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달로이급 구축함: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군함 정보 | box-width = 300px | 이름 = 우달로이급 구축함 | 그림 =File:Destroyer Admiral Panteleyev.jpg | 그림 설명 = 마지막 건조함 어드미럴 판델...)
 
편집 요약 없음
46번째 줄: 46번째 줄:
}}  
}}  
'''우달로이급 구축함'''《проекта 1155 Фригат》은 소련과 러시아의 대잠 [[구축함]]이다.
'''우달로이급 구축함'''《проекта 1155 Фригат》은 소련과 러시아의 대잠 [[구축함]]이다.
우달로이급은 초도함의 함명을 따르는 서방식 함급 명명 방식에 의한 호칭이며 러시아에선 프로젝트 1155라 부른다.<ref>초도함의 함명을 함급명으로 삼는 것은 보편적인 방식이므로 우달로이급이란 표현 역시 틀린 건 아니다. 비슷한 예로 나토에서 슈카 B 바스급 잠수함을 호칭하는 아쿨라급 역시 슈카 B 바스급의 초도함명에서 비롯되었다.</ref>
==역사==
==역사==
2차대전이 끝나고 냉전이 시작되면서 소련 해군은 미 해군의 제해권에 맞서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비교적 영세한 규모의 해군을 운용하던 소련은 항모 전투단을 필두로 막강한 수상함대를 보유한 서방 해군을 정면 상대하기 힘들었고 이는 잠수함이라는 비대칭 전력을 구상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60년대 들어, 원잠의 개발과 함께 대잠전력을 강화하는 미 해군은 [[소련]] 잠수함대의 입지를 축소시켰고 그 결과 한계를 실감한 소련 해군은 원양 작전이 가능한 수상함대 건설에 나서게 된다.
그 과정에서 대잠 기능을 가진 수상함의 필요성이 커지는데, 그것은 소련 근해까지 진출하는 미 잠수함들 때문이었다.
그렇게 다양한 함종의 대잠함을 건조해 배치하던 도중 기존의 대잠함들의 탐지 능력이 기술적으로 떨어지는 편이라는 것과 대잠 임무에만 치중된 나머지 대수상 능력은 형편없다는 문제에 직면한다.
소련 해군은 기존의 대잠함들을 대체하는 차세대 대잠함 계획을 세워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며 4,200톤급의 [[구축함]]을 대량생산해 다수의 대잠함 전력을 확보하려 했다.
==기능==
==기능==
===무장===
===무장===
53번째 줄: 63번째 줄:
===현대화===
===현대화===
==운용==
==운용==
==동급 함선==
==함선 목록==
===함선 목록===
===우달로이 I급===
{| class="wikitable"
|-
! 함번 !! 함명 !! 진수 !! 취역 !! 현황
|-
|480|| '''우달로이''' ||1980.2.5||1980.12.31||[[1997 퇴역]]
|-
|626|| '''바이럴 어드미럴 쿨라코스''' ||1980.5.16||1981.2.29||'''북방함대'''
|-
|645|| '''마샬 바실리예프스키''' ||1981.12.29||1983.12.8||[[1990년 퇴역]]
|-
|437|| '''어드미럴 자카르프''' ||1982.11.4||1984.12.30||[[1992년 퇴역]]
|-
|499|| '''어드미럴 스피리도노프''' ||1984.4.28||1984.12.30||[[2001년 퇴역]]
|-
|564|| '''어드미럴 트리부츠''' ||1983.3.26||1985.12.30||'''태평양함대'''
|-
|543|| '''마샬 샤포쉬니코프''' ||1984.12.27||1985.12.30||'''태평양함대'''
|-
|619|| '''세베르모르스크''' ||1985.12.24||1987.12.30||'''북방함대'''
|-
|605|| '''어드미럴 레프첸코''' ||1985.2.21||1988.9.30||'''북방함대'''
|-
|572|| '''어드미럴 비노그라도프''' ||1987.6.4||1988.12.30||'''태평양함대'''
|-
|678|| '''어드미럴 칼리모프''' ||1987.6.4||1988.12.30||'''북방함대'''
|-
|548|| '''어드미럴 판텔레예프''' ||1990.2.7||1991.12.19||'''태평양함대'''
|}
===우달로이 II급===
{| class="wikitable"
|-
|650|| '''어드미럴 챠바벤코''' ||1994.6.14||1999.1.28||'''북방함대'''
|}
{{각주}}
{{각주}}
[[분류:구축함]]
[[분류:구축함]]

2021년 4월 9일 (금) 22:10 판

틀:군함 정보 우달로이급 구축함《проекта 1155 Фригат》은 소련과 러시아의 대잠 구축함이다.

우달로이급은 초도함의 함명을 따르는 서방식 함급 명명 방식에 의한 호칭이며 러시아에선 프로젝트 1155라 부른다.[1]

역사

2차대전이 끝나고 냉전이 시작되면서 소련 해군은 미 해군의 제해권에 맞서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비교적 영세한 규모의 해군을 운용하던 소련은 항모 전투단을 필두로 막강한 수상함대를 보유한 서방 해군을 정면 상대하기 힘들었고 이는 잠수함이라는 비대칭 전력을 구상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60년대 들어, 원잠의 개발과 함께 대잠전력을 강화하는 미 해군은 소련 잠수함대의 입지를 축소시켰고 그 결과 한계를 실감한 소련 해군은 원양 작전이 가능한 수상함대 건설에 나서게 된다. 그 과정에서 대잠 기능을 가진 수상함의 필요성이 커지는데, 그것은 소련 근해까지 진출하는 미 잠수함들 때문이었다. 그렇게 다양한 함종의 대잠함을 건조해 배치하던 도중 기존의 대잠함들의 탐지 능력이 기술적으로 떨어지는 편이라는 것과 대잠 임무에만 치중된 나머지 대수상 능력은 형편없다는 문제에 직면한다.

소련 해군은 기존의 대잠함들을 대체하는 차세대 대잠함 계획을 세워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며 4,200톤급의 구축함을 대량생산해 다수의 대잠함 전력을 확보하려 했다.

기능

무장

전자장비

선체

현대화

운용

함선 목록

우달로이 I급

함번 함명 진수 취역 현황
480 우달로이 1980.2.5 1980.12.31 1997 퇴역
626 바이럴 어드미럴 쿨라코스 1980.5.16 1981.2.29 북방함대
645 마샬 바실리예프스키 1981.12.29 1983.12.8 1990년 퇴역
437 어드미럴 자카르프 1982.11.4 1984.12.30 1992년 퇴역
499 어드미럴 스피리도노프 1984.4.28 1984.12.30 2001년 퇴역
564 어드미럴 트리부츠 1983.3.26 1985.12.30 태평양함대
543 마샬 샤포쉬니코프 1984.12.27 1985.12.30 태평양함대
619 세베르모르스크 1985.12.24 1987.12.30 북방함대
605 어드미럴 레프첸코 1985.2.21 1988.9.30 북방함대
572 어드미럴 비노그라도프 1987.6.4 1988.12.30 태평양함대
678 어드미럴 칼리모프 1987.6.4 1988.12.30 북방함대
548 어드미럴 판텔레예프 1990.2.7 1991.12.19 태평양함대

우달로이 II급

650 어드미럴 챠바벤코 1994.6.14 1999.1.28 북방함대

각주

  1. 초도함의 함명을 함급명으로 삼는 것은 보편적인 방식이므로 우달로이급이란 표현 역시 틀린 건 아니다. 비슷한 예로 나토에서 슈카 B 바스급 잠수함을 호칭하는 아쿨라급 역시 슈카 B 바스급의 초도함명에서 비롯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