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비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외환}}
{{화폐 정보
{{화폐 정보
|화폐이름 = 에티오피아 비르
|현지어 명칭 = የኢትዮጵያ ብር<small> (예이티욥피야 브르<ref>여기서 'ㄹ'는 목청 떨리는 소리로 낸다.</ref><sup>[[암하라어|am]]</sup>)</small>
|원어이름 = የኢትዮጵያ ብር
|다른 언어명 = Ethiopian Birr<small> (이씨오피언 비르<sup>[[영어|en]]</sup>)</small><ref>1976년 이전에는 달러 혹은 탈러라고 칭했다.</ref>
|그림    = NationalBankofEthiopiaNew.png
|그림1 =NationalBankofEthiopia.png
|그림설명 = [[파일:NationalBankofEthiopia.png]]
|그림1_설명 =
|그림2   =  
|그림2 =  
|그림2설명=  
|그림2_설명 =  
|사용국   = {{나라|에티오피아}}
|사용국 = {{국기|에티오피아}}
|비공식   =  
|비공식 사용국 =
|ISO      = ETB
|iso 코드 = ETB
|기호     = ብር, Br
|기호 = ብር, Br<small> <s>[[브롬]]</s></small>
|보조단위 =
|보조단위_비율_1 = 1/100
{{화폐 정보/보조단위
|보조단위_이름_1 = 산팀 (Santim)
|비율 = 1/100
|보조단위_비율_2 =
|이름 = 산팀(Santim)
|보조단위_이름_2 =
}}
|지폐 = <small>(구권 : ብር1, ብር5),</small><ref>1비르 지폐는 2010년대 즈음하여 동전으로 교체되고 있고, 2020년 시점에선 거의 사멸하였다.</ref> ብር10, ብር50, ብር100, ብር200
|지폐     = <small>(구권 : ብር1, ብር5),</small><ref>1비르 지폐는 2010년대 즈음하여 동전으로 교체되고 있고, 2020년 시점에선 거의 사멸하였다.</ref> ብር10, ብር50, ብር100, ብር200
|동전 = <s>1s,</s> 5s, 10s, 25s<ref>25센트(세무니(semuni)라고도 부른다.) 미만의 동전은 구경하기가 어려운 편이다.</ref>, 50s, ብር1
|동전     = <s>1s,</s> 5s, 10s, 25s<ref>25센트(세무니(semuni)라고도 부른다.) 미만의 동전은 구경하기가 어려운 편이다.</ref>, 50s, ብር1
|발행 기관 = 에티오피아 국립은행 (የኢትዮጵያ ብሔራዊ ባንክ)
|중앙은행 = 에티오피아 국립은행 (የኢትዮጵያ ብሔራዊ ባንክ)
|인쇄처 =  
|인쇄처   =  
|조폐국 =  
|조폐국   =  
|인플레이션 = 15%<small> (2017.10 추정치)</small>
|환율     = 40원/ብር<small> (2019.10.13 기준)</small>
|환율 = 40원/ብር<small> (2019.10.13 기준)</small>
|고정환율 =  
|고정환율 =  
|이전화폐 = [[에티오피아 탈러]]
|전신 = [[에티오피아 탈러]]
|이후화폐 =
|후신 =  
|비고    =  
}}
}}
Ethiopian Birr<small> (이씨오피언 비르<sup>[[영어|en]]</sup>)</small><ref>1976년 이전에는 달러 혹은 탈러라고 칭했다.</ref>


== 소개 ==
== 소개 ==
[[에티오피아]]에서 1945년 7월 23일부터 쓰이는 통화이다. 암하라어의 발음법상 '''"브르"'''라고도 한다. 외국어로 지칭할 때는 '탈러'라고도 하는데, 구미지역에서 번역할 당시 편의상, 혹은 임의로 달러처럼 부르던 것이 정착된 것으로, 달러 계열인 것은 아니다. '비르'의 어원은 암하라어로 귀금속 [[은]]을 뜻하며, 18세기 경 쓰여지던 무역통화인 마리아 테레사 탈러(Maria Theresa Thalers) 은화에서 유래한다.
[[에티오피아]]에서 1945년 7월 23일부터 쓰이는 통화이다. 암하라어의 발음법상 '''"브르"'''라고도 한다. 외국어로 지칭할 때는 '탈러'라고도 하는데, 구미지역에서 번역할 당시 편의상, 혹은 임의로 달러처럼 부르던 것이 정착된 것으로, 달러 계열인 것은 아니다. '비르'의 어원은 암하라어로 귀금속 [[은]]을 뜻하며, 18세기 경 쓰여지던 무역통화인 마리아 테레사 탈러(Maria Theresa Thalers) 은화에서 유래한다.  


=== 환전 및 사용 ===
=== 환전 및 사용 ===
53번째 줄: 50번째 줄:


=== 신권 (2020 ~) ===
=== 신권 (2020 ~) ===
ብር200 신 고액권이 추가되는 것과 동시에 기존의 ብር10 ~ ብር100 권종까지 모두 새로운 형태로 교체되었다. 구권의 교환기간은 신권 출시 이후부터 30일간만이 주어졌고, 현금 인출(창구교환)은 1인당 10만 비르(약 370만원)씩, 현금 소지 한도는 150만 비르(약 4천만원)까지로 한정하였다. 그 이상은 (개인 한정으로) 교환 자체가 불법<ref>정확히는 지하자금을 교환하려는 의도로 간주하여 수사하겠다는 것.</ref>이며, 10만 비르 미만은 3배의 기간인 90일간 교환이 이루어졌다. 에티오피아는 자체적으로 조폐국을 두고 있지 않은 관계로, 이번 신권은 독일(G&D)과 영국(데라루)에 분할 발주 후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ብር200 신 고액권이 추가되는 것과 동시에 기존의 ብር10 ~ ብር100 권종까지 모두 새로운 형태로 교체되었다. 구권의 교환기간은 신권 출시 이후부터 30일간만이 주어졌고, 현금 인출(창구교환)은 1인당 10만 비르(약 370만원)씩, 현금 소지 한도는 150만 비르(약 4천만원)까지로 한정하였다. 그 이상은 (개인 한정으로) 교환 자체가 불법<ref>정확히는 지하자금을 교환하려는 의도로 간주하여 수사하겠다는 것.</ref>이며, 10만 비르 미만은 3배의 기간인 90일간 교환이 이루어졌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 에티오피아 3기 비르 : 현행권 시리즈 (2020년판)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Ethiopian 3rd Birr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8FAE48; width:25%;" | '''ብር10'''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8FAE48; width:25%;" | '''ብር10'''
63번째 줄: 60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width:25%;" | '''ብር200'''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width:25%;" | '''ብር200'''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TB3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TB3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TB3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TB3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78번째 줄: 75번째 줄:


=== 공화정 및 연방기 (구권) ===
=== 공화정 및 연방기 (구권) ===
1977년부터 2020년까지 유통된 시리즈이다.
1977년부터 2020년까지 유통된 시리즈이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Ethiopian 2nd Birr Series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Ethiopian 2nd Birr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A6A6A6; width:33%;" | '''ብር1''' 양치기 소년<ref>[[파일:EthiopianBirr.jpg]] 1957년 [[고잠]](ጎጃም)에서 촬영한 사진이 원본.</ref>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A6A6A6; width:33%;" | '''ብር1''' 소년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6CC3D2; width:33%;" | '''ብር5''' 커피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6CC3D2; width:33%;" | '''ብር5''' 커피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2B76C; width:33%;" | '''ብር10''' 메솝(Mesob)을 만드는 여인<ref>에티오피아 요리의 중추인 인제라를 받치는 용도로 쓰이는 그릇. 지푸라기 비슷한 식물섬유로 만들며 벌레가 꼬이지 않게 뚜껑을 덮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2B76C; width:33%;" | '''ብር10''' 메솝(Mesob)을 만드는 여인<ref>에티오피아 요리의 중추인 인제라를 받치는 용도로 쓰이는 그릇. 지푸라기 비슷한 식물섬유로 만들며 벌레가 꼬이지 않게 뚜껑을 덮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ref>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TB2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ETB2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TB2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ETB2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TB2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ETB205.jpg]]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99번째 줄: 96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트랙터
| style="text-align: center;" | 트랙터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BA85;" | '''ብር50''' (신형) 쟁기질<br /><small>(구형) 과학 연구/교육</small>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BA85;" | '''ብር50''' (신형) 쟁기질<br/><small>(구형) 과학 연구/교육</small>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8FAE48;" | '''ብር100''' (신형) 쟁기질<br /><small>(구형) 창과 방패를 든 남자</small>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8FAE48;" | '''ብር100''' (신형) 쟁기질<br/><small>(구형) 창과 방패를 든 남자</small>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 |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TB2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ETB2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TB2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ETB2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119번째 줄: 116번째 줄:
* 장기간 유지한 시리즈다보니 세월이 변하면서 아래와 같은 사소한 변화점이 생겼다.
* 장기간 유지한 시리즈다보니 세월이 변하면서 아래와 같은 사소한 변화점이 생겼다.
* 1997년부터 색깔이 전면 교체되었다. 1비르(녹색→회색), 5비르(황색→청색), 10비르(적색→갈색), 50비르(청색→금색), 100비르(적색→녹색)
* 1997년부터 색깔이 전면 교체되었다. 1비르(녹색→회색), 5비르(황색→청색), 10비르(적색→갈색), 50비르(청색→금색), 100비르(적색→녹색)
* 고액권(50, 100비르)의 경우 1997년에 신권형으로 교체되었다.
* 고액권(50, 100비르)의 경우 1997년에 신권형으로 교체되었다.  
* 2003년부터 고액권에 홀로그램띠 처리가 생겼다.
* 2003년부터 고액권에 홀로그램띠 처리가 생겼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