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함수의 덧셈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학술}}"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어느정도" 문자열을 "어느 정도" 문자열로)
59번째 줄: 59번째 줄:


== 삼각함수의 합차공식 ==
== 삼각함수의 합차공식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서 유도되는 공식들. {{ㅊ|으아아아 제발 그만}} 다 외워도 상관은 없지만 유도 방법을 안 뒤, 필요할 때마다 유도하는 것이 좋다. 사실 덧셈정리와 어느정도 유사성이 있기 때문에 통째로 외우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서 유도되는 공식들. {{ㅊ|으아아아 제발 그만}} 다 외워도 상관은 없지만 유도 방법을 안 뒤, 필요할 때마다 유도하는 것이 좋다. 사실 덧셈정리와 어느 정도 유사성이 있기 때문에 통째로 외우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다.


증명의 편의를 위해 덧셈정리에 번호를 매기도록 하겠다.
증명의 편의를 위해 덧셈정리에 번호를 매기도록 하겠다.
145번째 줄: 145번째 줄:
{{ㅊ|그런거 없다}}
{{ㅊ|그런거 없다}}


사실 모든 공식을 외우는 것 보다는 모든 공식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하지만 제한된 시간 안에 문제를 풀어야 하는 학교 시험같은 곳에서는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유도할 수 없는 노릇이니 어느정도 암기가 필요하다. 아래는 위 수많은 공식의 암기 방법 중 하나. 만약 아래 방법이 자신에게 맞지 않는다면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보자.
사실 모든 공식을 외우는 것 보다는 모든 공식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하지만 제한된 시간 안에 문제를 풀어야 하는 학교 시험같은 곳에서는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유도할 수 없는 노릇이니 어느 정도 암기가 필요하다. 아래는 위 수많은 공식의 암기 방법 중 하나. 만약 아래 방법이 자신에게 맞지 않는다면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보자.
*덧셈 정리: 기본 중의 기본. 덧셈 정리를 못 외우면 유도되는 공식들을 전부 못 외운다 봐도 무방하다. 외울 때는 '''사코코사''', '''코코마사사''', '''일마타타타플타'''으로 외우는 방법이 있다. 보면 알겠지만, 사는 사인, 코는 코사인, 타는 탄젠트, 마는 마이너스, 플은 플러스를 뜻한다.
*덧셈 정리: 기본 중의 기본. 덧셈 정리를 못 외우면 유도되는 공식들을 전부 못 외운다 봐도 무방하다. 외울 때는 '''사코코사''', '''코코마사사''', '''일마타타타플타'''으로 외우는 방법이 있다. 보면 알겠지만, 사는 사인, 코는 코사인, 타는 탄젠트, 마는 마이너스, 플은 플러스를 뜻한다.
*배각 공식: 사인은 '''두사코''', 코사인은 '''코제마사제'''로 바꾸면 된다. 여기서 제는 당연히 제곱을 뜻한다. 코사인의 배각 공식의 경우는 총 세 가지가 있는데, "코제마사제"에서 아주 간단하게 유도되니 따로 외워 줄 필요는 없다. 만약 외우고 싶다면, 사인은 마이너스와, 코사인은 플러스와 연관되어 있다고만 생각해주자.<ref><math>\cos2\theta=1-2\sin^2\theta</math>에서 사인 제곱의 부호는 마이너스이므로 마이너스와 연관되어 있다고 말한 것이다. 코사인도 동일.</ref>
*배각 공식: 사인은 '''두사코''', 코사인은 '''코제마사제'''로 바꾸면 된다. 여기서 제는 당연히 제곱을 뜻한다. 코사인의 배각 공식의 경우는 총 세 가지가 있는데, "코제마사제"에서 아주 간단하게 유도되니 따로 외워 줄 필요는 없다. 만약 외우고 싶다면, 사인은 마이너스와, 코사인은 플러스와 연관되어 있다고만 생각해주자.<ref><math>\cos2\theta=1-2\sin^2\theta</math>에서 사인 제곱의 부호는 마이너스이므로 마이너스와 연관되어 있다고 말한 것이다. 코사인도 동일.</ref>

2018년 1월 8일 (월) 12:17 판


개요

[math]\displaystyle{ \sin75^\circ }[/math]의 값은 뭘까? 만약 삼각함수가 선형 함수라면 [math]\displaystyle{ \sin75^\circ=\sin45^\circ+\sin30^\circ=\frac{\sqrt2}{2}+\frac{1}{2}=\frac{1+\sqrt{2}}{2} }[/math]일 것이다. 하지만 실제 값은 [math]\displaystyle{ \frac{\sqrt{6}+\sqrt{2}}{4} }[/math]로, 좀 많이 다르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는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 만들어진 공식으로, 안그래도 많고 복잡한 삼각함수의 공식을 두 배로 불려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덧셈정리

전부 복부호동순이다.

  • [math]\displaystyle{ \sin\left(\alpha\pm\beta\right)=\sin\alpha\cos\beta\pm\cos\alpha\sin\beta }[/math]
  • [math]\displaystyle{ \cos\left(\alpha\pm\beta\right)=\cos\alpha\cos\beta\mp\sin\alpha\sin\beta }[/math]
  • [math]\displaystyle{ \tan\left(\alpha\pm\beta\right)=\frac{\tan\alpha\pm\tan\beta}{1\mp\tan\alpha\tan\beta} }[/math]

증명

여러가지 증명 방법이 있지만 벡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일반각에 대해 증명이 가능하기 때문.


두 벡터 [math]\displaystyle{ \vec{OB}, \vec{OC} }[/math]의 내적을 구하면, [math]\displaystyle{ \vec{OC}\cdot\vec{OB}=\left|\vec{OC}\right|\cdot\left|\vec{OB}\right|\cos\left(\angle COB\right)=1\cdot1\cdot\cos\left(\alpha-\beta\right) }[/math]. 한편 두 벡터의 내적을 성분으로 나타내면, [math]\displaystyle{ \vec{OC}\cdot\vec{OB}=\left(\cos\alpha, \sin\alpha\right)\cdot\left(\cos\beta, \sin\beta\right)=\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math]. 따라서 [math]\displaystyle{ \cos\left(\alpha-\beta\right)=\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math].


벡터를 모르더라도 단위원과 코사인 법칙을 사용하여 증명이 가능하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증명.png

단위원의 중심을 O, 양의 x축을 시초선으로하고 각의 크기가 각각 [math]\displaystyle{ \beta, \alpha }[/math]인 동경이 단위원과 만나는 점을 각각 [math]\displaystyle{ B, C }[/math]라고 하자 (즉, [math]\displaystyle{ \angle AOB=\beta, \angle AOC=\alpha }[/math]). 그럼 두 점의 좌표는 [math]\displaystyle{ B\left(\cos\beta, \sin\beta\right), C\left(\cos\alpha, \sin\alpha\right) }[/math]이다.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공식으로 부터, [math]\displaystyle{ \overline{BC}^2=\left(\cos\beta-\cos\alpha\right)^2+\left(\sin\beta-\sin\alpha\right)^2=\left(\cos^2\alpha+\sin^2\alpha\right)+\left(\cos^2\beta+\sin^2\beta\right)-2\left(\cos\beta\cos\alpha+\sin\beta\sin\alpha\right)= }[/math]
[math]\displaystyle{ 2-\left(\cos\beta\cos\alpha+\sin\beta\sin\alpha\right) }[/math]. 한편, 코사인법칙으로부터, [math]\displaystyle{ \overline{BC}^2=1^2+1^2-2\cdot1\cdot1\cdot\cos\left(\alpha-\beta\right) }[/math]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cos\left(\alpha-\beta\right)=\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math].


위 두 증명에서는 공통적으로 코사인에 대한 덧셈정리만을 증명했는데, 나머지 부분의 증명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cos\left(\alpha-\beta\right)=\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math][math]\displaystyle{ \beta }[/math][math]\displaystyle{ -\beta }[/math]를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cos\left(\alpha+\beta\right)=\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math].

한편, [math]\displaystyle{ \sin\left(\alpha+\beta\right)=\cos\left(\frac{\pi}{2}-\left(\alpha+\beta\right)\right)=\cos\left(\left(\frac{\pi}{2}-\alpha\right)-\beta\right)= }[/math]
[math]\displaystyle{ \cos\left(\frac{\pi}{2}-\alpha\right)\cos\beta+\sin\left(\frac{\pi}{2}-\alpha\right)\sin\beta=\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math]. 여기서 [math]\displaystyle{ \beta }[/math][math]\displaystyle{ -\beta }[/math]를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sin\left(\alpha-\beta\right)=\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math].

마지막으로, [math]\displaystyle{ \tan\left(\alpha+\beta\right)=\frac{\sin\left(\alpha+\beta\right)}{\cos\left(\alpha+\beta\right)}=\frac{\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math]. 여기서 분자, 분모를 [math]\displaystyle{ \cos\alpha\cos\beta }[/math]로 나누면 [math]\displaystyle{ \tan\left(\alpha+\beta\right)=\frac{\tan\alpha+\tan\beta}{1-\tan\alpha\tan\beta} }[/math]. 여기서 [math]\displaystyle{ \beta }[/math][math]\displaystyle{ -\beta }[/math]를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tan\left(\alpha-\beta\right)=\frac{\tan\alpha-\tan\beta}{1+\tan\alpha\tan\beta} }[/math].

삼각함수의 합성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응용해서 [math]\displaystyle{ a\sin\theta+b\cos\theta }[/math]형태로 나타난 삼각함수를 아래와 같이 하나로 합칠 수 있다.

  1. [math]\displaystyle{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left(\theta+\alpha\right),\, \left(\cos\alpha=\frac{a}{\sqrt{a^2+b^2}},\sin\alpha=\frac{b}{\sqrt{a^2+b^2}}\right) }[/math]
  2. [math]\displaystyle{ a\sin\theta+b\cos\theta=\sqrt{a^2+b^2}\cos\left(\theta-\beta\right), \, \left(\cos\beta=\frac{b}{\sqrt{a^2+b^2}}, \sin\beta=\frac{a}{\sqrt{a^2+b^2}}\right) }[/math]
  3. 최댓값: [math]\displaystyle{ \sqrt{a^2+b^2} }[/math], 최솟값: [math]\displaystyle{ -\sqrt{a^2+b^2} }[/math], 주기: [math]\displaystyle{ 2\pi }[/math]

증명은 그림을 그려서 각 [math]\displaystyle{ \alpha }[/math][math]\displaystyle{ \beta }[/math]를 찾아서 합성하거나, 아니면 우변에 있는 합성된 삼각함수를 덧셈정리로 풀어서 정리하면 된다.

배각, 반각 공식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서 두 각을 같게 놔두면 2배각의 공식을 만들 수 있다.

  1. [math]\displaystyle{ \sin 2\alpha=2\sin\alpha\cos\alpha }[/math]
  2. [math]\displaystyle{ \cos 2\alpha=\cos^2\alpha-\sin^2\alpha=2\cos^2\alpha-1=1-2\sin^2\alpha }[/math]
  3. [math]\displaystyle{ \tan 2\alpha=\frac{2\tan\alpha}{1-\tan^2\alpha} }[/math]

특히 코사인의 2배각 공식은 3가지 형태가 있는데, [math]\displaystyle{ \sin^2\alpha+\cos^2\alpha=1 }[/math]를 이용해서 변형한 것이다.

덧셈정리에서 두각을 [math]\displaystyle{ \alpha, 2\alpha }[/math]로 놔두면 3배각의 공식을 만들 수 있다.

  1. [math]\displaystyle{ \sin 3\alpha=3\sin\alpha-4\sin^3\alpha }[/math]
  2. [math]\displaystyle{ \cos 3\alpha=4\cos^3\alpha-3\cos\alpha }[/math]

증명은 덧셈정리를 이용해서 쭉 풀어나가면 된다.

또한, 코사인의 2배각 공식에서 반각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math]\displaystyle{ \alpha }[/math]대신 [math]\displaystyle{ \alpha/2 }[/math]를 대입하면 된다.

  1. [math]\displaystyle{ \sin^2\frac{\alpha}{2}=\frac{1-\cos\alpha}{2} }[/math]
  2. [math]\displaystyle{ \cos^2\frac{\alpha}{2}=\frac{1+\cos\alpha}{2} }[/math]
  3. [math]\displaystyle{ \tan^2\frac{\alpha}{2}=\frac{1-\cos\alpha}{1+\cos\alpha} }[/math]

삼각함수의 합차공식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서 유도되는 공식들. 으아아아 제발 그만 다 외워도 상관은 없지만 유도 방법을 안 뒤, 필요할 때마다 유도하는 것이 좋다. 사실 덧셈정리와 어느 정도 유사성이 있기 때문에 통째로 외우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다.

증명의 편의를 위해 덧셈정리에 번호를 매기도록 하겠다.

  1. [math]\displaystyle{ \sin\left(\alpha+\beta\right)=\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math]
  2. [math]\displaystyle{ \sin\left(\alpha-\beta\right)=\sin\alpha\cos\beta-\cos\alpha\sin\beta }[/math]
  3. [math]\displaystyle{ \cos\left(\alpha+\beta\right)=\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math]
  4. [math]\displaystyle{ \cos\left(\alpha-\beta\right)=\cos\alpha\cos\beta+\sin\alpha\sin\beta }[/math]

곱을 합차로 바꾸는 공식

1번식과 2번식을 더한뒤 2로 나누면, [math]\displaystyle{ \sin\alpha\cos\beta=\frac{1}{2}\left(\sin\left(\alpha+\beta\right)+\sin\left(\alpha-\beta\right)\right) }[/math].

1번식에서 2번식을 뺀뒤 2로 나누면, [math]\displaystyle{ \cos\alpha\sin\beta=\frac{1}{2}\left(\sin\left(\alpha+\beta\right)-\sin\left(\alpha-\beta\right)\right) }[/math].

3번식과 4번식을 더한뒤 2로 나누면, [math]\displaystyle{ \cos\alpha\cos\beta=\frac{1}{2}\left(\cos\left(\alpha+\beta\right)+\cos\left(\alpha-\beta\right)\right) }[/math].

3번식에서 4번식을 뺀뒤 2로 나누면, [math]\displaystyle{ \sin\alpha\sin\beta=-\frac{1}{2}\left(\cos\left(\alpha+\beta\right)-\cos\left(\alpha-\beta\right)\right) }[/math].

합차를 곱으로 바꾸는 공식

바로 윗문단의 공식에서 유도되는 또 다른 공식. [math]\displaystyle{ \alpha+\beta=A, \alpha-\beta=B }[/math]로 치환한뒤 [math]\displaystyle{ \alpha, \beta }[/math]에 관해서 풀면, [math]\displaystyle{ \alpha=\frac{A+B}{2}, \beta=\frac{A-B}{2} }[/math]이고, 이 값을 식에 대입한 뒤 좌변과 우변을 바꾸면 아래 공식을 얻는다.

  1. [math]\displaystyle{ \sin A+\sin B=2\sin\frac{A+B}{2}\cos\frac{A-B}{2} }[/math]
  2. [math]\displaystyle{ \sin A-\sin B=2\cos\frac{A+B}{2}\sin\frac{A-B}{2} }[/math]
  3. [math]\displaystyle{ \cos A+\cos B=2\cos\frac{A+B}{2}\cos\frac{A-B}{2} }[/math]
  4. [math]\displaystyle{ \cos A-\cos B=-2\sin\frac{A+B}{2}\sin\frac{A-B}{2} }[/math]

정리

덧셈정리에서 유도되는 수많은 공식들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분류 공식
덧셈정리 [math]\displaystyle{ \sin\left(\alpha\pm\beta\right)=\sin\alpha\cos\beta\pm\cos\alpha\sin\beta }[/math]
[math]\displaystyle{ \cos\left(\alpha\pm\beta\right)=\cos\alpha\cos\beta\mp\sin\alpha\sin\beta }[/math]
[math]\displaystyle{ \tan\left(\alpha\pm\beta\right)=\frac{\tan\alpha\pm\tan\beta}{1\mp\tan\alpha\tan\beta} }[/math]
합성 [math]\displaystyle{ \sin\theta+b\cos\theta=\sqrt{a^2+b^2}\sin\left(\theta+\alpha\right),\, \left(\cos\alpha=\frac{a}{\sqrt{a^2+b^2}},\sin\alpha=\frac{b}{\sqrt{a^2+b^2}}\right) }[/math]
[math]\displaystyle{ \sin\theta+b\cos\theta=\sqrt{a^2+b^2}\cos\left(\theta-\beta\right), \, \left(\cos\beta=\frac{b}{\sqrt{a^2+b^2}}, \sin\beta=\frac{a}{\sqrt{a^2+b^2}}\right) }[/math]
2배각 [math]\displaystyle{ \sin 2\alpha=2\sin\alpha\cos\alpha }[/math]
[math]\displaystyle{ \cos 2\alpha=\cos^2\alpha-\sin^2\alpha=2\cos^2\alpha-1=1-2\sin^2\alpha }[/math]
[math]\displaystyle{ \tan 2\alpha=\frac{2\tan\alpha}{1-\tan^2\alpha} }[/math]
3배각 [math]\displaystyle{ \sin 3\alpha=3\sin\alpha-4\sin^3\alpha }[/math]
[math]\displaystyle{ \cos 3\alpha=4\cos^3\alpha-3\cos\alpha }[/math]
반각 [math]\displaystyle{ \sin^2\frac{\alpha}{2}=\frac{1-\cos\alpha}{2} }[/math]
[math]\displaystyle{ \cos^2\frac{\alpha}{2}=\frac{1+\cos\alpha}{2} }[/math]
[math]\displaystyle{ \tan^2\frac{\alpha}{2}=\frac{1-\cos\alpha}{1+\cos\alpha} }[/math]
곱을 합차로 [math]\displaystyle{ \sin\alpha\cos\beta=\frac{1}{2}\left(\sin\left(\alpha+\beta\right)+\sin\left(\alpha-\beta\right)\right) }[/math]
[math]\displaystyle{ \cos\alpha\sin\beta=\frac{1}{2}\left(\sin\left(\alpha+\beta\right)-\sin\left(\alpha-\beta\right)\right) }[/math]
[math]\displaystyle{ \cos\alpha\cos\beta=\frac{1}{2}\left(\cos\left(\alpha+\beta\right)+\cos\left(\alpha-\beta\right)\right) }[/math]
[math]\displaystyle{ \sin\alpha\sin\beta=-\frac{1}{2}\left(\cos\left(\alpha+\beta\right)-\cos\left(\alpha-\beta\right)\right) }[/math]
합차를 곱으로 [math]\displaystyle{ \sin A+\sin B=2\sin\frac{A+B}{2}\cos\frac{A-B}{2} }[/math]
[math]\displaystyle{ \sin A-\sin B=2\cos\frac{A+B}{2}\sin\frac{A-B}{2} }[/math]
[math]\displaystyle{ \cos A+\cos B=2\cos\frac{A+B}{2}\cos\frac{A-B}{2} }[/math]
[math]\displaystyle{ \cos A-\cos B=-2\sin\frac{A+B}{2}\sin\frac{A-B}{2} }[/math]

뭐가 이렇게 많아

외우는 요령

그런거 없다

사실 모든 공식을 외우는 것 보다는 모든 공식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하지만 제한된 시간 안에 문제를 풀어야 하는 학교 시험같은 곳에서는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유도할 수 없는 노릇이니 어느 정도 암기가 필요하다. 아래는 위 수많은 공식의 암기 방법 중 하나. 만약 아래 방법이 자신에게 맞지 않는다면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보자.

  • 덧셈 정리: 기본 중의 기본. 덧셈 정리를 못 외우면 유도되는 공식들을 전부 못 외운다 봐도 무방하다. 외울 때는 사코코사, 코코마사사, 일마타타타플타으로 외우는 방법이 있다. 보면 알겠지만, 사는 사인, 코는 코사인, 타는 탄젠트, 마는 마이너스, 플은 플러스를 뜻한다.
  • 배각 공식: 사인은 두사코, 코사인은 코제마사제로 바꾸면 된다. 여기서 제는 당연히 제곱을 뜻한다. 코사인의 배각 공식의 경우는 총 세 가지가 있는데, "코제마사제"에서 아주 간단하게 유도되니 따로 외워 줄 필요는 없다. 만약 외우고 싶다면, 사인은 마이너스와, 코사인은 플러스와 연관되어 있다고만 생각해주자.[1]
  • 3배각 공식: 사인은 343, 코사인은 433. 뭔소린가 하면, 4 뒤의 3은 세제곱을, 나머지 숫자는 계수를 말한다. 여기서도 사인은 마이너스와, 코사인은 플러스와 연관되어 있다.[2]
  • 반각 공식: 간단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 부호가 헷갈린다면 사인은 마이너스, 코사인은 플러스와 관련있다고 생각해주자.
  • 곱을 합차로: 믿기 힘들겠지만, 공식 4개를 통째로 외우는 것이 쉽다. 등호 좌변을 읽어 보면 사코코사코코사사인데, 이는 덧셈 정리의 그것과 형태가 같다. 등호 우변은 사사사사코코코코라 외우기 더 쉽다. 중간의 부호는 플마플마, 계수는 1/2. 마지막 줄은 마이너스를 앞에 곱해야 하는데, 좌변의 코코마사사에서 마가 오른쪽으로 옮겨 갔다 생각하자. 각도는 합차 공식이므로 합차가 번갈아 나온다고 생각하자.
  • 합차를 곱으로: 이것 역시 공식 4개를 통째로 외우는 것이 쉽다. 등호 좌변은 사사사사코코코코, 우변은 사코코사코코사사, 좌변의 중간 부호는 플마플마, 우변의 계수는 2. 마지막 줄 역시 마이너스를 앞에 곱해야 하는데, 이 역시 코코마사사에서 마가 옮겨 갔다 생각하면 된다. 각도의 경우는 합차가 번갈아 나오는데, 절반으로 나눠줘야 한다. 식 앞에 계수 2가 있기 때문에 절반으로 나눈다 생각하면 된다.
  • 합성: 그냥 유도하자. 시험에 잘 안나온다.

관련 항목

각주

  1. [math]\displaystyle{ \cos2\theta=1-2\sin^2\theta }[/math]에서 사인 제곱의 부호는 마이너스이므로 마이너스와 연관되어 있다고 말한 것이다. 코사인도 동일.
  2. [math]\displaystyle{ \sin3\theta=3\sin\theta-4\sin^3\theta }[/math]에서 사인 세제곱의 부호는 마이너스라 사인이 마이너스와 연관되어 있따는 소리. 코사인도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