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수포자도 쉽게 알 수 있는 수학/수열

문서의 내용이 너무 쉬워서 머리속에 쏙쏙 들어옵니다.

이 문서에는 독자적으로 연구한 내용이 들어갑니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무례하지 않도록 작성해 주시고, 의견 충돌 시 토론 문서에서 토론해 주세요.
수포자도 쉽게 알 수 있는 수학
집합과 명제 수의 체계와 수의 성질 문자와 식 및 방정식과 부등식 함수 수열
미분과 적분 확률과 통계 평면기하학과 공간기하학 해석기하학

수열[편집 | 원본 편집]

들이 어떤 규칙에 따라 나열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정말로 들의 나이라 수열일 뿐이다.

들어가기 전에[편집 | 원본 편집]

  • 항 : 수열의 각 원소를 이라고 한다. 수열의 n번째 항을 [math]\displaystyle{ a _n }[/math]처럼 나타낸다.
    • 초항 : 특별히 수열의 가장 첫번째 항 [math]\displaystyle{ a _1 }[/math]을 초항이라고 한다.
  • 일반항 : n번째 항을 n에 대해서 나타낸 것.
    일반항을 알고 있다면 n에 숫자만 넣어서 얼마인지 바로 알 수 있다! [math]\displaystyle{ a_{n}=n }[/math]이라 하면, 이 수열은 1, 2, 3, 4, 5, 6, …가 된다.
  • 점화식 : 여러 항들 사이의 관계식.
    [math]\displaystyle{ a_{n+1}=a_{n}+1 }[/math]같이 각 항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식이다. 점화식과 초항을 알고 있다면 [math]\displaystyle{ a_{2} }[/math]를 구하고, [math]\displaystyle{ a_{2} }[/math]를 통해 [math]\displaystyle{ a_{3} }[/math]을 구하고, 이렇게 연쇄적으로 수열을 계속 구할 수 있다.[1]
  • 수열 전체를 나타낼 때는 {}를 양쪽에 붙인다. [math]\displaystyle{ \left\{a_n \right\} }[/math] 이렇게.

등차수열·등비수열[편집 | 원본 편집]

등차수열[편집 | 원본 편집]

1, 3, 5, 7, 9, …처럼 계속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수열을 등차수열이라고 한다. 그리고 여기서 변화하는 만큼을 공차라고 한다. 즉, 이 수열은 초항이 1이고 공차가 2인 수열이다.

Difference의 d를 따서, 공차는 주로 [math]\displaystyle{ d }[/math]로 쓴다.

등차수열을 만드는 건 정말 간단하다! 앞의 항에 공차를 더하면 그냥 다음 항이 된다. 이걸 점화식으로 쓰면 [math]\displaystyle{ a_{n+1}=a_{n}+d }[/math]이다.

  • 초항이 1이고 공차가 10인 수열 : 1, 11, 21, 31, 41, …
  • 초항이 0이고 공차가 -2인 수열 : 0, -2, -4, -8, -10, …
  • 초항이 3이고 공차가 0인 수열 : 3, 3, 3, 3, 3, …[2]

초항이 [math]\displaystyle{ a }[/math]이고 공차가 [math]\displaystyle{ d }[/math]인 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를 수식으로 나타내려면 어떻게 할까? 두번째 항은 초항+공차니까 [math]\displaystyle{ a_{2}=a+d }[/math]이다. 세번째 항은 [math]\displaystyle{ a_{2}+d }[/math]니까 [math]\displaystyle{ a_{3}=a+2d }[/math]이다. 규칙이 눈에 보인다!

따라서, 초항이 [math]\displaystyle{ a }[/math]이고 공차가 [math]\displaystyle{ d }[/math]인 등차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의 일반항은 [math]\displaystyle{ a_{n}=a+(n-1)d }[/math]이다.

등차수열의 합[편집 | 원본 편집]

우선 첫째항이 [math]\displaystyle{ a }[/math], 공차가 [math]\displaystyle{ d }[/math]인 등차수열의 제 n항을 [math]\displaystyle{ R }[/math]이라고 하면, 첫째항부터 제 n항까지의 합 [math]\displaystyle{ S_{n} }[/math]

[math]\displaystyle{ \qquad S_{n}=a+(a+d)+(a+2d)+\cdots+(R-2d)+(R-d)+R }[/math] (1번식)

1번식에서 우변의 항을 역순으로 놓으면,

[math]\displaystyle{ \qquad S_{n}=R+(R-d)+(R-2d)+\cdots+(a+2d)+(a+d)+a }[/math] (2번식)

1번식과 2번식을 같은 변끼리 더하면

[math]\displaystyle{ \qquad 2S_{n}=\underset{n개}{\underbrace{(a+R)+(a+R)+(a+R)+\cdots+(a+R)+(a+R)}}=n(a+R) }[/math]

[math]\displaystyle{ \qquad \therefore S_{n}=\frac{n(a+R)}{2} }[/math] (3번식)

여기서 [math]\displaystyle{ R }[/math]은 제 [math]\displaystyle{ n }[/math]항이므로 [math]\displaystyle{ R=a+(n-1)d }[/math]를 위 3번식에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S_{n}=\frac{n\left \{ 2a+\left ( n-1 \right )d \right \}}{2} }[/math]

여담이지만 수학자 가우스가 이 방법으로 1부터 100까지의 합을 구했다고 한다. 10살 때, 11초만에, 암산으로.[3]

1부터 100까지의 합은 1, 2, 3, …인 수열의 100번째까지의 합이니까 초항이 1이고 100번째 항이 100이므로 100×(1+100)/2=5050이 나온다. 숫자 계산 자체는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니다. 10살이란 나이에 저 '뒤집어서 더한다' 라는 발상을 해낸 게 대단한 것.

등비수열[편집 | 원본 편집]

1, 2, 4, 8, 16, …처럼 계속 일정한 수가 곱해지는 수열을 등비수열이라고 한다. 그리고 여기서 곱해지는 수를 공비라고 한다. 즉, 이 수열은 초항이 1이고 공비가 2인 수열이다.

Ratio의 r를 따서, 공비는 주로 [math]\displaystyle{ r }[/math]로 쓴다.

등비수열을 만드는 건 정말 간단하다! 데자뷰 앞의 항에 공비를 곱하면 그냥 다음 항이 된다. 이걸 점화식으로 쓰면 [math]\displaystyle{ a_{n+1}=r a_{n} }[/math]이다.

  • 초항이 1이고 공비가 10인 수열 : 1, 10, 100, 1000, 10000, …
  • 초항이 3이고 공비가 1인 수열 : 3, 3, 3, 3, 3, …
  • 초항이 1이고 공비가 -1인 수열 : 1, -1, 1, -1, 1, …[4]

일반항도 등차수열과 비슷하다. 초항이 [math]\displaystyle{ a }[/math]이고 공차가 [math]\displaystyle{ d }[/math]인 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의 두번째 항은 [math]\displaystyle{ a_{2}=ar }[/math]이다. 세번째 항은 [math]\displaystyle{ a_{3}=ar^2 }[/math]이다.

초항이 [math]\displaystyle{ a }[/math]이고 공비가 [math]\displaystyle{ r }[/math]인 등비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의 일반항은 [math]\displaystyle{ a_{n}=ar^{n-1} }[/math]이다.

등비수열의 합[편집 | 원본 편집]

초항이 [math]\displaystyle{ a }[/math]이고 공비가 [math]\displaystyle{ r }[/math]인 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의 첫째항부터 제 n항까지의 합 [math]\displaystyle{ S_{n} }[/math]을 구하는데,

만약 [math]\displaystyle{ r=1 }[/math]이면 [math]\displaystyle{ S_{n}=\underset{n개}{\underbrace{a+a+a+\cdots+a}}=na }[/math]다.

[math]\displaystyle{ r\neq 1 }[/math]라면,

[math]\displaystyle{ \qquad S_{n}=a+ar+ar^2+\cdots+ar^{n-1} }[/math] (1번식)

1번식의 양변에 [math]\displaystyle{ r }[/math]을 곱하면

[math]\displaystyle{ \qquad rS_{n}=ar+ar^2+ar^3+\cdots+ar^{n} }[/math](2번식)

이제 1번식에서 2번식을 변끼리 뺀다.

[math]\displaystyle{ \qquad (1-r)S_{n}=a-ar^n }[/math]

양변을 [math]\displaystyle{ (1-r) }[/math]로 나눠서 정리하면 [math]\displaystyle{ S_{n}=\frac{a\left ( 1-r^{n} \right )}{1-r}=\frac{a\left ( r^{n}-1 \right )}{r-1} }[/math]가 된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등비수열의 합
[math]\displaystyle{ r\neq 1 }[/math] [math]\displaystyle{ S_{n}=\frac{a\left ( 1-r^{n} \right )}{1-r} }[/math]
[math]\displaystyle{ r=1 }[/math] [math]\displaystyle{ S_{n}=na }[/math]

계차수열[편집 | 원본 편집]

1, 2, 4, 7, 11, 16, …인 수열이 있다고 하자. 이 수열은 위에서 봤던 등차수열도, 등비수열도 아니다. 대신 다음 항에 더해지는 수가 1, 2, 3, 4, 5, …가 된다. 수열 자체보다는 앞뒷항 사이의 차가 일정한 규칙이 있는 것이다!

이처럼 수열 [math]\displaystyle{ \left\{a_n \right\} }[/math]에서 [math]\displaystyle{ a _{n+1} - a _n }[/math]을 새로운 수열 [math]\displaystyle{ b _n }[/math]로 정의할 때, [math]\displaystyle{ \left\{b _n \right\} }[/math][math]\displaystyle{ \left\{a_n \right\} }[/math]계차수열이라고 한다.

  • [math]\displaystyle{ b _n = a _{n+1} - a _n \left( n \ge 1 \right) }[/math] (계차수열의 정의)
  • [math]\displaystyle{ a _{n} = a _1 + \sum _{k=1} ^{n-1} b _k }[/math]
    • 왜냐면, 계차수열의 정의에서 [math]\displaystyle{ a_{n+1} = a_n + b_n \left(n \ge 1 \right) }[/math]라고도 쓸 수 있다. 이걸 [math]\displaystyle{ a_{n}, a_{n-1}, …, a_2 }[/math]에 대해서도 쭉 쓰고 양변끼리 더하면

[math]\displaystyle{ \left. \begin{matrix} a_{n+1} &=& a_n + b_n \\ a_{n} &=& a_{n-1} + b_{n-1} \\ a_{n-1} &=& a_{n-2} + b_{n-2} \\ & \vdots & \\ a_{3} &=& a_2 + b_2 \\ a_{2} &=& a_1 + b_1 \\ \end{matrix} \right\} \to \begin{matrix} a_{n+1} &=& a_1 + b_n + b_{n-1} +b_{n-2} + \cdots + b_2 + b_1 \\ &=& a_1 + \sum _{k=1} ^{n} b _k \end{matrix} }[/math]

여기서 [math]\displaystyle{ a _{n} }[/math]를 구하기 위해서는 계차수열을 n-1항까지 더해야 하는 것에 주의하자!

수학적 귀납법[편집 | 원본 편집]

점화식 수열[편집 | 원본 편집]

이 항목을 단순히 달달 외울 필요는 없다. 점화식에 변형을 가해서 위의 등차수열, 등비수열, 계차수열로 바꾸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 방법을 체득하면 된다. 누가 체득이 쉽데? 괜찮아. 문제 100개쯤 풀면 되겠지.

여기에 있는 점화식들은 고등학교 과정에서 나올법한 정도만 있다.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점화식으로.

[math]\displaystyle{ a_{n+1}=a_{n}+f(n) }[/math][편집 | 원본 편집]

계차수열의 일반형. 이 수열의 일반형은 [math]\displaystyle{ a_{n}=a_{1}+\sum_{k=1}^{n-1}f(k) }[/math]

[math]\displaystyle{ a_{n+1}=f(n)a_{n} }[/math][편집 | 원본 편집]

  1. 계비수열
    • [math]\displaystyle{ \frac{a_{n+1}}{a_{n}}=f(n) }[/math], [math]\displaystyle{ \frac{a_{n}}{a_{n-1}}\cdot\frac{a_{n-1}}{a_{n-2}}\cdots\frac{a_{3}}{a_{2}}\cdot\frac{a_{2}}{a_{1}}=\frac{a_{n}}{a_{1}}=f(n-1)\cdot f(n-2)\cdots f(2)\cdot f(1) }[/math], [math]\displaystyle{ a_{n}=f(n-1)\cdot f(n-2)\cdots f(2)\cdot f(1)\cdot a_{1} }[/math]
  2. 로그
    • [math]\displaystyle{ \log a_{n+1}=\log a_{n}+\log f(n) }[/math]
    • [math]\displaystyle{ b_{n}=\log a_{n} }[/math]라고 하면 [math]\displaystyle{ a_{n+1}=a_{n}+f(n) }[/math]꼴로 바뀐다.

[math]\displaystyle{ a_{n+1}=pa_{n}+q(p \ne 0)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left( a_{n+1}-\alpha\right)=p\left( a_{n}-\alpha\right) }[/math], [math]\displaystyle{ \alpha =\frac{q}{1-p} }[/math]

[math]\displaystyle{ b_{n}=a_{n}-\alpha }[/math]라고 하면 [math]\displaystyle{ \left\{ b_{n}\right\} }[/math]은 등비수열이 된다.

[math]\displaystyle{ p a_{n+1}+q a_{n}+r=0(p, q\ne 0)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a_{n+1}=-\frac{q}{p} a_{n}-\frac{r}{p} }[/math]

이렇게 하면, [math]\displaystyle{ a_{n+1}=p a_{n}+q=0(p\ne 0) }[/math]꼴이 된다.

[math]\displaystyle{ p a_{n+2}+q a_{n+1}+r a_{n}=0(p, q, r \ne 0) }[/math][편집 | 원본 편집]

  1. [math]\displaystyle{ p+q+r=0 }[/math]
  2. [math]\displaystyle{ p+q+r \ne 0 }[/math]

[math]\displaystyle{ \begin{cases} a_{n+1}=p a_{n}+q b_{n} \\ b_{n+1}=q a_{n}+p b_{n} \end{cases}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a_{n+1}=p a_{n}+f(n)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a_{n+1}=p\left(a_{n}\right)^q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a_{n+1}=\frac{r a_{n}}{p a_{n}+q}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a_{n+1}=\frac{r a_{n}+s}{p a_{n}+q}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p a_{n} a_{n+1}=q a_{n}-r a_{n+1}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n+1) a_{n}=n a_{n+1}+p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p a_{n+2}+q a_{n+1}+r a_{n}=s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a_{n}+a_{n+1}=f(n)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a_{n}+a_{n+1}+a_{n+2}=f(n) }[/math][편집 | 원본 편집]

급수[편집 | 원본 편집]

수열 [math]\displaystyle{ \left \{ a_{n} \right \} }[/math]의 첫째항부터 제[math]\displaystyle{ n }[/math]항까지의 합을 기호 [math]\displaystyle{ \sum }[/math]을 사용하여
[math]\displaystyle{ a_{1}+a_{2}+a_{3}+\cdots+a_{n}=\sum_{k=1}^{n}a_{k} }[/math]이라고 표현합니다.

급수의 성질[편집 | 원본 편집]

두 수열 [math]\displaystyle{ \left \{ a_{n} \right \},\left \{ b_{n} \right \}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sum_{k=1}^{n}\left ( a_{k}+b_{k} \right )=\\ \left ( a_1+b_1 \right )+\left ( a_2+b_2 \right )+\left ( a_3+b_3 \right )+\cdots+\left ( a_n+b_n \right )=\\ \left ( a_1+a_2+a_3+\cdots+a_n \right )+\left ( b_1+b_2+b_3+\cdots+b_n \right )=\\ =\sum_{k=1}^{n}a_k+\sum_{k=1}^{n}b_k }[/math]
또 상수 c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sum_{k=1}^{n}ca_k=ca_1+ca_2+ca_3+\cdots+ca_n\\ =c\left ( a_1+a_2+a_3+\cdots+a_n \right )\\ =c\sum_{k=1}^{n}a_k }[/math]

여러 가지 급수[편집 | 원본 편집]

이하 내용은 거듭제곱의 합 문서를 참조하세요.

[math]\displaystyle{ \sum_{k=1}^{n}k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sum_{k=1}^{n}k=1+2+3+\cdots+n=\frac{n\left ( n+1 \right )}{2} }[/math]
이건 위 공식에서 그냥 첫째항과 공차에 각각 1 대입하면 나옵니다.

[math]\displaystyle{ \sum_{k=1}^{n}k^2 }[/math][편집 | 원본 편집]

항등식 [math]\displaystyle{ \left ( x+1 \right )^{3}-{x}^{3}=3{x}^{2}+3x+1 }[/math][math]\displaystyle{ x }[/math]
[math]\displaystyle{ 1,2,3,\cdots,n }[/math]을 차례로 대입해 봅시다.
[math]\displaystyle{ \begin{cases} & x=1,2^3-1^3=3\times 1^2+3\times 1+1\\ & x=2,3^3-2^3=3\times 2^2+3\times 2+1 \\ & x=3,4^3-3^3=3\times 3^2+3\times 3+1 \\ & \vdots\\ & x=n,\left ( n+1 \right )^3-n^3=3\times n^2+3\times n+1 \end{cases} }[/math]
싸그리 더하면.
[math]\displaystyle{ \require{cancel} \begin{cases} & x=1,\bcancel{2^3}-1^3=3\times 1^2+3\times 1+1\\ & x=2,\bcancel{3^3}\bcancel{-2^3}=3\times 2^2+3\times 2+1 \\ & x=3,\bcancel{4^3}\bcancel{-3^3}=3\times 3^2+3\times 3+1 \\ & \vdots\\ & x=n,\left ( n+1 \right )^3\bcancel{-n^3}=3\times n^2+3\times n+1 \end{cases} }[/math]
[math]\displaystyle{ \left ( n+1 \right )^{3}-1^3=3\sum_{k=1}^{n}k^2+3\sum_{k=1}^{n}+3\sum_{k=1}^{n}1 }[/math]
그런데 [math]\displaystyle{ \sum_{k=1}^{n}=\frac{n\left ( n+1 \right )}{2},\sum_{k=1}^{n}1=n }[/math]
따라서.
[math]\displaystyle{ \left ( n+1 \right )^3-1^3=3\sum_{k=1}^{n}k^2+3\times \frac{n\left ( n+1 \right )}{2}+n }[/math]
[math]\displaystyle{ 3\sum_{k=1}^{n}k^2=\left ( n+1 \right )^3-\frac{3n\left ( n+1 \right )}{2}-\left ( n+1 \right )=\frac{n\left ( n+1 \right )\left ( 2n+1 \right )}{6} }[/math] 입니다.

수열의 극한[편집 | 원본 편집]

수열의 원소가 n이 커짐에 따라 특정한 값에 다가갈 때, 이 수열은 수렴한다고 한다. 수렴하지 않는 수열은 n이 커짐에 따라 발산한다고 한다.

항의 숫자가 무한히 커질 때, 수열의 값이 어떻게 되는가를 구하면 된다.

무한급수[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lim_{n \to \infty }\sum_{k=1}^{n}a_k }[/math]또는 [math]\displaystyle{ \sum_{k=1}^{\infty }a_k }[/math]라고 표기합니다.

무한급수의 수렴(발산) 판정법[편집 | 원본 편집]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판정법만을 다룹니다. 자세한 내용은 수렴(발산) 판정법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발산 판정법[편집 | 원본 편집]

수열이 발산하는지만을 판정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렴한다고 판정하지는 못합니다.

[math]\displaystyle{ \lim_{n \to \infty }\sum_{k=1}^{n}a_k=S }[/math]가 성립한다고 하면, [math]\displaystyle{ \lim_{n \to \infty }\sum_{k=1}^{n-1}a_k=S }[/math]도 성립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math]\displaystyle{ \lim_{n \to \infty }\sum_{k=1}^{n}a_k-\lim_{n \to \infty }\sum_{k=1}^{n-1}a_k=\lim_{n \to \infty}a_n=0 }[/math]이 됩니다. 즉, 무한급수가 수렴한다면, 수열은 0으로 수렴합니다. 이 명제의 대우명제 또한 참이 되므로, 수열이 0으로 수렴하지 않는다면 무한급수의 합은 발산합니다.

비교 판정법[편집 | 원본 편집]

이미 수렴여부가 알려진 무한급수 [math]\displaystyle{ \sum_{k=1}^{\infty }b_k }[/math]를 이용해 수렴여부를 판별합니다.

[math]\displaystyle{ 0\le a_{n}\le b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k=1}^{\infty }b_k }[/math]이 수렴하면 [math]\displaystyle{ \sum_{k=1}^{\infty }a_k }[/math]도 수렴합니다. 또한, [math]\displaystyle{ 0\le b_{n}\le a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k=1}^{\infty }b_k }[/math]이 발산하면 [math]\displaystyle{ \sum_{k=1}^{\infty }a_k }[/math]도 발산합니다.

여러 가지 수열의 무한급수[편집 | 원본 편집]

무한등비급수[편집 | 원본 편집]

초항이 a이고 공비 r이 [math]\displaystyle{ \left | r \right |\lt 1 }[/math]인 등비수열의 무한급수를 구해 봅시다.
자,초항이 a이고 공비가 r[5]인 등비수열 [math]\displaystyle{ \left \{ a_n \right \} }[/math]의 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math]\displaystyle{ \huge \frac{a\left ( 1-{r}^{n} \right )}{1-r} }[/math]
[math]\displaystyle{ \lim_{n \to \infty }{r}^{n}=0 }[/math]
따라서 [math]\displaystyle{ \huge \lim_{n \to \infty }\frac{a\left ( 1-{r}^{n} \right )}{1-r}=\frac{a}{1-r} }[/math]

무한등비급수를 이용하여 0.99…=1임을 증명해 봅시다.[편집 | 원본 편집]

우선 0.99...는 초항이 0.9이고 공비가 0.1인 무한등비급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로 위 식에 대입합니다.
[math]\displaystyle{ \frac{0.9}{1-0.1}=\frac{9}{10-1}=\frac{9}{9}=1 }[/math] 어때요,참 쉽죠?

각주

  1. 가끔 이렇게 수열을 구하는 게 불을 붙인 게 번져나가는 것 같다 해서 점화(點火)식이라고 알고 있기도 하는데, 한자 자체가 점화식(漸化式)과는 다르다!
  2. 이렇게 공차가 0이면 모든 항이 같은 수이기 때문에 상수수열이라고도 부른다.
  3. 암산이라거나 10초만이라는 이야기는 과장되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정말로 빠른 시간안에 풀어냈다는 건 확실한 사실. 정확히 이 이야기를 알고 있다면 수정바람.
  4. 홀수항은 모두 1이고 짝수항은 모두 -1이다. 이런 수열을 보고 '진동한다'라고 하기도 한다.
  5. [math]\displaystyle{ \left | r \right |\lt 1 }[/m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