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답 노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오답노트의 예시''' [http://www.gongsin.com/m/bbs/board.php?bo_table=gongsin_column_bbs&wr_id=120277 출처]
'''오답노트의 예시''' [http://www.gongsin.com/m/bbs/board.php?bo_table=gongsin_column_bbs&wr_id=120277 출처]


~~노답노트~~
{{--|노답노트}}


틀렸거나 찍어서 맞춘 문제를 노트에 쓰거나 오려내 붙인 다음 그 아래에 풀이나 원리를 필기함으로써 같은 유형의 문제를 다시 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드는 노트. 오답노트 형식이 인쇄된 [[공책]]도 나온다.  
틀렸거나 찍어서 맞춘 문제를 노트에 쓰거나 오려내 붙인 다음 그 아래에 풀이나 원리를 필기함으로써 같은 유형의 문제를 다시 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드는 노트. 오답노트 형식이 인쇄된 [[공책]]도 나온다.  


모든 노트 필기가 그렇듯이, 다 만든 오답노트를 보면 묘한 성취감이 느껴진다고 한다. ~~그야 당연히 더럽게 지루한 거 끝내니까 좋지~~
모든 노트 필기가 그렇듯이, 다 만든 오답노트를 보면 묘한 성취감이 느껴진다고 한다. {{--|하는동안 귀찮았으니까}}


== 학습 효과가 있는가? ==
== 학습 효과가 있는가? ==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학습 방법이지만, 그 효과에 대해선 아직까지도 논란이 있다.[* 사실 오랫동안 진리로 받아들여지다가 요즘 들어 비판론이 나오는 것이다.] 물론 학습 방법이란 게 과목마다 그리고 개인마다 효과의 편차가 있기에 뭐라 단언할 순 없는 노릇이지만, 확실한 것은 제대로 된 복습을 하지 않고 그저 '''아무 생각 없이''' 오답노트만 만드는 것은 십중팔구 뻘짓이 된다는 것이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학습 방법이지만, 그 효과에 대해선 아직까지도 논란이 있다. 사실 오랫동안 진리로 받아들여지다가 요즘 들어 비판론이 나오는 것에 가깝다. 물론 학습 방법이란 게 과목마다 그리고 개인마다 효과의 편차가 있기에 뭐라 단언할 순 없는 노릇이지만, 확실한 것은 제대로 된 복습을 하지 않고 그저 '''아무 생각 없이''' 오답노트만 만드는 것은 십중팔구 뻘짓이 된다는 것이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은 오답의 수가 적고 몰라서 틀린 것보다 아는데 실수로 틀린 문제가 많아서 오답노트를 통해 실수를 바로잡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만, 공부를 못 하는 학생의 경우 틀린 문제 자체가 많기 때문에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공부를 더 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출처 추가 바람)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은 오답의 수가 적고 몰라서 틀린 것보다 아는데 실수로 틀린 문제가 많아서 오답노트를 통해 실수를 바로잡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만, 공부를 못 하는 학생의 경우 틀린 문제 자체가 많기 때문에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공부를 더 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출처 추가 바람)
16번째 줄: 16번째 줄:
=== 있다는 의견 ===
=== 있다는 의견 ===
[https://youtu.be/iiScZ_LDpmI '''오답노트가 공부의 비결이었다며 소개하는 [[서울대]] 학생'''(2분 13초부터)]
[https://youtu.be/iiScZ_LDpmI '''오답노트가 공부의 비결이었다며 소개하는 [[서울대]] 학생'''(2분 13초부터)]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603980 수능 상위권 학생들의 공통적인 습관이 오답노트 작성이라는 경향신문 기사]]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603980 수능 상위권 학생들의 공통적인 습관이 오답노트 작성이라는 경향신문 기사]
 


모르는 문제에서 정확히 어느 부분을 모르는지, 왜 틀렸는지, 정답은 무엇인지, 거기에서 알아둬야 할 개념은 무엇인지 정확히 짚고 스스로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게 돼 다음부터 비슷한 유형의 문제는 틀리지 않게 된다.
모르는 문제에서 정확히 어느 부분을 모르는지, 왜 틀렸는지, 정답은 무엇인지, 거기에서 알아둬야 할 개념은 무엇인지 정확히 짚고 스스로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게 돼 다음부터 비슷한 유형의 문제는 틀리지 않게 된다.
24번째 줄: 26번째 줄:
=== 없거나 미미하다는 의견 ===
=== 없거나 미미하다는 의견 ===
[https://youtu.be/VZ2fxdaYPk0 '''오답노트를 대차게 까는 [[삽자루]]'''(2분 15초부터)]
[https://youtu.be/VZ2fxdaYPk0 '''오답노트를 대차게 까는 [[삽자루]]'''(2분 15초부터)]


쉽게 말해서, '''시간낭비'''다. 의외로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들 뿐더러 한 번 노트를 만들었다고 그것에 대한 기억이 아주 오래오래 지속되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차라리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문제 몇 개를 더 풀면서 머리속으로 곱씹어보는 게 낫다.
쉽게 말해서, '''시간낭비'''다. 의외로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들 뿐더러 한 번 노트를 만들었다고 그것에 대한 기억이 아주 오래오래 지속되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차라리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문제 몇 개를 더 풀면서 머리속으로 곱씹어보는 게 낫다.
32번째 줄: 35번째 줄:
오답노트용으로 칸이 나눠져 나오는 노트는 그림 그리기나 설정짜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에겐 캐릭터북으로 쓰기 딱 좋은 [[공책]]이다. 생각해보면 크기별로 나뉘어 있는 칸이 외형 묘사, 작명, 설정 정리 등을 하는 데 매우 적절하기 그지없다. 그 이외에 낙서장 겸 다이어리로 쓰는 경우도 존재한다.
오답노트용으로 칸이 나눠져 나오는 노트는 그림 그리기나 설정짜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에겐 캐릭터북으로 쓰기 딱 좋은 [[공책]]이다. 생각해보면 크기별로 나뉘어 있는 칸이 외형 묘사, 작명, 설정 정리 등을 하는 데 매우 적절하기 그지없다. 그 이외에 낙서장 겸 다이어리로 쓰는 경우도 존재한다.


--물론 이런 용도로 쓰면 학습 효과 따위 없다--
{{--|물론 이런 용도로 쓰면 학습 효과 따위 없다}}


[[분류:교육]]
[[분류:교육]]

2015년 10월 26일 (월) 23:54 판

개요

오답노트 예시.jpg 오답노트의 예시 출처

노답노트

틀렸거나 찍어서 맞춘 문제를 노트에 쓰거나 오려내 붙인 다음 그 아래에 풀이나 원리를 필기함으로써 같은 유형의 문제를 다시 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드는 노트. 오답노트 형식이 인쇄된 공책도 나온다.

모든 노트 필기가 그렇듯이, 다 만든 오답노트를 보면 묘한 성취감이 느껴진다고 한다. 하는동안 귀찮았으니까

학습 효과가 있는가?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학습 방법이지만, 그 효과에 대해선 아직까지도 논란이 있다. 사실 오랫동안 진리로 받아들여지다가 요즘 들어 비판론이 나오는 것에 가깝다. 물론 학습 방법이란 게 과목마다 그리고 개인마다 효과의 편차가 있기에 뭐라 단언할 순 없는 노릇이지만, 확실한 것은 제대로 된 복습을 하지 않고 그저 아무 생각 없이 오답노트만 만드는 것은 십중팔구 뻘짓이 된다는 것이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은 오답의 수가 적고 몰라서 틀린 것보다 아는데 실수로 틀린 문제가 많아서 오답노트를 통해 실수를 바로잡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만, 공부를 못 하는 학생의 경우 틀린 문제 자체가 많기 때문에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공부를 더 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출처 추가 바람)

있다는 의견

오답노트가 공부의 비결이었다며 소개하는 서울대 학생(2분 13초부터)

수능 상위권 학생들의 공통적인 습관이 오답노트 작성이라는 경향신문 기사


모르는 문제에서 정확히 어느 부분을 모르는지, 왜 틀렸는지, 정답은 무엇인지, 거기에서 알아둬야 할 개념은 무엇인지 정확히 짚고 스스로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게 돼 다음부터 비슷한 유형의 문제는 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오답노트를 곱씹어 보면 복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점검도 될 것이다.

없거나 미미하다는 의견

오답노트를 대차게 까는 삽자루(2분 15초부터)


쉽게 말해서, 시간낭비다. 의외로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들 뿐더러 한 번 노트를 만들었다고 그것에 대한 기억이 아주 오래오래 지속되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차라리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문제 몇 개를 더 풀면서 머리속으로 곱씹어보는 게 낫다.

또한 문제와 유형 암기를 목표로 하는 오답노트의 특성은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현 수능의 체제와 맞지 않기에 별 효과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수리 영역한 번 나왔던 문제가 또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기에[* 더군다나 고난이도 문제들은 대부분 새로운 유형이다.] 오답노트가 거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독특한 사용법

오답노트용으로 칸이 나눠져 나오는 노트는 그림 그리기나 설정짜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에겐 캐릭터북으로 쓰기 딱 좋은 공책이다. 생각해보면 크기별로 나뉘어 있는 칸이 외형 묘사, 작명, 설정 정리 등을 하는 데 매우 적절하기 그지없다. 그 이외에 낙서장 겸 다이어리로 쓰는 경우도 존재한다.

물론 이런 용도로 쓰면 학습 효과 따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