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 집합: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정의)
4번째 줄: 4번째 줄:


==정의==
==정의==
{{Youtube|SyD4p8_y8Kw}}
열린 집합은 [[위상]]의 원소이다.<ref>James R. Munkres, "Topology (2nd Editi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07458</ref> 사실, 별다른 의미가 있는 문장은 아니고, 위상 공간 자체가 보통 임의의 집합 <math>\mathcal{T}</math> 와 <math>\mathcal{T}</math> 에 정의된 위상 <math>\mathcal{O}</math> 의 쌍 <math>(\mathcal{T}, \mathcal{O})</math> 로 정의되는데, 저 위상 <math>\mathcal{O}</math> 자체를 보통 모든 열린 집합의 집합으로 정의하기때문에, 문자 그대로 열린 집합은 위상의 원소가 된다. 사실, 위상 공간은 닫힌 집합이나 근방을 이용해서도 열린 집합으로 정의한 위상 공간과 동치로 정의할 수 있다.<ref>Klaus Jänich, "Topology"</ref> 거리 공간에서는, 모든 점이 내부점인 집합이 열린 집합이다. 여기서 내부점이란, 어떤 집합의 [[부분집합]]이 되는 [[열린 공]]이 존재하는 점을 말한다.  
열린 집합은 [[위상]]의 원소이다.<ref>James R. Munkres, "Topology (2nd Editi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07458</ref> 사실, 별다른 의미가 있는 문장은 아니고, 위상 공간 자체가 보통 임의의 집합 <math>\mathcal{T}</math> 와 <math>\mathcal{T}</math> 에 정의된 위상 <math>\mathcal{O}</math> 의 쌍 <math>(\mathcal{T}, \mathcal{O})</math> 로 정의되는데, 저 위상 <math>\mathcal{O}</math> 자체를 보통 모든 열린 집합의 집합으로 정의하기때문에, 문자 그대로 열린 집합은 위상의 원소가 된다. 사실, 위상 공간은 닫힌 집합이나 근방을 이용해서도 열린 집합으로 정의한 위상 공간과 동치로 정의할 수 있다.<ref>Klaus Jänich, "Topology"</ref> 거리 공간에서는, 모든 점이 내부점인 집합이 열린 집합이다. 여기서 내부점이란, 어떤 집합의 [[부분집합]]이 되는 [[열린 공]]이 존재하는 점을 말한다.  


정의에 따라 열린 집합이 무조건 닫히지 않은 것은 아니며, <del>[https://www.youtube.com/watch?v=SyD4p8_y8Kw 위상수학을 배우는 히틀러]</del> 열림과 동시에 [[닫힌 집합|닫힌]] 집합도 있다. <math>\mathbb R^2 \sim \mathbb C</math>는 열려 있으면서 닫힌 집합의 예. 사실, 보다 간단한 예시는 공집합과 전체 집합이다. 이 둘은 위상 공간의 정의상, 항상 열린 집합이면서 동시에 닫힌 집합이다. 물론 그 반대로 열려 있지도 닫혀 있지도 않은 <math>\{1/n: \; n\in\mathbb N\}</math> 같은 집합도 있다.
정의에 따라 열린 집합이 무조건 닫히지 않은 것은 아니며, 열림과 동시에 [[닫힌 집합|닫힌]] 집합도 있다. <math>\mathbb R^2 \sim \mathbb C</math>는 열려 있으면서 닫힌 집합의 예. 사실, 보다 간단한 예시는 공집합과 전체 집합이다. 이 둘은 위상 공간의 정의상, 항상 열린 집합이면서 동시에 닫힌 집합이다. 물론 그 반대로 열려 있지도 닫혀 있지도 않은 <math>\{1/n: \; n\in\mathbb N\}</math> 같은 집합도 있다.


==성질==
==성질==

2015년 9월 10일 (목) 13:40 판

틀:학술 관련 정보

거리공간에서 열린 집합(개집합, 開集合, open set)은 어떤 원소에 미소한 움직임이 있어도 다시 그 집합에 속하는 집합을 말한다. 즉, 열린 집합의 모든 원소(점)은 내부점(interior point)이다.[1]

정의

열린 집합은 위상의 원소이다.[2] 사실, 별다른 의미가 있는 문장은 아니고, 위상 공간 자체가 보통 임의의 집합 [math]\displaystyle{ \mathcal{T} }[/math][math]\displaystyle{ \mathcal{T} }[/math] 에 정의된 위상 [math]\displaystyle{ \mathcal{O} }[/math] 의 쌍 [math]\displaystyle{ (\mathcal{T}, \mathcal{O}) }[/math] 로 정의되는데, 저 위상 [math]\displaystyle{ \mathcal{O} }[/math] 자체를 보통 모든 열린 집합의 집합으로 정의하기때문에, 문자 그대로 열린 집합은 위상의 원소가 된다. 사실, 위상 공간은 닫힌 집합이나 근방을 이용해서도 열린 집합으로 정의한 위상 공간과 동치로 정의할 수 있다.[3] 거리 공간에서는, 모든 점이 내부점인 집합이 열린 집합이다. 여기서 내부점이란, 어떤 집합의 부분집합이 되는 열린 공이 존재하는 점을 말한다.

정의에 따라 열린 집합이 무조건 닫히지 않은 것은 아니며, 열림과 동시에 닫힌 집합도 있다. [math]\displaystyle{ \mathbb R^2 \sim \mathbb C }[/math]는 열려 있으면서 닫힌 집합의 예. 사실, 보다 간단한 예시는 공집합과 전체 집합이다. 이 둘은 위상 공간의 정의상, 항상 열린 집합이면서 동시에 닫힌 집합이다. 물론 그 반대로 열려 있지도 닫혀 있지도 않은 [math]\displaystyle{ \{1/n: \; n\in\mathbb N\} }[/math] 같은 집합도 있다.

성질

  • 거리공간에서 근방은 거리가 일정 미만인 집합으로 정의되는데, 이는 열려 있다.
  • 여집합이 열린 집합인 집합을 닫힌 집합이라 정의한다.
  • 열린 집합의 합집합은 열려 있고, 유한교집합 역시 열려 있다. 하지만 유한하지 않은 교집합은 열려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 열린 집합

위상공간 X와 그 부분집합 S가 있다. 이때 S의 부분집합 A에 대하여, X의 열린 부분집합 U가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U \cap S = A }[/math]이면 AS상대적으로 열려 있다(A is open relative to S, or relatively open to S)고 한다. 이는 거리공간 X에서 다음과 동치이다:

[math]\displaystyle{ \forall p \in S, \exists r\gt 0 \text{ s.t. } \left( d(p, q)\lt r \text{ and } q\in S\right) \Rightarrow q \in A. }[/math]

각주

  1. Walter Rudin,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McGraw-Hill Book Company
  2. James R. Munkres, "Topology (2nd Editi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07458
  3. Klaus Jänich, "Top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