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선인장

부채선인장
[[파일:|300px]]
학명
Opuntia spp.
생물 분류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초국화군
석죽목
선인장과
선인장속
부채선인장

부채선인장은 대한민국 국내에 자생하는 Opuntia속 식물을 두루 지칭하는 용어이다. 국내 Opuntia 자생종들의 분류에 대해서는 정보가 지극히 부족한 와중에 이들이 웰빙 식품으로 인기를 끌면서 제대로 된 정보를 찾기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는데, 이 문서에서는 뭐가 몸에 좋고 맛있다는 이야기를 하기보다는 난해한 분류를 조금이나마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Opuntia속의 식물들은 공통적으로 가시로 변한 잎과 여러 마디로 된 넓적한 줄기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한자 명칭인 선인장(仙人掌), 즉 "신선 손바닥"에서도 드러난다. 줄기 마디를 따로 잘라 심으면 뿌리를 내리는 영양생식을 하며, 상업적 재배 시 대부분 영양생식을 사용한다. 열매를 사용한 유성 생식도 가능하며, 자생지에서는 열매를 조류나 동물들이 먹고 씨앗을 퍼뜨림으로서 퍼져나간다.

Opuntia속의 모든 식물들은 아메리카 원산이며, 한반도에는 멕시코에서부터 해류를 타고 떠내려와(..)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한반도를 제외한 유라시아 지역에 이들이 최초로 도입된 것은 16세기이며, 현재 지중해 연안과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대륙 등에 귀화식물로 자생하고 있다.

백년초[편집 | 원본 편집]

Opuntia ficus-indica, 카를 린네

제주도에 대규모로 자생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최근에는 제주도 및 남해안에서 대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눈에 띄는 큰 가시들 외에도 작은 솜털 같은 잔가시(자모; glochid)들이 많이 돋아나는데, 이 작은 가시들은 식물체에 매우 약하게 고정되어 있어 바람에 날린다. 그냥 가만히 있어도 가시가 알아서 날아와 박히니 혹시 어쩌다가 가까이 하게 된다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

자생지[편집 | 원본 편집]

  • 제주도 제주시 한림읍 월령리 일대

용도[편집 | 원본 편집]

열매와 줄기를 식용한다. 한국에서는 제주도의 백년초 초콜릿이 유명하며, 원산지 멕시코에서는 줄기를 구워 먹거나 열매로 주스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가장 널리 재배되는 선인장이자 가장 중요한 경제학적 가치를 지니는 선인장 품종으로, 멕시코에서는 옥수수와 맞먹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멕시코의 국장에 등장하는 선인장이기도 하다.

제주에서는 예로부터 담장 대용으로 심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왕선인장[편집 | 원본 편집]

왕선인장[1]. Opuntia monacatha, Haw.

이명: 서귀포선인장[2]

국내에서 자생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비교적 최근에 보고되었다.

자생지[편집 | 원본 편집]

  • 제주도 서귀포시 일대(?)

천년초[편집 | 원본 편집]

천년초/왕가시천년초. Opuntia humifusa, Raf. / Opuntia humifusa f. jeollaensis

제주에서 자생하는 O. ficus-indica와는 달리 남해안에서 자생한다고 하나 레퍼런스를 찾기 어려워 자생지에 대한 정보는 추가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백년초보다 크기가 작으며, 백년초보다 내한성이 강해 더 북쪽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열매는 식용 가능하나, 상업적으로 대규모로 재배되는 일은 드물다.

용도[편집 | 원본 편집]

국내에서는 전북, 충남 등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줄기 혹은 열매를 엑기스로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왕가시천년초[편집 | 원본 편집]

Opuntia humifusa jeollaensis

2014년에 전북 익산시 금마면의 농장에서 보고된 품종[3]. 레퍼런스의 부족으로 교차 검증이 어려우나 꽃의 중심부가 붉은 빛이고, 잔가시(자모)가 많으며, 가시가 길고 억센 것으로 O. humifusa와 구분할 수 있다고 한다.

각주[편집 | 원본 편집]

  1. 고석찬 외, 《Opuntia속(선인장과)의 한국 미기록 식물: 왕선인장》(2018). 한국자원식물학회,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1(1).
  2. 고석찬 외, 《제주도 자생 미기록종 서귀포선인장(Opuntia monacatha Haw.)의 형태적 및 계통학적 분석》(2017). 한국자원식물학회,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
  3. 김은정 외, 《DNA 염기서열에 근거한 선인장과 신품종 왕가시천년초[Opuntia humifusa (Raf.) Rf. f. jeollaensis E. J. Kim & S. S. Whang]》(2014), 한국식물분류학회, 한국식물분류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