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rMT/연습장/0

< 사용자:CrMT‎ | 연습장
CrMT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0월 25일 (화) 18:20 판
No one will drive us from the paradise which Cantor created for us.
— David Hilbert (1926)

선택 공리((the) Axiom of Choice, AC)는 임의의 집합족의 각 집합에서 원소를 하나씩 선택하여 모아 만든 새로운 집합을 구성할 수 있음을 주장하는 공리이다. 수학의 전 분야, 특히 집합론과 해석학에서 그 형식화에 많은 도움을 주는 공리이다. 임의의 집합의 기수의 존재성[1], 임의의 벡터공간기저의 존재성[2] 등 여러 분야에서 쓰이는 개념을 잘 정의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이보다 약한 가산 선택 공리의존 선택 공리와 같은 것만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 것들도 일부 있지만, AC가 꼭 필요한 명제들도 있기에 집합론과 해석학에서는 보통 선택 공리를 인정하는 편이다. 하지만 이를 가정하는 데에 조심스러운 수학자가 많다.

직관

큰 상자 안에 작은 상자가 여러 개 있고, 그 각각의 작은 상자에 동전이 한 개 이상씩 들어 있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각각의 상자에서 동전을 하나씩 골라 주머니 안에 넣을 수 있을까?

... 당연하다. 그냥 뽑으면 되지 않는가! 뭐라고 설명해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뽑아보면 안다. 하지만, 이것은 작은 상자가 유한할 때에만 적용될 수 있는 논리이다. 만약 그 작은 상자가 무한 개(?) 있다면, 우리는 그 동전들을 골라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가? (사실 현실의 상황으로 생각하는 것은 nonsense이다. 상자가 무한 개 있을 리가 없다! (?))

진술

다음 동치인 명제 중 하나를 선택 공리(AC)라고 한다:

  • [math]\displaystyle{ \mathcal A }[/math]를 mutually disjoint한 공이 아닌 집합들의 족이라 하자. 그렇다면 [math]\displaystyle{ \mathcal A }[/math]의 각각의 집합으로부터 하나의 원소-씩으로 구성된 집합이 존재한다.
  • [math]\displaystyle{ \mathcal A = \{A_i\}_{i\in I} }[/math]를 index를 가진 집합족이라 하자. [math]\displaystyle{ I\ne \emptyset }[/math]이면, [math]\displaystyle{ \prod_{i \in I} A_i \ne \emptyset }[/math]이다.
  • [math]\displaystyle{ \mathcal A = \{A_i\}_{i\in I} }[/math]를 index를 가진 집합족이라 하자. [math]\displaystyle{ I\ne \emptyset }[/math]이면, 어떤 집합 [math]\displaystyle{ C }[/math]가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forall i \in I [C \cap A_i \text{ is a singleton}] }[/math]이다.
  • 선택함수(choice function)가 존재한다. 더욱 명시적으로, 주어진 집합 [math]\displaystyle{ A }[/math]에 대하여, 함수 [math]\displaystyle{ F:\mathcal P(A) \to A }[/math]가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forall X \subseteq A[X\ne \emptyset \Rightarrow F(X) \in X] }[/math]이다.
  • 선택함수가 존재한다. 임의의 집합족 [math]\displaystyle{ \mathcal A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emptyset \notin \mathcal A\implies \exists f\colon \mathcal A\rightarrow \bigcup \mathcal A\left[\forall X\in \mathcal A\,(f(X)\in X)\right] }[/math]이다.

선택 공리의 직관적/반직관적인 결과

The Axiom of Choice is obviously true; the Well Ordering principle is obviously false; and who can tell about Zorn’s lemma?
— Jerry Lloyd Bona, [3].

선택 공리와 동치인 유명한 명제들

누가 뭐래도, 제일 중요한 것은 Zorn's Lemma정렬 원리이다. 이와 함께, 다음과 같은 동치인 명제들이 알려져 있다.

  • 집합론
    • 정렬 원리: 모든 집합은 정렬될(well-ordered) 수 있다.
    • 타르스키의 선택 정리: 임의의 무한집합 [math]\displaystyle{ A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A }[/math][math]\displaystyle{ A\times A }[/math] 사이에 전단사 함수가 존재한다. 즉 둘은 대등(equipotent)하고, 둘의 기수(cardinality)는 같다. 따라서 다음 명제와 AC가 동치이다: finite [math]\displaystyle{ \lambda \lt \kappa := |A|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A| = \kappa = \kappa^\lambda = |A|^\lambda }[/math]이다.
    • 기수삼분성질: 기수 사이의 순서 관계는 linear ordering이다. 즉, 임의의 두 집합 [math]\displaystyle{ A }[/math][math]\displaystyle{ B }[/math]가 있으면, [math]\displaystyle{ |A| \lt |B| }[/math], [math]\displaystyle{ |A| = |B| }[/math], [math]\displaystyle{ |A| \gt |B| }[/math] 중 하나이다.
    • 공집합이 아닌 집합들의 카테시언 곱은 공집합이 아니다. (당연해 보이지만 선택 공리와 동치이다!)
    • 쾨니그 정리: 작은 것들의 합은 큰 것들의 곱보다 작다. 즉, [math]\displaystyle{ \kappa_i \lt \lambda_i }[/math]이면 [math]\displaystyle{ \sum_i \kappa_i \lt \prod_i \lambda_i }[/math]이다.
    • 모든 전사 함수는 우역원을 가진다.
  • 순서론
    • 초른의 보조정리: Every non-empty partially ordered set in which every chain (i.e. totally ordered subset) has an upper bound contains at least one maximal element.
    • 하우스도르프 극대 원리: In any partially ordered set, every totally ordered subset is contained in a maximal totally ordered subset. The restricted principle "Every partially ordered set has a maximal totally ordered subset" is also equivalent to AC over ZF.
    • 투키-타이히뮐러 보조정리(Tukey-Teichmüller lemma, 또는 Tukey's lemma): Every non-empty collection of finite character has a maximal element with respect to inclusion.
    • 반사슬 원리 모든 poset(반순서집합)은 극대 반사슬을 갖는다.
  • 대수학
    • 모든 벡터공간은 기저를 갖는다. (초른의 보조정리의 직접적인 응용)
    • 모든 nontrivial r[math]\displaystyle{ i }[/math]ng은 극대 이데알을 가진다.
    • 공이 아닌 집합 [math]\displaystyle{ S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S }[/math]이 되게 하는 이항연산이 존재한다.
  • 함수해석

The closed unit ball of the dual of a normed vector space over the reals has an extreme point. Point-set topology Tychonoff's theorem: Every product of compact topological spaces is compact. In the product topology, the closure of a product of subsets is equal to the product of the closures. Mathematical logic If S is a set of sentences of first-order logic and B is a consistent subset of S, then B is included in a set that is maximal among consistent subsets of S. The special case where S is the set of all first-order sentences in a given signature is weaker, equivalent to the Boolean prime ideal theorem; see the section "Weaker forms" below. Graph theory Every connected graph has a spanning tree.[17]

선택 공리를 함의하는 명제들

열린 문제들

ZF와의 독립성

  1. 선택 공리와 동치
  2. 선택 공리와의 함의 관계가 일반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하단 참조.
  3. Schechter, Eric (1997). 《Handbook of analysis and its foundations》. Academic Press, 145쪽. doi 10.1016/B978-0-12-622760-4.50033-9doi 10.1016/B978-0-12-622760-4.500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