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키메데스 성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학술}}" 문자열을 "" 문자열로)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Archimedian property
Archimedian property
== 개요 ==
== 개요 ==
어떤 큰 양수 \(c\)와 작은 양수 \(x\)가 있다고 하자. 이 \(x\)를 계속 더해나갈 때, 우리는 그 합이 언젠가는 \(c\)를 넘어설 것이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있다. 반대로, 어떤 작은 양수 <math>\varepsilon</math>이 있다고 하자. 직관적으로 우리는 이 <math>\varepsilon</math>보다 작은 수가 존재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위 두 성질이 수학적으로 어째서 성립하는지 묻는다면 대부분 "그냥 그런거 아냐?"라는 대답을 듣게 될 것이다. 아르키메데스 성질은 이 두 성질을 수학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당연하지만 증명이 존재한다.
어떤 큰 양수 <math>c</math>와 작은 양수 <math>x</math>가 있다고 하자. 이 <math>x</math>를 계속 더해나갈 때, 우리는 그 합이 언젠가는 <math>c</math>를 넘어설 것이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있다. 반대로, 어떤 작은 양수 <math>\varepsilon</math>이 있다고 하자. 직관적으로 우리는 이 <math>\varepsilon</math>보다 작은 양수가 존재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위 두 성질이 수학적으로 어째서 성립하는지 묻는다면 대부분 "그냥 그런거 아냐?"라는 대답을 듣게 될 것이다. 아르키메데스 성질은 이 두 성질을 수학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당연하지만 증명이 존재한다.


== 실해석학에서 ==
== 실해석학에서 ==
*<math>a,\,b\in\mathbb{R}^+</math>이라 하자. 그럼 <math>na> b</math>를 만족하는 <math>n\in\mathbb{N}</math>이 존재한다.
*<math>a,\,b\in\mathbb{R}^+</math>이라 하자. 그럼 <math>na> b</math>를 만족하는 <math>n\in\mathbb{N}</math>이 존재한다.
**<math>\forall n\in\mathbb{N},\,na\leq b</math>라 가정하자. <math>S=\left\{na\mid n\mathbb{N}\right\}</math>이라 하면 집합 \(S\)는 공집합이 아니고 \(b\)에 의해 위로 유계이다. Completeness 공리에의해 <math>M=\sup S</math>가 [[실수]]로서 존재하고, <math>a>0</math>이므로 <math>M-a< M</math>이다. <math>M-a</math>는 상계가 아니므로 적당한 자연수 <math>n_0</math>에 대해 <math>n_0a> M-a</math>가 성립한다. 그런데 <math>\left(n_0+1\right)a> M</math>이고, <math>n_0+1\in\mathbb{N}</math>이므로 <math>\left(n_0+1\right)a\in S</math>이다. 이는 곧 <math>M</math>이 상계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math>na\leq b</math>는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성립할 수 없고, 곧 적당한 자연수 \(n\)에 대해 <math>na> b</math>가 성립한다.
**<math>\forall n\in\mathbb{N},\,na\leq b</math>라 가정하자. <math>S=\left\{na\mid n\mathbb{N}\right\}</math>이라 하면 집합 <math>S</math>는 공집합이 아니고 <math>b</math>에 의해 위로 유계이다. Completeness 공리에의해 <math>M=\sup S</math>가 [[실수]]로서 존재하고, <math>a>0</math>이므로 <math>M-a< M</math>이다. <math>M-a</math>는 상계가 아니므로 적당한 자연수 <math>n_0</math>에 대해 <math>n_0a> M-a</math>가 성립한다. 그런데 <math>\left(n_0+1\right)a> M</math>이고, <math>n_0+1\in\mathbb{N}</math>이므로 <math>\left(n_0+1\right)a\in S</math>이다. 이는 곧 <math>M</math>이 상계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math>na\leq b</math>는 모든 자연수 <math>n</math>에 대해 성립할 수 없고, 곧 적당한 자연수 <math>n</math>에 대해 <math>na> b</math>가 성립한다.
*따름정리: 임의의 <math>\varepsilon>0</math>에 대해, <math>\frac{1}{n}<\varepsilon</math>을 만족하는 <math>n\in\mathbb{N}</math>이 존재한다.
*따름정리: 임의의 <math>\varepsilon>0</math>에 대해, <math>\frac{1}{n}<\varepsilon</math>을 만족하는 <math>n\in\mathbb{N}</math>이 존재한다.
**<math>a=1,\,b=\frac{1}{\varepsilon}</math>이라 하자. 그럼 아르키메데스 성질에 의해 <math>n>\frac{1}{\varepsilon}</math>을 만족하는 <math>n\in\mathbb{N}</math>이 존재한다. 즉, <math>\frac{1}{n}<\varepsilon</math>
**<math>a=1,\,b=\frac{1}{\varepsilon}</math>이라 하자. 그럼 아르키메데스 성질에 의해 <math>n>\frac{1}{\varepsilon}</math>을 만족하는 <math>n\in\mathbb{N}</math>이 존재한다. 즉, <math>\frac{1}{n}<\varepsilon</math>


[[분류:해석학]]
[[분류:해석학]]
[[분류:수학 정리]]

2019년 1월 21일 (월) 21:34 기준 최신판

Archimedian property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어떤 큰 양수 [math]\displaystyle{ c }[/math]와 작은 양수 [math]\displaystyle{ x }[/math]가 있다고 하자. 이 [math]\displaystyle{ x }[/math]를 계속 더해나갈 때, 우리는 그 합이 언젠가는 [math]\displaystyle{ c }[/math]를 넘어설 것이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있다. 반대로, 어떤 작은 양수 [math]\displaystyle{ \varepsilon }[/math]이 있다고 하자. 직관적으로 우리는 이 [math]\displaystyle{ \varepsilon }[/math]보다 작은 양수가 존재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위 두 성질이 수학적으로 어째서 성립하는지 묻는다면 대부분 "그냥 그런거 아냐?"라는 대답을 듣게 될 것이다. 아르키메데스 성질은 이 두 성질을 수학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당연하지만 증명이 존재한다.

실해석학에서[편집 | 원본 편집]

  • [math]\displaystyle{ a,\,b\in\mathbb{R}^+ }[/math]이라 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na\gt b }[/math]를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n\in\mathbb{N} }[/math]이 존재한다.
    • [math]\displaystyle{ \forall n\in\mathbb{N},\,na\leq b }[/math]라 가정하자. [math]\displaystyle{ S=\left\{na\mid n\mathbb{N}\right\} }[/math]이라 하면 집합 [math]\displaystyle{ S }[/math]는 공집합이 아니고 [math]\displaystyle{ b }[/math]에 의해 위로 유계이다. Completeness 공리에의해 [math]\displaystyle{ M=\sup S }[/math]실수로서 존재하고, [math]\displaystyle{ a\gt 0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M-a\lt M }[/math]이다. [math]\displaystyle{ M-a }[/math]는 상계가 아니므로 적당한 자연수 [math]\displaystyle{ n_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n_0a\gt M-a }[/math]가 성립한다. 그런데 [math]\displaystyle{ \left(n_0+1\right)a\gt M }[/math]이고, [math]\displaystyle{ n_0+1\in\mathbb{N}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left(n_0+1\right)a\in S }[/math]이다. 이는 곧 [math]\displaystyle{ M }[/math]이 상계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na\leq b }[/math]는 모든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성립할 수 없고, 곧 적당한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na\gt b }[/math]가 성립한다.
  • 따름정리: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rac{1}{n}\lt \varepsilon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n\in\mathbb{N} }[/math]이 존재한다.
    • [math]\displaystyle{ a=1,\,b=\frac{1}{\varepsilon} }[/math]이라 하자. 그럼 아르키메데스 성질에 의해 [math]\displaystyle{ n\gt \frac{1}{\varepsilon}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n\in\mathbb{N} }[/math]이 존재한다. 즉, [math]\displaystyle{ \frac{1}{n}\lt \varepsilon }[/m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