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스 코리안 파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9번째 줄:
== 평가 ==
== 평가 ==
=== 부정적 평가 ===
=== 부정적 평가 ===
[[사우스 파크]]의 한국판을 표방 한다고는 하나 풍자 대상을 허수아비로만 새워놓고 비난과 1차원적인 공격만 늘어놓는 작위적이고 단순무식한 짧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치 성향이 한쪽으로 취우쳐졌다고 평가 받는다. 그래서인지 초반의 사우스 코리안 파크는 사우스 파크의 모두까기보다는 이중잣대스러운 모습이 더 부각되었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었다.
[[사우스 파크]]의 한국판을 표방한다고는 하나 풍자 대상을 허수아비로만 새워놓고 비난과 1차원적인 공격만 늘어놓는 작위적이고 단순무식한 짧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치 성향이 한쪽으로 치우쳐졌다고 평가 받았다. 그래서인지 초반의 사우스 코리안 파크는 사우스 파크의 모두까기보다는 이중잣대스러운 모습이 더 부각되었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었다.


또한 영상 내용을 잘 이해하지도 못하는 저연령층 시청자, 소위 말하는 잼민이 시청자들이 많아서 영상에 등장하는 여러 혐오표현들을 그들이 그대로 사용하는 문제점이 생기기도 했다. 이는 원작인 사우스 파크조차도 공유하는 문제점이기에 어느정도 어쩔 수 없는 부분.
또한 영상 내용을 잘 이해하지도 못하는 저연령층 시청자, 소위 말하는 잼민이 시청자들이 많아서 영상에 등장하는 여러 혐오표현들을 그들이 그대로 사용하는 문제점이 생기기도 했다. 이는 원작인 사우스 파크조차도 공유하는 문제점이기에 어느정도 어쩔 수 없는 부분.
17번째 줄: 17번째 줄:


특히 "에어컨", "잼버리", "AI 자동화 시스템"등의 장편 에피소드들은 20분 이상의 매우 긴 분량에 이나 비판 대상을 허수아비로만 묘사하는 것 등등 여러 문제점들이 개선되었으며, 몰입도 높은 스토리와 떡밥 회수 그리고 퀄리티 높은 여러 연출들이 사용되어 "[[애니메이션]]" 자체의 질이 높아졌다.
특히 "에어컨", "잼버리", "AI 자동화 시스템"등의 장편 에피소드들은 20분 이상의 매우 긴 분량에 이나 비판 대상을 허수아비로만 묘사하는 것 등등 여러 문제점들이 개선되었으며, 몰입도 높은 스토리와 떡밥 회수 그리고 퀄리티 높은 여러 연출들이 사용되어 "[[애니메이션]]" 자체의 질이 높아졌다.
페미니즘을 포기한 김미나와 같이 입체적인 캐릭터를 넣어 캐릭터들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캐릭터마다 스토리를 풀어주는 에피소드도 만들며 스토리를 깊이있게 만들었다.


{{각주}}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분류: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2024년 4월 14일 (일) 23:26 판

장삐쭈가 제작하는 사회 풍자 블랙 코미디 애니메이션 시리즈. 미국의 유명한 블랙 코미디 애니메이션인 사우스 파크의 한국판을 표방한다.

등장인물

평가

부정적 평가

사우스 파크의 한국판을 표방한다고는 하나 풍자 대상을 허수아비로만 새워놓고 비난과 1차원적인 공격만 늘어놓는 작위적이고 단순무식한 짧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치 성향이 한쪽으로 치우쳐졌다고 평가 받았다. 그래서인지 초반의 사우스 코리안 파크는 사우스 파크의 모두까기보다는 이중잣대스러운 모습이 더 부각되었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었다.

또한 영상 내용을 잘 이해하지도 못하는 저연령층 시청자, 소위 말하는 잼민이 시청자들이 많아서 영상에 등장하는 여러 혐오표현들을 그들이 그대로 사용하는 문제점이 생기기도 했다. 이는 원작인 사우스 파크조차도 공유하는 문제점이기에 어느정도 어쩔 수 없는 부분.

긍정적 평가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쿨찐같은 면들이 확실히 개선 되었는데, "양파", "학급토론", "떠든 사람" 에피소드처럼 풍자성이 없는 개그에 중시한 에피소드들이 늘어나고 있고, "수연이와 지웅이", "칭찬합시다" 에피소드처럼 다른 에피소드의 연장선과 같이 만들어주는 에피소드들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에어컨", "잼버리", "AI 자동화 시스템"등의 장편 에피소드들은 20분 이상의 매우 긴 분량에 이나 비판 대상을 허수아비로만 묘사하는 것 등등 여러 문제점들이 개선되었으며, 몰입도 높은 스토리와 떡밥 회수 그리고 퀄리티 높은 여러 연출들이 사용되어 "애니메이션" 자체의 질이 높아졌다.

페미니즘을 포기한 김미나와 같이 입체적인 캐릭터를 넣어 캐릭터들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캐릭터마다 스토리를 풀어주는 에피소드도 만들며 스토리를 깊이있게 만들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