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rMT/연습장

< 사용자:CrMT
CrMT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7월 25일 (토) 18:56 판

순서쌍

순서쌍(順序-, ordered pair)은 두 대상을 순서를 고려하여 묶은 것을 말한다. 집합론에서 흔히 [math]\displaystyle{ (a, b) = \{\{a\}, \{a, b\}\} }[/math]으로 정의한다. 순서쌍은 2-짝(tuple)과도 같으며, 보통 n-짝은 순서쌍을 이용하여 귀납적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인 정의

순서쌍을 정의하는 방법은 많지만, 그 정의들은 다음 성질을 만족해야 한다:

[math]\displaystyle{ (a, b) = (c, d) \Longleftrightarrow a=c \wedge b=d. }[/math]

즉, 순서쌍이 같으려면 그 좌표(coordinate)끼리 같아야 한다. 이 정의에 부합하는 정의 역시 (무한히) 만들어낼 수 있지만, 보통 다음의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에 의한 정의를 이용한다.

[math]\displaystyle{ (a, b) = \{\{a\}, \{a, b\}\} }[/math].

이 정의에서는 순서쌍 [math]\displaystyle{ p }[/math]의 첫 번째 좌표를 [math]\displaystyle{ \forall S \in p[a\in S] }[/math][math]\displaystyle{ a }[/math]로 정의할 수 있다. 두 번째 좌표는 순서쌍에 속하는 두 집합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대상이 아니므로 [math]\displaystyle{ \exists S \in p[b \in S] \wedge \forall S_1, S_2 \in p[S_1 \ne S_2 \rightarrow \neg(b\in S_1 \cap S_2)] }[/math][math]\displaystyle{ b }[/math]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정의를 이용하면 [math]\displaystyle{ (a, b) = (c, d) \Longleftrightarrow a=c \wedge b=d. }[/math]를 보일 수 있으며, 그 증명은 아래와 같다.


다른 정의

노버트 위너의 정의

펠릭스 하우스도르프의 정의

쿠라토프스키 정의의 변형

앤서니 모스의 정의

Tuple

카테시언 곱

결합기하학

결합기하학(incidence geometry)은 결합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석기하학과 달리 점, 선, 그리고 그 결합만을 생각한다.

결합구조

Let [math]\displaystyle{ \mathscr P }[/math], [math]\displaystyle{ \mathscr L }[/math]([math]\displaystyle{ \mathscr P \cap \mathscr L = \emptyset }[/math]) and [math]\displaystyle{ \mathscr I\subseteq \mathscr P \times \mathscr L }[/math] be sets, we call

[math]\displaystyle{ \sigma = (\mathscr P, \mathscr L, \mathscr I) }[/math]

a incidence structure, or a geometric structure. If [math]\displaystyle{ \mathscr P }[/math] and [math]\displaystyle{ \mathscr L }[/math] are finite sets, we call [math]\displaystyle{ \sigma }[/math] a finite incidence structure.

For given [math]\displaystyle{ p, q\in\mathscr P }[/math], if [math]\displaystyle{ \exists L \in \mathscr L \text{ s.t. } (p,L),(q,L)\in \mathscr I }[/math], we say [math]\displaystyle{ p }[/math] and [math]\displaystyle{ q }[/math] are jointed, and we say [math]\displaystyle{ L }[/math] is decided by [math]\displaystyle{ p }[/math] and [math]\displaystyle{ q }[/math] if there is only one line [math]\displaystyle{ L }[/math](we call it the join [math]\displaystyle{ pq:=L }[/math].) Similarly, given [math]\displaystyle{ L, M\in \mathscr L }[/math], if [math]\displaystyle{ \exists p \in \mathscr P \text{ s.t. } (p,L),(p,M)\in \mathscr I }[/math], we say [math]\displaystyle{ L }[/math] and [math]\displaystyle{ M }[/math] meet, and we say [math]\displaystyle{ p }[/math] is decided by [math]\displaystyle{ L }[/math] and [math]\displaystyle{ M }[/math] if there is only one point [math]\displaystyle{ p }[/math](we call it the intersection [math]\displaystyle{ p:=L\cap M }[/math].) And also denote [math]\displaystyle{ [p(\in\mathscr P)\in L (\in \mathscr L)] := [(p, L) \in \mathscr I] }[/math] and omit [math]\displaystyle{ \mathscr I }[/math].

평면

We shall call incidence structures [math]\displaystyle{ \pi=(\mathscr P , \mathscr I) }[/math] satisfying following axioms planes:

  • [math]\displaystyle{ \forall p, q \in\mathscr P \exists ! L \in \mathscr L \text{ s.t. }p, q\in L, }[/math]
  • [math]\displaystyle{ \forall L\in\mathscr L \exists p, q\in\mathscr P (p \ne q) \text{ s.t. } p, q \in L. }[/math]

아핀 평면

We call incidence structures satisfying following axioms affine planes:

  • [math]\displaystyle{ \exists L \in \mathscr L, }[/math]
  • [math]\displaystyle{ \forall L \in \mathscr L \exists p, q\in \mathscr P (p \ne q) \text{ s.t. }p,q\in L, }[/math]
  • [math]\displaystyle{ \forall L \in \mathscr L \exists r\in\mathscr P \text{ s.t. }r \notin L, }[/math]
  • [math]\displaystyle{ \forall p,q \in \mathscr P (p\ne q)\exists ! L=pq\in \mathscr L, }[/math]
  • [math]\displaystyle{ \forall L \in \mathscr L \forall p (\notin L) \in \mathscr P \exists ! M \in \mathscr L \text{ s.t. } p \in M \wedge L \| M. }[/math] ([math]\displaystyle{ L \| M }[/math] means [math]\displaystyle{ \not \exists L \cap M }[/math].)

And every affine plane is a plane.

실-아핀 평면

We call incidence structures [math]\displaystyle{ \alpha_\mathbb R }[/math] satisfying following axioms real affine planes:

  • [math]\displaystyle{ \mathscr P \subseteq \mathbb R^2, }[/math]
  • [math]\displaystyle{ L(\in \mathscr L) = \{(x,y)|ax+by+c=0 \wedge a, b, c\in\mathbb R \wedge \neg(a=0\wedge b=0) \}, }[/math]
  • [math]\displaystyle{ (x_0 , y_0) \in \{ (x,y)|ax+by+c = 0\} \Longleftrightarrow ax_0 + by_0 + c = 0. }[/math]

And every real affine plane is an affine plane.

사영 평면

뉴턴의 운동 법칙

뉴턴의 운동 법칙(Newton's laws of motion)은 아이작 뉴턴에 의해 정립된 세 가지 물리 법칙이다.

역사

제1 법칙: 관성의 법칙

외력이 없을 때 어떤 물체의 질량중심은 일정한 속도 (또는 운동량)을 가지고 운동한다.

관성의 법칙을 만족하는 기준틀(좌표계)를 관성기준틀(관성좌표계, 관성계)라 부르고, 즉 이는 등속도 운동을 하는 기준틀을 말한다.

제2 법칙: 가속도의 법칙

제3 법칙: 작용-반작용의 법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