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자동제어장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가|개|걔|거|게|겨|계|과|괘|궈|궤|까|깨|꺠|꺼|께|껴|꼐|꽈|꽤|꿔|꿰|나|내|냬|너|네|녀|녜|놔|놰|눠|눼|다|대|댸|더|데|뎌|뎨|돠|돼|둬|뒈|따|때|떄|떠|떼|뗘|뗴|똬|뙈|뚸|뛔|라|)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Air Traffic Control =
== Air Traffic Control ==
흔히 말하는 공항 [[관제탑]]이다. 국내의 대표적인 ATC는 인천 ACC.
흔히 말하는 공항 [[관제탑]]이다. 국내의 대표적인 ATC는 인천 ACC.
= Auto Train Control =
== Auto Train Control ==
== 개요 ==
=== 개요 ===
Auto Train Control의 약자로, 차량 간격을 속도 코드로 조절하는 방식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도시철도 노선 및, 일산선, 과천선, 분당선, 고속선에서 사용하는 중이다.
Auto Train Control의 약자로, 차량 간격을 속도 코드로 조절하는 방식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도시철도 노선 및, 일산선, 과천선, 분당선, 고속선에서 사용하는 중이다.


== 동작 ==
=== 동작 ===
=== 원리 ===
==== 원리 ====
임피던스 본드에서 레일(궤도회로)에 주파수를 송신하면, 차량의 픽업코일(Pick-up Coil)에서 이를 수신하여, 주파수에 해당하는 속도코드에 맞춰 차량을 제어하는 방식.
임피던스 본드에서 레일(궤도회로)에 주파수를 송신하면, 차량의 픽업코일(Pick-up Coil)에서 이를 수신하여, 주파수에 해당하는 속도코드에 맞춰 차량을 제어하는 방식.


여기에 열차 자동운전에 필요한 정보까지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넣으면 [[ATO]]가 된다.
여기에 열차 자동운전에 필요한 정보까지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넣으면 [[ATO]]가 된다.


=== 속도초과시 동작 ===
==== 속도초과시 동작 ====
신호기가 있는 [[ATS]]에 비해 신호기가 없는 ATC는 속도초과 상황을 운전하다 보면 당연히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보기 때문에<ref>ATS는 신호기를 보고 제한속도를 파악할 수 있지만, ATC는 신호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코드를 수신하여 모니터 등에 표시하기 전까지는 제한속도가 높아지는지 낮아지는지 알 수 없다</ref> 속도를 초과했다 해서 바로 비상정차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신한 속도코드에 맞는 제한속도까지 열차를 자동으로 감속시킨다.
신호기가 있는 [[ATS]]에 비해 신호기가 없는 ATC는 속도초과 상황을 운전하다 보면 당연히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보기 때문에<ref>ATS는 신호기를 보고 제한속도를 파악할 수 있지만, ATC는 신호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코드를 수신하여 모니터 등에 표시하기 전까지는 제한속도가 높아지는지 낮아지는지 알 수 없다</ref> 속도를 초과했다 해서 바로 비상정차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신한 속도코드에 맞는 제한속도까지 열차를 자동으로 감속시킨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 장단점 ==
=== 장단점 ===
=== 장점 ===
==== 장점 ====
* 궤도회로에 주파수를 송신하여 열차의 속도를 제어하므로 연속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 궤도회로에 주파수를 송신하여 열차의 속도를 제어하므로 연속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 속도초과를 하더라도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완전히 정차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금 더 유연한 운영이 가능하다.
* 속도초과를 하더라도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완전히 정차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금 더 유연한 운영이 가능하다.
* 선로의 제한속도와 연동시켜서 속도코드를 송출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자면, 곡선구간의 제한속도를 속도코드로 송출하여 자연스럽게 속도제한을 거는 것이 가능하다.
* 선로의 제한속도와 연동시켜서 속도코드를 송출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자면, 곡선구간의 제한속도를 속도코드로 송출하여 자연스럽게 속도제한을 거는 것이 가능하다.


=== 단점 ===
==== 단점 ====
* 기본적인 ATC의 경우, 임피던스 본드라는 장치를 통해 폐색을 구분하므로 ATS와 마찬가지로 본드 간격이 넓을수록 차량간격이 넓어진다.
* 기본적인 ATC의 경우, 임피던스 본드라는 장치를 통해 폐색을 구분하므로 ATS와 마찬가지로 본드 간격이 넓을수록 차량간격이 넓어진다.
* 차상장치가 고장난 경우, 속도코드를 수신할 수 없고, 신호기 등 보조기기가 없으므로 일정 속도 이하로 서행운전해야 한다.
* 차상장치가 고장난 경우, 속도코드를 수신할 수 없고, 신호기 등 보조기기가 없으므로 일정 속도 이하로 서행운전해야 한다.
29번째 줄: 29번째 줄:
* 제한속도가 속도코드가 수신된 이후에야 모니터에 표시되므로, 운전자가 다음에 나올 제한속도를 예상할 수 없다.
* 제한속도가 속도코드가 수신된 이후에야 모니터에 표시되므로, 운전자가 다음에 나올 제한속도를 예상할 수 없다.


== 설치현황 ==
=== 설치현황 ===
=== 도시/광역철도 ===
==== 도시/광역철도 ====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당고개 ~ 금정 간에 한하여 사용중이다. 나머지 구간은 ATS 사용중
* 수도권 전철 4호선 : 당고개 ~ 금정 간에 한하여 사용중이다. 나머지 구간은 ATS 사용중
42번째 줄: 42번째 줄: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일반철도 ===
==== 일반철도 ====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에서 ATC의 일종이라 볼 수 있는 TVM430을 사용중이다.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에서 ATC의 일종이라 볼 수 있는 TVM430을 사용중이다.


== 각주 ==
{{각주}}
<references/>


[[분류:철도]]
[[분류:철도]]

2015년 4월 27일 (월) 04:08 판

Air Traffic Control

흔히 말하는 공항 관제탑이다. 국내의 대표적인 ATC는 인천 ACC.

Auto Train Control

개요

Auto Train Control의 약자로, 차량 간격을 속도 코드로 조절하는 방식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도시철도 노선 및, 일산선, 과천선, 분당선, 고속선에서 사용하는 중이다.

동작

원리

임피던스 본드에서 레일(궤도회로)에 주파수를 송신하면, 차량의 픽업코일(Pick-up Coil)에서 이를 수신하여, 주파수에 해당하는 속도코드에 맞춰 차량을 제어하는 방식.

여기에 열차 자동운전에 필요한 정보까지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넣으면 ATO가 된다.

속도초과시 동작

신호기가 있는 ATS에 비해 신호기가 없는 ATC는 속도초과 상황을 운전하다 보면 당연히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보기 때문에[1] 속도를 초과했다 해서 바로 비상정차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신한 속도코드에 맞는 제한속도까지 열차를 자동으로 감속시킨다.

물론 운전자의 확인조작이 없으면 그대로 차량이 정지하도록 설계된 경우도 있다.


장단점

장점

  • 궤도회로에 주파수를 송신하여 열차의 속도를 제어하므로 연속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 속도초과를 하더라도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완전히 정차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금 더 유연한 운영이 가능하다.
  • 선로의 제한속도와 연동시켜서 속도코드를 송출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자면, 곡선구간의 제한속도를 속도코드로 송출하여 자연스럽게 속도제한을 거는 것이 가능하다.

단점

  • 기본적인 ATC의 경우, 임피던스 본드라는 장치를 통해 폐색을 구분하므로 ATS와 마찬가지로 본드 간격이 넓을수록 차량간격이 넓어진다.
  • 차상장치가 고장난 경우, 속도코드를 수신할 수 없고, 신호기 등 보조기기가 없으므로 일정 속도 이하로 서행운전해야 한다.
  • ATS보다 비교적 설비가 비싼 편이다.
  • 제한속도가 속도코드가 수신된 이후에야 모니터에 표시되므로, 운전자가 다음에 나올 제한속도를 예상할 수 없다.

설치현황

도시/광역철도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당고개 ~ 금정 간에 한하여 사용중이다. 나머지 구간은 ATS 사용중
  • 서울지하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인천 메트로 1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3호선
  • 대구 지하철 1호선, 2호선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일반철도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에서 ATC의 일종이라 볼 수 있는 TVM430을 사용중이다.

각주

  1. ATS는 신호기를 보고 제한속도를 파악할 수 있지만, ATC는 신호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코드를 수신하여 모니터 등에 표시하기 전까지는 제한속도가 높아지는지 낮아지는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