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수포자도 쉽게 알 수 있는 수학/수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시리즈:수포자도 쉽게 알 수 있는 수학}}
{{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
|수학이 정말 쉬워서 저 수포자 그만둡니다.
|문서의 내용이 너무 쉬워서 머리속에 쏙쏙 들어옵니다.
|수포자도 쉽게 알 수 있는 수학/질문|도와주세요! 리브레 수학 선생님! 코너 바로가기}}
{{:수포자도 쉽게 알 수 있는 수학}}
{{토막글}}


==수열==
==수열==
7번째 줄: 12번째 줄:
**초항 : 특별히 수열의 가장 첫번째 항 <math>a _1</math>을 초항이라고 한다.  
**초항 : 특별히 수열의 가장 첫번째 항 <math>a _1</math>을 초항이라고 한다.  
*일반항 : ''n''번째 항을 ''n''에 대해서 나타낸 것.  
*일반항 : ''n''번째 항을 ''n''에 대해서 나타낸 것.  
*:일반항을 알고 있다면 n에 숫자만 넣어서 얼마인지 바로 알 수 있다! <math>a_{n}=n</math>이라 하면, 이 수열은 1, 2, 3, 4, 5, 6, …가 된다.  
*:일반항을 알고 있다면 n에 숫자만 넣어서 얼마인지 바로 알 수 있다! <math>a_{n}=n</math>이라 하면, 이 수열은 1, 2, <s>짝</s>3, 4, 5, <s>짝</s>6, …가 된다.  
*점화식 : 여러 항들 사이의 관계식.
*점화식 : 여러 항들 사이의 관계식.
*:<math>a_{n+1}=a_{n}+1</math>같이 각 항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식이다. 점화식과 초항을 알고 있다면 <math>a_{2}</math>를 구하고, <math>a_{2}</math>를 통해 <math>a_{3}</math>을 구하고, 이렇게 연쇄적으로 수열을 계속 구할 수 있다.<ref>가끔 이렇게 수열을 구하는 게 불을 붙인 게 번져나가는 것 같다 해서 점화(點火)식이라고 알고 있기도 하는데, 한자 자체가 점화식(漸化式)과는 다르다!</ref>
*:<math>a_{n+1}=a_{n}+1</math>같이 각 항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식이다. 점화식과 초항을 알고 있다면 <math>a_{2}</math>를 구하고, <math>a_{2}</math>를 통해 <math>a_{3}</math>을 구하고, 이렇게 연쇄적으로 수열을 계속 구할 수 있다.<ref>가끔 이렇게 수열을 구하는 게 불을 붙인 게 번져나가는 것 같다 해서 점화(點火)식이라고 알고 있기도 하는데, 한자 자체가 점화식(漸化式)과는 다르다!</ref>
46번째 줄: 51번째 줄:
여기서 <math>R</math>은 제 <math>n</math>항이므로 <math>R=a+(n-1)d</math>를 위 3번식에 대입하면 <math>S_{n}=\frac{n\left \{ 2a+\left ( n-1 \right )d \right \}}{2}</math>
여기서 <math>R</math>은 제 <math>n</math>항이므로 <math>R=a+(n-1)d</math>를 위 3번식에 대입하면 <math>S_{n}=\frac{n\left \{ 2a+\left ( n-1 \right )d \right \}}{2}</math>


여담이지만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우스]]가 이 방법으로 1부터 100까지의 합을 구했다고 한다. '''10살 때, 11초만에, 암산으로.'''<ref>암산이라거나 10초만이라는 이야기는 과장되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정말로 빠른 시간안에 풀어냈다는 건 확실한 사실. 정확히 이 이야기를 알고 있다면 [[수정바람]].</ref>
여담이지만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우스]]가 이 방법으로 1부터 100까지의 합을 구했다고 한다. '''10살 때, 10초만에, 암산으로.'''<ref>암산이라거나 10초만이라는 이야기는 과장되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정말로 빠른 시간안에 풀어냈다는 건 확실한 사실. 정확히 이 이야기를 알고 있다면 [[수정바람]].</ref>


1부터 100까지의 합은 1, 2, 3, …인 수열의 100번째까지의 합이니까 초항이 1이고 100번째 항이 100이므로 100×(1+100)/2=5050이 나온다. 숫자 계산 자체는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니다. 10살이란 나이에 저 '뒤집어서 더한다' 라는 발상을 해낸 게 대단한 것.
1부터 100까지의 합은 1, 2, 3, …인 수열의 100번째까지의 합이니까 초항이 1이고 100번째 항이 100이므로 100×(1+100)/2=5050이 나온다. 숫자 계산 자체는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니다. 10살이란 나이에 저 '뒤집어서 더한다' 라는 발상을 해낸 게 대단한 것.
163번째 줄: 168번째 줄:


==급수==
==급수==
수열 <math>\left \{ a_{n} \right \}</math>의 첫째항부터 제<math>n</math>항까지의 합을 기호 <math>\sum </math>을 사용하여<br />
수열 <math>\left \{ a_{n} \right \}</math>의 첫째항부터 제<math>n</math>항까지의 합을 기호 <math>\sum </math>을 사용하여<br>
<math>a_{1}+a_{2}+a_{3}+\cdots+a_{n}=\sum_{k=1}^{n}a_{k}</math>이라고 표현합니다.<br />
<math>a_{1}+a_{2}+a_{3}+\cdots+a_{n}=\sum_{k=1}^{n}a_{k}</math>이라고 표현합니다.<br>
=== 급수의 성질 ===
=== 급수의 성질 ===
두 수열 <math>\left \{ a_{n} \right \},\left \{ b_{n} \right \}</math>에 대하여.<br />
두 수열 <math>\left \{ a_{n} \right \},\left \{ b_{n} \right \}</math>에 대하여.<br>
<math>
<math>
\sum_{k=1}^{n}\left ( a_{k}+b_{k} \right )=\\
\sum_{k=1}^{n}\left ( a_{k}+b_{k} \right )=\\
172번째 줄: 177번째 줄:
\left ( a_1+a_2+a_3+\cdots+a_n \right )+\left ( b_1+b_2+b_3+\cdots+b_n \right )=\\
\left ( a_1+a_2+a_3+\cdots+a_n \right )+\left ( b_1+b_2+b_3+\cdots+b_n \right )=\\
=\sum_{k=1}^{n}a_k+\sum_{k=1}^{n}b_k
=\sum_{k=1}^{n}a_k+\sum_{k=1}^{n}b_k
</math><br />
</math><br>
또 상수 c에 대하여.<br />
또 상수 c에 대하여.<br>
<math>
<math>
\sum_{k=1}^{n}ca_k=ca_1+ca_2+ca_3+\cdots+ca_n\\
\sum_{k=1}^{n}ca_k=ca_1+ca_2+ca_3+\cdots+ca_n\\
182번째 줄: 187번째 줄:
이하 내용은 [[거듭제곱의 합]] 문서를 참조하세요.
이하 내용은 [[거듭제곱의 합]] 문서를 참조하세요.
==== <math>\sum_{k=1}^{n}k</math> ====
==== <math>\sum_{k=1}^{n}k</math> ====
<math>\sum_{k=1}^{n}k=1+2+3+\cdots+n=\frac{n\left ( n+1 \right )}{2}</math><br />
<math>\sum_{k=1}^{n}k=1+2+3+\cdots+n=\frac{n\left ( n+1 \right )}{2}</math><br>
이건 위 공식에서 그냥 첫째항과 공차에 각각 1 대입하면 나옵니다.
이건 위 공식에서 그냥 첫째항과 공차에 각각 1 대입하면 나옵니다.
==== <math>\sum_{k=1}^{n}k^2</math> ====
==== <math>\sum_{k=1}^{n}k^2</math> ====
항등식 <math>\left ( x+1 \right )^{3}-{x}^{3}=3{x}^{2}+3x+1</math>의 <math>x</math>에<br />
항등식 <math>\left ( x+1 \right )^{3}-{x}^{3}=3{x}^{2}+3x+1</math>의 <math>x</math>에<br>
<math>1,2,3,\cdots,n</math>을 차례로 대입해 봅시다.<br />
<math>1,2,3,\cdots,n</math>을 차례로 대입해 봅시다.<br>
<math>
<math>
\begin{cases}
\begin{cases}
195번째 줄: 200번째 줄:
  & x=n,\left ( n+1 \right )^3-n^3=3\times n^2+3\times n+1
  & x=n,\left ( n+1 \right )^3-n^3=3\times n^2+3\times n+1
\end{cases}
\end{cases}
</math><br />
</math><br>
싸그리 더하면.<br />
싸그리 더하면.<br>
<math>
<math>
\require{cancel}
\require{cancel}
206번째 줄: 211번째 줄:
  & x=n,\left ( n+1 \right )^3\bcancel{-n^3}=3\times n^2+3\times n+1
  & x=n,\left ( n+1 \right )^3\bcancel{-n^3}=3\times n^2+3\times n+1
\end{cases}
\end{cases}
</math><br />
</math><br>
<math>\left ( n+1 \right )^{3}-1^3=3\sum_{k=1}^{n}k^2+3\sum_{k=1}^{n}+3\sum_{k=1}^{n}1</math><br />
<math>\left ( n+1 \right )^{3}-1^3=3\sum_{k=1}^{n}k^2+3\sum_{k=1}^{n}+3\sum_{k=1}^{n}1</math><br>
그런데 <math>\sum_{k=1}^{n}=\frac{n\left ( n+1 \right )}{2},\sum_{k=1}^{n}1=n</math><br />
그런데 <math>\sum_{k=1}^{n}=\frac{n\left ( n+1 \right )}{2},\sum_{k=1}^{n}1=n</math><br>
따라서.<br />
따라서.<br>
<math>\left ( n+1 \right )^3-1^3=3\sum_{k=1}^{n}k^2+3\times \frac{n\left ( n+1 \right )}{2}+n</math><br />
<math>\left ( n+1 \right )^3-1^3=3\sum_{k=1}^{n}k^2+3\times \frac{n\left ( n+1 \right )}{2}+n</math><br>
<math>3\sum_{k=1}^{n}k^2=\left ( n+1 \right )^3-\frac{3n\left ( n+1 \right )}{2}-\left ( n+1 \right )=\frac{n\left ( n+1 \right )\left ( 2n+1 \right )}{6}</math>
<math>3\sum_{k=1}^{n}k^2=\left ( n+1 \right )^3-\frac{3n\left ( n+1 \right )}{2}-\left ( n+1 \right )=\frac{n\left ( n+1 \right )\left ( 2n+1 \right )}{6}</math>
입니다.
입니다.
217번째 줄: 222번째 줄:
수열의 원소가 ''n''이 커짐에 따라 ''특정한 값에 다가갈 때'', 이 수열은 ''수렴한다''고 한다.
수열의 원소가 ''n''이 커짐에 따라 ''특정한 값에 다가갈 때'', 이 수열은 ''수렴한다''고 한다.
수렴하지 않는 수열은 ''n''이 커짐에 따라 ''발산한다''고 한다.
수렴하지 않는 수열은 ''n''이 커짐에 따라 ''발산한다''고 한다.
항의 숫자가 무한히 커질 때, 수열의 값이 어떻게 되는가를 구하면 된다.


==무한급수==
==무한급수==
234번째 줄: 237번째 줄:
=== 여러 가지 수열의 무한급수 ===
=== 여러 가지 수열의 무한급수 ===
==== 무한등비급수 ====
==== 무한등비급수 ====
초항이 a이고 공비 r이 <math>\left | r \right |<1</math>인 등비수열의 무한급수를 구해 봅시다.<br />
초항이 a이고 공비 r이 <math>\left | r \right |<1</math>인 등비수열의 무한급수를 구해 봅시다.<br>
자,초항이 a이고 공비가 r<ref><math>\left | r \right |<1</math></ref>인 등비수열 <math>\left \{ a_n \right \}</math>의 합은 다음과 같습니다.<br />
자,초항이 a이고 공비가 r<ref><math>\left | r \right |<1</math></ref>인 등비수열 <math>\left \{ a_n \right \}</math>의 합은 다음과 같습니다.<br>
<math>\huge \frac{a\left ( 1-{r}^{n} \right )}{1-r}</math><br />
<math>\huge \frac{a\left ( 1-{r}^{n} \right )}{1-r}</math><br>
<math>\lim_{n \to \infty }{r}^{n}=0</math><br />
<math>\lim_{n \to \infty }{r}^{n}=0</math><br>
따라서 <math>\huge \lim_{n \to \infty }\frac{a\left ( 1-{r}^{n} \right )}{1-r}=\frac{a}{1-r}</math>
따라서 <math>\huge \lim_{n \to \infty }\frac{a\left ( 1-{r}^{n} \right )}{1-r}=\frac{a}{1-r}</math>
===== 무한등비급수를 이용하여 [[0.99…=1]]임을 증명해 봅시다. =====
===== 무한등비급수를 이용하여 [[0.99…=1]]임을 증명해 봅시다. =====
우선 0.99...는 초항이 0.9이고 공비가 0.1인 무한등비급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br />
우선 0.99...는 초항이 0.9이고 공비가 0.1인 무한등비급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br>
고로 위 식에 대입합니다.<br />
고로 위 식에 대입합니다.<br>
<math>\frac{0.9}{1-0.1}=\frac{9}{10-1}=\frac{9}{9}=1</math>
<math>\frac{0.9}{1-0.1}=\frac{9}{10-1}=\frac{9}{9}=1</math>
어때요,[[참 쉽죠?]]
어때요,[[참 쉽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