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rMT/연습장/0: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학술}}[[분류:집합론]]-->
<!--{{학술}}[[분류:집합론]]-->
'''선택 공리'''((the) '''A'''xiom of '''C'''hoice, '''AC''')는 임의의 집합족의 각 집합에서 원소를 하나씩 선택하여 모아 만든 새로운 집합을 구성할 수 있음을 주장하는 공리이다. 수학의 전 분야, 특히 집합론과 해석학에서 그 형식화에 많은 도움을 주는 공리이다. 임의의 집합의 [[기수]]의 존재성<ref>선택 공리와 동치</ref>, 임의의 [[벡터공간]]의 [[기저]]의 존재성<ref>선택 공리와의 함의 관계가 일반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하단 참조.</ref> 등 여러 분야에서 쓰이는 개념을 [[잘 정의됨|잘 정의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이보다 약한 [[가산 선택 공리]]나 [[의존 선택 공리]]와 같은 것만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 것들도 일부 있지만, AC가 꼭 필요한 명제들도 있기에 집합론과 해석학에서는 보통 선택 공리를 인정하는 편이다.{{ㅊ|고약한 [[직관주의|직관주의자]]가 아닌 이상...}}
'''선택 공리'''((the) '''A'''xiom of '''C'''hoice, '''AC''')는 임의의 집합족의 각 집합에서 원소를 하나씩 선택하여 모아 만든 새로운 집합을 구성할 수 있음을 주장하는 공리이다. 수학의 전 분야, 특히 집합론과 해석학에서 그 형식화에 많은 도움을 주는 공리이다. 임의의 집합의 [[기수]]의 존재성<ref>선택 공리와 동치</ref>, 임의의 [[벡터공간]]의 [[기저]]의 존재성<ref>선택 공리와의 함의 관계가 일반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하단 참조.</ref> 등 여러 분야에서 쓰이는 개념을 [[잘 정의됨|잘 정의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이보다 약한 [[가산 선택 공리]]나 [[의존 선택 공리]]와 같은 것만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 것들도 일부 있지만, AC가 꼭 필요한 명제들도 있기에 집합론과 해석학에서는 보통 선택 공리를 인정하는 편이다.{{ㅊ|고약한 [[직관주의|직관주의자]]가 아닌 이상...}}
==직관==
큰 상자 안에 작은 상자가 여러 개 있고, 그 각각의 작은 상자에 동전이 한 개 이상씩 들어 있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각각의 상자에서 동전을 '''하나씩''' 골라 주머니 안에 넣을 수 있을까?
... 당연하다. 그냥 뽑으면 되지 않는가! 뭐라고 설명해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뽑아보면 안다.''' 하지만, 이것은 작은 상자가 ''유한''할 때에만 적용될 수 있는 논리이다. 만약 그 작은 상자가 무한 개(?) 있다면, 우리는 그 동전들을 골라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가? (사실 현실의 상황으로 생각하는 것은 nonsense이다. 상자가 [[유한론|무한 개 있을 리가 없다!]] (?))


==진술==
==진술==

2016년 10월 22일 (토) 01:19 판

선택 공리((the) Axiom of Choice, AC)는 임의의 집합족의 각 집합에서 원소를 하나씩 선택하여 모아 만든 새로운 집합을 구성할 수 있음을 주장하는 공리이다. 수학의 전 분야, 특히 집합론과 해석학에서 그 형식화에 많은 도움을 주는 공리이다. 임의의 집합의 기수의 존재성[1], 임의의 벡터공간기저의 존재성[2] 등 여러 분야에서 쓰이는 개념을 잘 정의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이보다 약한 가산 선택 공리의존 선택 공리와 같은 것만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 것들도 일부 있지만, AC가 꼭 필요한 명제들도 있기에 집합론과 해석학에서는 보통 선택 공리를 인정하는 편이다.고약한 직관주의자가 아닌 이상...

직관

큰 상자 안에 작은 상자가 여러 개 있고, 그 각각의 작은 상자에 동전이 한 개 이상씩 들어 있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각각의 상자에서 동전을 하나씩 골라 주머니 안에 넣을 수 있을까?

... 당연하다. 그냥 뽑으면 되지 않는가! 뭐라고 설명해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뽑아보면 안다. 하지만, 이것은 작은 상자가 유한할 때에만 적용될 수 있는 논리이다. 만약 그 작은 상자가 무한 개(?) 있다면, 우리는 그 동전들을 골라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가? (사실 현실의 상황으로 생각하는 것은 nonsense이다. 상자가 무한 개 있을 리가 없다! (?))

진술

다음 동치인 명제 중 하나를 선택 공리(AC)라고 한다:

  • [math]\displaystyle{ \mathcal A }[/math]를 mutually disjoint한 공이 아닌 집합들의 족이라 하자. 그렇다면 [math]\displaystyle{ \mathcal A }[/math]의 각각의 집합으로부터 하나의 원소-씩으로 구성된 집합이 존재한다.
  • [math]\displaystyle{ \mathcal A = \{A_i\}_{i\in I} }[/math]를 index를 가진 집합족이라 하자. [math]\displaystyle{ I\ne \emptyset }[/math]이면, [math]\displaystyle{ \prod_{i \in I} A_i \ne \emptyset }[/math]이다.
  • [math]\displaystyle{ \mathcal A = \{A_i\}_{i\in I} }[/math]를 index를 가진 집합족이라 하자. [math]\displaystyle{ I\ne \emptyset }[/math]이면, 어떤 집합 [math]\displaystyle{ C }[/math]가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forall i \in I [C \cap A_i \text{ is a singleton}] }[/math]이다.
  • 선택함수(choice function)가 존재한다. 더욱 명시적으로, 주어진 집합 [math]\displaystyle{ A }[/math]에 대하여, 함수 [math]\displaystyle{ F:\mathcal P(A) \to A }[/math]가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forall X \in A[X\ne \emptyset \Rightarrow F(X) \in X] }[/math]이다.

선택 공리와 동치인 유명한 명제들

선택 공리의 비교적 직관적인 결과

반직관적인 결과

선택 공리를 함의하는 명제들

열린 문제들

ZF와의 독립성

  1. 선택 공리와 동치
  2. 선택 공리와의 함의 관계가 일반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하단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