볶음밥: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 아시아의 볶음밥 ==
== 아시아의 볶음밥 ==
=== 차오판 (炒饭=炒飯) ===
=== 차오판 (炒饭=炒飯) ===
[[중국]], [[대만]] 스타일의 볶음밥을 차오판(Cha3ofa4n)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볶음밥이란 이것을 가리킨다.  
[[중국]] [[대만]] 스타일의 볶음밥을 차오판(Cha3ofa4n)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볶음밥이란 이것을 가리킨다. 본래 남은 찬밥을 이용한 잔반요리에서 시작한 것으로 무엇을 섞냐에 따라 무궁무진한 맛을 창조할 수 있어서 현재진행형으로 수많은 바리에이션을 낳고 있다.


* 양저우차오판 :  
강한 불로 빠른 시간에 볶아내어 밥이 끈기가 없이 고슬고슬하게 되는 것을 최상으로 친다. 몰론 밥알이 뭉친 부분이 있거나 밥알 탄력이 죽어도 안 되며, 기름기가 너무 겉돌거나 많아도 에러, 계란이나 야채가 너무 익어서 어두운 색을 띄어도 실패작이다. (간장(노추)때문에 어두워 지는 것은 상관없다.) 과정 자체가 어렵지는 않은데 은근히 노동력이 들어가는데다 숙련되기까지는 오랜 노력이 필요한지라 [[중국 요리]]를 배우기 시작하면 사실상 가장 처음에 배우게 되는 요리이다.
* 푸젠차오판 :  
 
* 광저우차오판 :  
차오판 식감을 두고 흔히 "후 불면 날아간다"라고 표현하는데 같은 표현을 대입하는 동남아 및 인도식 쌀요리와는 달리 쌀 자체는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단립종이 주류라 한국인 입맛에 잘 맞는다. 되려 백미밥인 미판(米饭)이 입에 더 안 맞는 편.<ref>밥 짓는 방식이 한국-일본과 약간 달라서 찐쌀밥에 가깝다. 이걸 볶아내면 추가로 속을 익히게 되어 식감이 비슷해지는 것.</ref> 오죽하면 중국 식당에 가서 맛없음의 보험용으로 볶음밥을 꼭 하나 시켜둘 정도이다. '요리'의 일종으로 치기 때문에 중국 현지에서 볶음밥 메뉴를 주문하면 대개 2인분 이상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양이 한꺼번에 나오니 참고하자. <s>남으면 포장해다가 두고두고 먹으면 된다.</s>
* 즈딴판 :  
 
* (일본) 차항 : チャーハン. 일본식 중화요리에서 볶음밥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일본에서는 중화요리 주방장 실력을 검증하는데 가장 적합한 요리라는 인식이 있는데 일본식 중화요리 기본 메뉴가 볶음밥이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그저 기본기 테스트용으로만 볼 뿐이고<ref>중국은 요리 분야가 방대하기 때문에 분업이 잘 되어있는 편이다. 하지만 볶음밥도 못하면 아예 요리사 취급 자체를 안 한다고 보면 된다.</ref> 한국에서는 짜장면과 짬뽕의 인기 때문에 짬뽕실력을 기준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ref>짜장면은 기성품(=춘장)의 영향이 커서 결과물에 별로 차이가 없기 때문.</ref> 한중일 모두 냉장고에 남아있는 재료 처리용으로 각광받는 점은 같다.
 
* 양저우차오판(扬州炒饭) : '''중국 볶음밥의 기본이자 완성형'''.
* 즈딴판(鸡蛋饭, 지딴판) : 딴화차오판(蛋花炒飯)이라고도 한다. 별칭은 일본식 표현인 황금볶음밥(黄金チャーハン). '''부재료가 계란뿐인 볶음밥'''으로 메인메뉴로 먹는 양저우차오판과 달리 주로 곁들이 메뉴로 먹는다. 특히 맛이 진한 야채요리나 두부요리와 곁들여먹기에 좋다. 재료가 극히 단순하기 때문에 오로지 조미실력과 볶는실력 만으로 맛을 내야하는 심도있는 요리임과 동시에 귀찮니즘의 상징이기도 하다(...)
* 광저우차오판(广州炒饭) :  
* 푸젠차오판(福建炒饭) : 광둥어 필터링으로 인해 호킨차오판([[로마자]] : Hokkien~)이라고도 한다.
* 챠항=차항 (チャーハン) : 일본식 중화요리에서 볶음밥을 가리키는 외래어이다. 야키교자(焼き餃子)와 함께 라멘의 단짝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중국 볶음밥과는 달리
* 아로스 챠우파 (Arroz Chaufa) : [[페루]], [[에콰도르]], [[볼리비아]] 등지의 안데스식 볶음밥. 당연하지만 해당 지역에 이민 온 화교(치파, Chifa)들이 퍼트린 것으로 이름 자체가 "챠오판"에서 유래한다.


=== 한국식 볶음밥 및 야키메시 (焼き飯) ===
=== 한국식 볶음밥 및 야키메시 (焼き飯) ===


=== 동남아시아의 볶음밥 ===
=== 동남아시아의 볶음밥 ===
* 나시 고렝
* 껌 랑 (Com Rang) : [[베트남]]의 볶음밥. 밥 요리(Com)의 일종으로 치며 남중국의 영향을 받았기에 중국식 볶음밥과 가장 유사하다.
* 까오 팟
* 까오 팟 (Kao Phad) : [[태국]]의 볶음밥으로 볶음요리(팟)의 분파이다. 흔한 바리에이션으로 고추볶음밥(까오 팟 프릭)이 있는데 대개 상당히 매우니 조심하자.
* 껌 랑
* 타민저 (Htamin Gyaw) : [[미얀마]]의 볶음밥으로 흥건한 병아리콩 소스가 곁들여지는 것이 특징.
* 나시 고렝 (Nasi Goreng) :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의 볶음밥으로 고렝(Goreng, 볶음)의 분파이다. 볶음면인 미고렝(Mi Goreng)과 제법이 많이 비슷하다.
* 시낭각 (Sinangag) : [[필리핀]]의 마늘볶음밥. 주로 전날 먹은 음식의 잔반처리용으로 창조된 음식이라 아침에 먹는다. 마늘 이외 첨가물에 따라 이름이 더 길어지기도 한다. 흔히 계란후라이(itlog)가 곁들여지며 이를 Silog(실록)이라 줄여 표현한다. 그리고 간단한 요리(타파, Tapa)<ref>예상되겠지만 [[스페인 요리]]의 타파스(Tapas)와 어원이 같다.</ref>까지 붙으면 Tapasilog(타파실록)이라 하여 음식점에서까지 취급하는 분야로도 발전한다.


=== 비르야니 (비리야니) ===
=== 비르야니 (비리야니, Biryani) ===
[[인도 요리]]의 볶음밥으로 [[무굴 제국]]때 정립된 전통요리이다.


== 필라프 계열의 볶음밥 ==
== 필라프 계열의 볶음밥 ==

2015년 10월 4일 (일) 00:04 판

볶음밥이란 밥을 볶아낸 기본적인 요리이다.

개요

쌀을 주식으로 하는 국가에서는 대부분 볶음밥과 같거나 유사한 조리법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불+밥(쌀)이라는 지극히 기본적인 발상으로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섞음밥이나 조림밥과 같은 형태까지도 동양권에서 먹는 볶음밥과 모습이 유사하다는 이유를 들어, 그리고 다른 대체어가 마땅치 않은 이유로 볶음밥 범주에 편입시키는 경우도 있다.

똑같은 개념의 볶음밥이라도 민족, 국가에 따라 본질을 달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항목에서는 타입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아시아의 볶음밥

차오판 (炒饭=炒飯)

중국대만 스타일의 볶음밥을 차오판(Cha3ofa4n)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볶음밥이란 이것을 가리킨다. 본래 남은 찬밥을 이용한 잔반요리에서 시작한 것으로 무엇을 섞냐에 따라 무궁무진한 맛을 창조할 수 있어서 현재진행형으로 수많은 바리에이션을 낳고 있다.

강한 불로 빠른 시간에 볶아내어 밥이 끈기가 없이 고슬고슬하게 되는 것을 최상으로 친다. 몰론 밥알이 뭉친 부분이 있거나 밥알 탄력이 죽어도 안 되며, 기름기가 너무 겉돌거나 많아도 에러, 계란이나 야채가 너무 익어서 어두운 색을 띄어도 실패작이다. (간장(노추)때문에 어두워 지는 것은 상관없다.) 과정 자체가 어렵지는 않은데 은근히 노동력이 들어가는데다 숙련되기까지는 오랜 노력이 필요한지라 중국 요리를 배우기 시작하면 사실상 가장 처음에 배우게 되는 요리이다.

차오판 식감을 두고 흔히 "후 불면 날아간다"라고 표현하는데 같은 표현을 대입하는 동남아 및 인도식 쌀요리와는 달리 쌀 자체는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단립종이 주류라 한국인 입맛에 잘 맞는다. 되려 백미밥인 미판(米饭)이 입에 더 안 맞는 편.[1] 오죽하면 중국 식당에 가서 맛없음의 보험용으로 볶음밥을 꼭 하나 시켜둘 정도이다. '요리'의 일종으로 치기 때문에 중국 현지에서 볶음밥 메뉴를 주문하면 대개 2인분 이상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양이 한꺼번에 나오니 참고하자. 남으면 포장해다가 두고두고 먹으면 된다.

일본에서는 중화요리 주방장 실력을 검증하는데 가장 적합한 요리라는 인식이 있는데 일본식 중화요리 기본 메뉴가 볶음밥이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그저 기본기 테스트용으로만 볼 뿐이고[2] 한국에서는 짜장면과 짬뽕의 인기 때문에 짬뽕실력을 기준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3] 한중일 모두 냉장고에 남아있는 재료 처리용으로 각광받는 점은 같다.

  • 양저우차오판(扬州炒饭) : 중국 볶음밥의 기본이자 완성형.
  • 즈딴판(鸡蛋饭, 지딴판) : 딴화차오판(蛋花炒飯)이라고도 한다. 별칭은 일본식 표현인 황금볶음밥(黄金チャーハン). 부재료가 계란뿐인 볶음밥으로 메인메뉴로 먹는 양저우차오판과 달리 주로 곁들이 메뉴로 먹는다. 특히 맛이 진한 야채요리나 두부요리와 곁들여먹기에 좋다. 재료가 극히 단순하기 때문에 오로지 조미실력과 볶는실력 만으로 맛을 내야하는 심도있는 요리임과 동시에 귀찮니즘의 상징이기도 하다(...)
  • 광저우차오판(广州炒饭) :
  • 푸젠차오판(福建炒饭) : 광둥어 필터링으로 인해 호킨차오판(로마자 : Hokkien~)이라고도 한다.
  • 챠항=차항 (チャーハン) : 일본식 중화요리에서 볶음밥을 가리키는 외래어이다. 야키교자(焼き餃子)와 함께 라멘의 단짝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중국 볶음밥과는 달리
  • 아로스 챠우파 (Arroz Chaufa) : 페루, 에콰도르, 볼리비아 등지의 안데스식 볶음밥. 당연하지만 해당 지역에 이민 온 화교(치파, Chifa)들이 퍼트린 것으로 이름 자체가 "챠오판"에서 유래한다.

한국식 볶음밥 및 야키메시 (焼き飯)

동남아시아의 볶음밥

  • 껌 랑 (Com Rang) : 베트남의 볶음밥. 밥 요리(Com)의 일종으로 치며 남중국의 영향을 받았기에 중국식 볶음밥과 가장 유사하다.
  • 까오 팟 (Kao Phad) : 태국의 볶음밥으로 볶음요리(팟)의 분파이다. 흔한 바리에이션으로 고추볶음밥(까오 팟 프릭)이 있는데 대개 상당히 매우니 조심하자.
  • 타민저 (Htamin Gyaw) : 미얀마의 볶음밥으로 흥건한 병아리콩 소스가 곁들여지는 것이 특징.
  • 나시 고렝 (Nasi Goreng) :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의 볶음밥으로 고렝(Goreng, 볶음)의 분파이다. 볶음면인 미고렝(Mi Goreng)과 제법이 많이 비슷하다.
  • 시낭각 (Sinangag) : 필리핀의 마늘볶음밥. 주로 전날 먹은 음식의 잔반처리용으로 창조된 음식이라 아침에 먹는다. 마늘 이외 첨가물에 따라 이름이 더 길어지기도 한다. 흔히 계란후라이(itlog)가 곁들여지며 이를 Silog(실록)이라 줄여 표현한다. 그리고 간단한 요리(타파, Tapa)[4]까지 붙으면 Tapasilog(타파실록)이라 하여 음식점에서까지 취급하는 분야로도 발전한다.

비르야니 (비리야니, Biryani)

인도 요리의 볶음밥으로 무굴 제국때 정립된 전통요리이다.

필라프 계열의 볶음밥

쁠라우 (터키)

쁠롭 (중앙아시아)

빠에야 (스페인)

  • 빠에야 발렌시아나
  • 빠에야 데 마리스코
  • 크리스티아노스 (Cristianos, 카리브)[* 스페인어이기 때문에 Chr-가 아니다.]

볶음밥과 유사한 밥요리

  • 리조토 (Risotto, 이탈리아)
  • 졸로프 라이스 (Jollof Rice)
  • 잠발라야 (Jambalaya, 미국 남부)

리브레 위키에 등재된 레시피

  1. 밥 짓는 방식이 한국-일본과 약간 달라서 찐쌀밥에 가깝다. 이걸 볶아내면 추가로 속을 익히게 되어 식감이 비슷해지는 것.
  2. 중국은 요리 분야가 방대하기 때문에 분업이 잘 되어있는 편이다. 하지만 볶음밥도 못하면 아예 요리사 취급 자체를 안 한다고 보면 된다.
  3. 짜장면은 기성품(=춘장)의 영향이 커서 결과물에 별로 차이가 없기 때문.
  4. 예상되겠지만 스페인 요리의 타파스(Tapas)와 어원이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