 뜬 상태로 운신하는 데에 쓸 수도 있었다.<ref name="baike">{{웹 인용 |url=https://baike.baidu.com/item/%E5%89%91%E6%B0%94%E5%8D%83%E5%B9%BB%E5%BD%95 |제목=剑气千幻录 |저자= |날짜= |웹사이트=바이두 백과 |확인날짜=2021-4-1 }}</ref>


또한 [[소슬]]이 이 《검기천환록》을 모방해서 1964년과 1965년에 《대막금붕전》(大漠金鵬傳)과 《벽안금붕》(碧眼金鵬) 2부작을 발표했는데,<ref>{{웹 인용 |url=https://blog.naver.com/seoil5824/221110198627 |제목=무협작가 萧瑟 |저자=박 넝쿨 |날짜=2017-10-3 |웹사이트=박넝쿨의 중국 탐험 |확인날짜=2021-4-1 }}</ref> 이 작품들에도 곤륜파의 무공으로 운룡팔식(雲龍八式)이 나온다. 대한민국에는 《대막금붕전》이 『대막금붕』으로, 《벽안금붕》이 『벽안금조』 및 『검명사해』라는 제목으로 번안되었다.
또한 [[소슬]]이 이 《검기천환록》을 모방해서 1964년과 1965년에 《대막금붕전》(大漠金鵬傳)과 《벽안금붕》(碧眼金鵬) 2부작을 발표했는데,<ref>{{웹 인용 |url=https://blog.naver.com/seoil5824/221110198627 |제목=무협작가 萧瑟 |저자=박 넝쿨 |날짜=2017-10-3 |웹사이트=박넝쿨의 중국 탐험 |확인날짜=2021-4-1 }}</ref> 이 작품들에도 곤륜파의 무공으로 운룡팔식(雲龍八式)이 나온다. 대한민국에는 《대막금붕전》이 『대막금붕』으로, 《벽안금붕》이 『벽안금조』 및 『검명사해』라는 제목으로 번안되었다.


== 통속적인 묘사 ==
== 설명 ==
《검기천환록》에 나온 운룡대팔식은 주인공의 절기이니만큼 만능과도 같은 위력을 뽐냈지만, 후대의 다른 작품에서는 단순히 신법으로만 등장하는 등 그 위상이 많이 낮아졌다.
운룡대팔식은 구름 사이로 [[용]]이 노닐듯 허공에서 몸을 뒤집으며 자유자재로 이동하는 신법이며, 공중에서 여덟 번까지 몸을 뒤집을 수 있다. 곧 방향전환이 여덟 번 된다는 소리.


통속적으로 운룡대팔식은 구름 사이로 [[용]]이 노닐듯 허공에서 몸을 뒤집으며 자유자재로 이동하는 신법이며, 공중에서 여덟 번까지 몸을 뒤집을 수 있다. 곧 방향전환이 여덟 번 된다는 소리.
대부분의 [[무협 소설]]에선 어지간히 [[먼치킨]]이 아닌 이상 공중에서의 이동은 제한되기 마련인데, 이 운룡대팔식은 그러한 제한이 거의 없다는 식으로 묘사된다. 물론 능공허도나 육지비행술 같이 아예 사람이 맨몸으로 새처럼 날아다니는 경지가 횡행하는 [[세계관]]이라면 운룡대팔식의 의의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무협 소설]]에선 어지간히 [[먼치킨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먼치킨]]이 아닌 이상 공중에서의 이동은 제한되기 마련인데, 이 운룡대팔식은 그러한 제한이 거의 없다는 식으로 묘사된다. 물론 능공허도나 육지비행술 같이 아예 사람이 맨몸으로 새처럼 날아다니는 경지가 횡행하는 [[세계관]]이라면 운룡대팔식의 의의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장법으로 나올 때는 이름을 고스란히 따와 여덟 [[초식]]으로 이루어진 장법으로 나온다.
한편, 장법으로 나올 때는 이름을 고스란히 따와 여덟 [[초식]]으로 이루어진 장법으로 나온다.
18번째 줄: 16번째 줄:
《검기천환록》에 나온 운룡대팔식의 초식은 다음과 같다.<ref name="baike" />
《검기천환록》에 나온 운룡대팔식의 초식은 다음과 같다.<ref name="baike" />


{|
|style="vertical-align:top"|
* 용자초현 (龙子初现)
* 용자초현 (龙子初现)
* 용자초풍 (龙尾招风)
* 용자초풍 (龙尾招风)
* 용음해렬 (龙吟海裂)
* 용음해렬 (龙吟海裂)
* 고봉용정 (固封龙庭)
* 고봉용정 (固封龙庭)
|style="vertical-align:top"|
* 영태조고 (灵台灶鼓)
* 영태조고 (灵台灶鼓)
* 잠룡승천 (潜龙升天)
* 잠룡승천 (潜龙升天)
* 비룡회천 (飞龙回天)
* 비룡회천 (飞龙回天)
* 용권천주 (龙卷天柱)
* 용권천주 (龙卷天柱)
|}


{{각주}}
{{각주}}
[[분류:무공]]
[[분류:무공]]
[[분류:명수 8]]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