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심거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코코아봇(토론)의 편집을 Pika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변심거리(邊心距離,apothem 또는 줄여서 apo)또는 '정다각형의 변심거리'는 [[기하학]]에서  [[정다각형]]의 중심에서 [[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변심거리(邊心距離,apothem 또는 줄여서 apo)또는 '정다각형의 변심거리'는 [[기하학]]에서  [[정다각형]]의 중심에서 [[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또는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현을 수직이등분할때  중심부터 현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정사각형==
==정사각형==
변심거리가 원에 내접한 경우 화살거리(시,sagit)와 더해져 반지름이 된다.
[[원 (도형) |원]]에 내접한 정다각형의 변심거리(apo)는 연장선상의 [[화살거리]](sagit)와 더해져 [[반지름]]이 된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align='center'|[[파일:apothem_sagit.svg|350px]]
| align='center'|[[파일:apothem sagit.svg|350px]]
|-
|-
| 원에 내접한 정사각형의 한변에 도달한 변심거리와 원의 반지름 그리고 그 둘의 간격 차인 화살거리
| 원에 내접한 정사각형의 한변에 도달한 변심거리와 원의 반지름 그리고 그 둘의 간격 차인 화살거리
11번째 줄: 13번째 줄:


==현==
==현==
변심거리의 변을 현으로 가정해볼때 현을 수직이등분하는 직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는것과 관련있음을 확인할수있다. <ref>[참고] (수학방 -원의 방정식,원의 방정식 표준형) https://mathbang.net/454</ref><ref>우리말샘 원 등</ref>
변심거리의 변을 [[현 (수학)|현]]으로 가정해볼때 현을 수직이등분하는 직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는것과 관련있음을 확인할수있다. <ref>[참고] (수학방 -원의 방정식,원의 방정식 표준형) https://mathbang.net/454</ref><ref>우리말샘 원 등</ref> 또한 직경과 현의 길이와의 관계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서 조사할수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align='center'|[[파일:Euclid_Elements_3-35.svg|400px]]
| align='center'|[[파일:Euclid Elements 3-35.svg|400px]]
|-
|-
|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제3권 법칙35
|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제3권 법칙35
20번째 줄: 22번째 줄:
현 <math> \overline{CD} </math>와 직경<math> \overline{AB} </math>가 수직으로 만나는 점 E에서 선분 AE와 선분EB와의 비율은 원둘레에서 호의 길이의 비율을 보여준다.
현 <math> \overline{CD} </math>와 직경<math> \overline{AB} </math>가 수직으로 만나는 점 E에서 선분 AE와 선분EB와의 비율은 원둘레에서 호의 길이의 비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은 선분 AE와 선분EB와의 비율에서 역시 [[활꼴]]의 면적을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은 선분 AE와 선분EB와의 비율에서 역시 [[활꼴]]의 면적을 보여줄 수 있다.
 
:<math> \overline{AB} </math>가  원의 중심을 지나 현  <math> \overline{CD} </math>를 [[수직이등분]]할때
:<math> \overline{OC}^2 = \overline{CE}^2+ \overline{OE}^2  </math>
:<math> \overline{OC} = \overline{OB} =  \overline{AO}  </math>
:<math>  \overline{OB}= \overline{OE}  + \overline{EB}</math>
따라서
:<math>  \overline{CE}^2 =\overline{OC}^2 - \overline{OE}^2  </math>
:<math>  \overline{CE}^2 =\overline{AO}^2 - \overline{OE}^2  </math>
그리고
:<math>\overline{AO}^2 - \overline{OE}^2  = \left( \overline{AO} -\overline{OE}\right) \left(\overline{AO}+ \overline{OE} \right)</math>
:<math>\overline{AO}^2 - \overline{OE}^2  = \left( \overline{EB}\right) \left(\overline{AE} \right)</math>
따라서
:<math> \left( \overline{CE}\right) \left(\overline{CE} \right)  =\left( \overline{EB}\right) \left(\overline{AE} \right)</math>
:<math> \left( \overline{CE}\right) \left(\overline{ED} \right)  =\left( \overline{EB}\right) \left(\overline{AE} \right)</math>이다.
이렇게 현의 길이와 직경(지름)의 길이는 일대일 대응한다.<br />
한편  활꼴의 길이 선분CD와 활꼴의 높이 선분EB를 갖는 활꼴의 길이(<math>l</math>)는 높이(<math> h</math>)와 직경(<math>D</math>)에서 다음의 관계가 있다.
한편  활꼴의 길이 선분CD와 활꼴의 높이 선분EB를 갖는 활꼴의 길이(<math>l</math>)는 높이(<math> h</math>)와 직경(<math>D</math>)에서 다음의 관계가 있다.
:<math>  \left( \overline{CE} \right)  \left( \overline{ED} \right)  =  \left( \overline{AE} \right)  \left( \overline{EB} \right) </math>이다.
:<math>  \left( \overline{CE} \right)  \left( \overline{ED} \right)  =  \left( \overline{AE} \right)  \left( \overline{EB} \right) </math>이다.
31번째 줄: 46번째 줄:
:<math>  l = 2\sqrt{(D-b)b}</math>
:<math>  l = 2\sqrt{(D-b)b}</math>
따라서
따라서
:<math>  l = 2\sqrt{(D-b)b}  =  \sqrt{4} \sqrt{(D-h)h}</math>
:<math>  l = 2\sqrt{(D-b)b}  </math>
:<math>  l =  \sqrt{4} \sqrt{(D-h)h}</math>
:<math>  l = \sqrt{ \left( 4D  h \right) - \left( 4 h^2 \right) }</math>
:<math>  l = \sqrt{ \left( 4D  h \right) - \left( 4 h^2 \right) }</math>


37번째 줄: 53번째 줄:
*[[부채꼴]]
*[[부채꼴]]
<hr>
<hr>
*[참고](유클리드 기하학 원론,구텐베르크 프로젝트,John Casey 1885)http://www.gutenberg.org/files/21076/21076-pdf.pdf?session_id=9bfd9ef535a37ac859a6028f101fa4451e3226cc
[[분류:기하학]]
[[분류:기하학]]

2024년 4월 11일 (목) 18:41 기준 최신판

변심거리(邊心距離,apothem 또는 줄여서 apo)또는 '정다각형의 변심거리'는 기하학에서 정다각형의 중심에서 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또는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현을 수직이등분할때 중심부터 현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정사각형[편집 | 원본 편집]

에 내접한 정다각형의 변심거리(apo)는 연장선상의 화살거리(sagit)와 더해져 반지름이 된다.

Apothem sagit.svg
원에 내접한 정사각형의 한변에 도달한 변심거리와 원의 반지름 그리고 그 둘의 간격 차인 화살거리

[편집 | 원본 편집]

변심거리의 변을 으로 가정해볼때 현을 수직이등분하는 직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는것과 관련있음을 확인할수있다. [1][2] 또한 직경과 현의 길이와의 관계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서 조사할수있다.

Euclid Elements 3-35.svg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제3권 법칙35

[math]\displaystyle{ \overline{CD} }[/math]와 직경[math]\displaystyle{ \overline{AB} }[/math]가 수직으로 만나는 점 E에서 선분 AE와 선분EB와의 비율은 원둘레에서 호의 길이의 비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은 선분 AE와 선분EB와의 비율에서 역시 활꼴의 면적을 보여줄 수 있다.

[math]\displaystyle{ \overline{AB} }[/math]가 원의 중심을 지나 현 [math]\displaystyle{ \overline{CD} }[/math]수직이등분할때
[math]\displaystyle{ \overline{OC}^2 = \overline{CE}^2+ \overline{OE}^2 }[/math]
[math]\displaystyle{ \overline{OC} = \overline{OB} = \overline{AO} }[/math]
[math]\displaystyle{ \overline{OB}= \overline{OE} + \overline{EB} }[/math]

따라서

[math]\displaystyle{ \overline{CE}^2 =\overline{OC}^2 - \overline{OE}^2 }[/math]
[math]\displaystyle{ \overline{CE}^2 =\overline{AO}^2 - \overline{OE}^2 }[/math]

그리고

[math]\displaystyle{ \overline{AO}^2 - \overline{OE}^2 = \left( \overline{AO} -\overline{OE}\right) \left(\overline{AO}+ \overline{OE} \right) }[/math]
[math]\displaystyle{ \overline{AO}^2 - \overline{OE}^2 = \left( \overline{EB}\right) \left(\overline{AE} \right) }[/math]

따라서

[math]\displaystyle{ \left( \overline{CE}\right) \left(\overline{CE} \right) =\left( \overline{EB}\right) \left(\overline{AE} \right) }[/math]
[math]\displaystyle{ \left( \overline{CE}\right) \left(\overline{ED} \right) =\left( \overline{EB}\right) \left(\overline{AE} \right) }[/math]이다.

이렇게 현의 길이와 직경(지름)의 길이는 일대일 대응한다.
한편 활꼴의 길이 선분CD와 활꼴의 높이 선분EB를 갖는 활꼴의 길이([math]\displaystyle{ l }[/math])는 높이([math]\displaystyle{ h }[/math])와 직경([math]\displaystyle{ D }[/math])에서 다음의 관계가 있다.

[math]\displaystyle{ \left( \overline{CE} \right) \left( \overline{ED} \right) = \left( \overline{AE} \right) \left( \overline{EB} \right) }[/math]이다.
[math]\displaystyle{ \overline{CD} = \overline{CE} + \overline{ED} }[/math]이고 [math]\displaystyle{ \overline{CE} = \overline{ED}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overline{AE} = a, \overline{EB} = b , \overline{CE} =x }[/math]를 가정하고
[math]\displaystyle{ x^2 = ab }[/math]
[math]\displaystyle{ x = \sqrt{ab} }[/math]
[math]\displaystyle{ l = 2x = 2\sqrt{ab} }[/math]이고 [math]\displaystyle{ a =D-b }[/math]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l = 2\sqrt{(D-b)b} }[/math]

따라서

[math]\displaystyle{ l = 2\sqrt{(D-b)b} }[/math]
[math]\displaystyle{ l = \sqrt{4} \sqrt{(D-h)h} }[/math]
[math]\displaystyle{ l = \sqrt{ \left( 4D h \right) - \left( 4 h^2 \right) } }[/math]

연관[편집 | 원본 편집]


  1. [참고] (수학방 -원의 방정식,원의 방정식 표준형) https://mathbang.net/454
  2. 우리말샘 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