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9번째 줄: 39번째 줄:
양방향 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낭비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열차 운행중 사고가 발생하거나 할 경우 운행을 완전히 중단하기 보다는 어떻게든 열차를 운행시키는게 유리하며, 이런 경우 가급적 정규적인 신호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시간 면에서나 인력 소요 면에서나 유리한 것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야간의 선로 보수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열차를 완전히 두절시킬 수 없어서 대용폐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를 더 안전하고 확실한 신호 체계 하에서 운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은 더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양방향 운전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양방향 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낭비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열차 운행중 사고가 발생하거나 할 경우 운행을 완전히 중단하기 보다는 어떻게든 열차를 운행시키는게 유리하며, 이런 경우 가급적 정규적인 신호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시간 면에서나 인력 소요 면에서나 유리한 것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야간의 선로 보수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열차를 완전히 두절시킬 수 없어서 대용폐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를 더 안전하고 확실한 신호 체계 하에서 운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은 더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양방향 운전 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는 [[경부고속선]]에서 최초로 도입되었으며, 현재 경부선 복선 구간에는 2012년 12월에 1차로 [[조치원역|조치원]]~[[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직지사역|직지사]]~[[약목역|약목]], [[밀양역|밀양]]~[[부산역|부산]] 간에 설치되어, 현재 천안~부산간의 전 구간에 양방향 운전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또한 [[경의선]] [[서울역]]~[[신촌역 (지상)|신촌]]간에도 양방향 신호가 설치되었다.
국내에서는 [[경부고속선]]에서 최초로 도입되었으며, 현재 경부선 복선 구간에는 2012년 12월에 1차로 [[조치원역|조치원]]~[[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직지사역|직지사]]~[[약목역|약목]], [[밀양역|밀양]]~[[부산역|부산]] 간에 설치되어, 현재 천안~부산간의 전 구간에 양방향 운전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또한 [[경의선]] 서울역~[[신촌역|신촌]]간에도 양방향 신호가 설치되었다.


===부분복선화===
===부분복선화===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