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파운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0번째 줄: 90번째 줄:
1976년부터 1982년까지 발행되어, 1992년 무렵까지 유통되었다. (£1 지폐에 한해서는 2001년까지 유통되었다.) 중앙은행 설립 이래 최초로 아일랜드 국내에서 디자인 및 인쇄까지의 전 과정을 담당하였다. 구권(A시리즈)에 비해 작아졌기는 하나, 여전히 큼지막한 사이즈가 특징.
1976년부터 1982년까지 발행되어, 1992년 무렵까지 유통되었다. (£1 지폐에 한해서는 2001년까지 유통되었다.) 중앙은행 설립 이래 최초로 아일랜드 국내에서 디자인 및 인쇄까지의 전 과정을 담당하였다. 구권(A시리즈)에 비해 작아졌기는 하나, 여전히 큼지막한 사이즈가 특징.


10진법으로 변경된 후의 A시리즈 시스템을 그대로 이어받았으나, £100 권종은 [[어른의 사정]]<ref>2017년에서야 아일랜드 중앙은행이 관련 기록을 공개하였다. 간단히 정리하여 2가지 이유로 발행되지 못했는데, ①기반 자료가 없는 상태에서 디자인을 하다보니 시간을 너무 많이 끌어버린 점, ②그리고 당시 재무장관이 고액권의 지하자금화 리스크를 매우 심각히 여긴 점이 얽혀서 결국 미발행으로 끝났다는 이야기이다.</ref>으로 계획만 하고 실제 발행을 불발되었다. 그래서 기껏 유통을 중단시킨 A시리즈 £100 권종을 <s>어차피 별로 쓰지도 않았지만</s> [[예토전생|도로 부활]]시켰다.
10진법으로 변경된 후의 A시리즈 시스템을 그대로 이어받았으나, £100 권종은 [[어른의 사정]]으로 계획만 하고 실제 발행을 불발되었다. 그래서 기껏 유통을 중단시킨 A시리즈 £100 권종을 <s>어차피 별로 쓰지도 않았지만</s> [[예토전생|도로 부활]]시켰다.


주요 테마인 "아일랜드의 역사"에 걸맞게 글자 하나하나부터 화풍이나 구성까지 토속적인 중세 유럽풍 디자인을 적극적으로 채용한 것이 특징이며, £1에서 £20까지는 시대순으로 배치하였다.
주요 테마인 "아일랜드의 역사"에 걸맞게 글자 하나하나부터 화풍이나 구성까지 토속적인 중세 유럽풍 디자인을 적극적으로 채용한 것이 특징이며, £1에서 £20까지는 시대순으로 배치하였다.
126번째 줄: 126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블라스코다 제도<ref>Na Blascaodaí, 영칭인 블래스킷 제도(Blasket islands)라고도 한다. 아일랜드 서남부의 켈리 주(州) 딩글 반도 끝자락 너머에 있는 제도. 낙도 특성상 사회서비스 제공이 어려웠기 때문에 원주민 대부분이 정부 주도의 이주정책으로 바로 건너편, (날씨가 좋으면) 고향이 직격으로 보이는 딩글로 이주하였다. 이들(뒤에 언급되는 토마스 오 크로한(Tomás Ó Criomhthain)을 포함)이 고향을 추억하며 남긴 문헌에는 게일 민족 특유의 전통생활양식이 그대로 나타나있어, 민족학적 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다.</ref> & 토마스 오 크로한의 저서, "섬사람 (An tOileánach)"<ref>실물의 배경을 자세히 보면 글씨로 채워져있다. 그것이 이 책.</ref>
| style="text-align: center;" | 블라스코다 제도<ref>Na Blascaodaí, 영칭인 블래스킷 제도(Blasket islands)라고도 한다. 아일랜드 서남부의 켈리 주(州) 딩글 반도 끝자락 너머에 있는 제도. 낙도 특성상 사회서비스 제공이 어려웠기 때문에 원주민 대부분이 정부 주도의 이주정책으로 바로 건너편, (날씨가 좋으면) 고향이 직격으로 보이는 딩글로 이주하였다. 이들(뒤에 언급되는 토마스 오 크로한(Tomás Ó Criomhthain)을 포함)이 고향을 추억하며 남긴 문헌에는 게일 민족 특유의 전통생활양식이 그대로 나타나있어, 민족학적 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다.</ref> & 토마스 오 크로한의 저서, "섬사람 (An tOileánach)"<ref>실물의 배경을 자세히 보면 글씨로 채워져있다. 그것이 이 책.</ref>
| style="text-align: center;" | 성 미칸 교회 오르간 위쪽의 나무장식<ref>교회는 1095년에 처음 세워졌고, 1686년에 재건, 1825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동하였다. 클래식의 대가 중 하나인 [[헨델]]이 "[[메시아]]"를 처음 연주한 [[오르간]]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를 반영한 듯, 나무장식에 수많은 악기들이 빈틈없이 조각되어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성 미칸 교회 오르간 위쪽의 나무장식<ref>교회는 1095년에 처음 세워졌고, 1686년에 재건, 1825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동하였다. 클래식의 대가 중 하나인 [[헨델]]이 "[[메시아]]"를 처음 연주한 [[오르간]]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를 반영한 듯, 나무장식에 수많은 악기들이 빈틈없이 조각되어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1567년 [[아일랜드섬|히베르니아 (Hibernia)]] 지도
| style="text-align: center;" |  
|}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