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저계급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수저계급론'''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 지위에 따라 삶의 질이 다르다는 것을 풍자하는 일종의 담론이다. 경제적 지위를 수저의 '''재료'''에 빗대어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수저계급론'''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 지위에 따라 삶의 질이 다르다는 것을 풍자하는 일종의 담론이다. 경제적 지위를 수저의 '''재료'''에 빗대어 묘사하는 것이 특징.
== 나타난 배경 ==
대한민국에서 외환위기 이후 계층간 이동이 약해지고 경제적 양극화가 강화되면서 등장하게 된 말로 2015년 경부터 금수저, 은수저, 동수저, 흙수저, 똥수저 등의 단어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 나타난 배경 ==
흔히들 [[디시인사이드]]에서 먼저 퍼진 용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서양]]에서 먼저 등장한 용어이다.(은수저 항목을 참고할 것.)
대한민국에서 외환위기 이후 계층간 이동이 약해지고 경제적 양극화가 강화되면서 등장하게 된 말로 2015년 경부터 금수저, 은수저, 흙수저 등의 단어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비단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조차 경제대공황을 맞이한 탓에 계층간 이동이 약해지고 경제적 양극화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지구상에서조차 수저계급론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 수저계급론의 계층 ==
== 수저계급론의 계층 ==
=== 금수저 ===
=== 금수저 ===
{{넘겨주기 있음|금수저}}
{{넘겨주기 있음|금수저}}
{{문서 가져옴|금수저}}
{{문서 가져옴|금수저}}
수저계급론에서 보통 가장 높은 계급을 지칭하는 말이다. 흔히 자산이 최소 수십억 있고 연봉이 억 이상의 갑부계층을 설명할 때 사용한다. 바로 아래의 서민층을 상징하는 흙수저와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저계급론에서 보통 가장 높은 계급을 지칭하는 말이다. 흔히 자산이 최소 수십 억 있고 연봉이 억 이상을 넘기는 부자 계층을 설명할 때 사용한다. 바로 아래의 서민층을 상징하는 흙수저와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은수저 ===
=== 은수저 ===
18번째 줄: 21번째 줄:


=== 동수저 ===
=== 동수저 ===
은수저 아래에 해당하는 비교적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계급을 의미한다.  
은수저 다음에 해당하는 비교적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계급을 의미한다. 상류층으로 보기는 힘들지만 그래도 생활이 넉넉한 중산층으로 본다.


=== 흙수저 ===
=== 흙수저 ===
서민층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보통 금수저와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수저계급론에서는 흙수저의 비참한 삶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서민층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보통 금수저와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수저계급론에서는 흙수저의 비참한 삶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 똥수저 ===
수저계급론에서 보통 가장 낮은 계급을 지칭하는 말이다. 빈자 계층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흙수저보다도 못한 하류층으로, 보통 [[기초생활수급자]]가 여기에 해당한다.


=== 그 외의 계급 ===
=== 그 외의 계급 ===

2016년 8월 7일 (일) 20:43 판

수저계급론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 지위에 따라 삶의 질이 다르다는 것을 풍자하는 일종의 담론이다. 경제적 지위를 수저의 재료에 빗대어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나타난 배경

대한민국에서 외환위기 이후 계층간 이동이 약해지고 경제적 양극화가 강화되면서 등장하게 된 말로 2015년 경부터 금수저, 은수저, 동수저, 흙수저, 똥수저 등의 단어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흔히들 디시인사이드에서 먼저 퍼진 용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서양에서 먼저 등장한 용어이다.(은수저 항목을 참고할 것.)

비단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조차 경제대공황을 맞이한 탓에 계층간 이동이 약해지고 경제적 양극화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지구상에서조차 수저계급론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수저계급론의 계층

금수저

틀:넘겨주기 있음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금수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수저계급론에서 보통 가장 높은 계급을 지칭하는 말이다. 흔히 자산이 최소 수십 억 있고 연봉이 억 이상을 넘기는 부자 계층을 설명할 때 사용한다. 바로 아래의 서민층을 상징하는 흙수저와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은수저

수저계급론에서는 금수저 다음의 높은 계층을 말할 때 쓴다. 역시 상류층을 의미한다.

참고로 원래 서양에서 은수저를 물고 태어난다는 표현이 있으니 어찌 보면 수저계급론이라는 말을 탄생하게 한 원인이다.

동수저

은수저 다음에 해당하는 비교적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계급을 의미한다. 상류층으로 보기는 힘들지만 그래도 생활이 넉넉한 중산층으로 본다.

흙수저

서민층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보통 금수저와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수저계급론에서는 흙수저의 비참한 삶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똥수저

수저계급론에서 보통 가장 낮은 계급을 지칭하는 말이다. 빈자 계층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흙수저보다도 못한 하류층으로, 보통 기초생활수급자가 여기에 해당한다.

그 외의 계급

수저계급론에 대한 비판

수저계급론의 문제는 경제적 지위가 성취할 수 있다는 기본적 사실을 간과하는 데에 있다. 또한 단순히 경제적 지위와 사회적 지위를 일치시키는 오류를 범한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관련 문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