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진마스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52번째 줄: 52번째 줄:
== 보건용과 산업용의 차이 ==
== 보건용과 산업용의 차이 ==
보건용마스크와 산업용 방진마스크의 가장 큰 차이는 인증주체이다. 보건용마스크의 경우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관리한다.<ref>식품의약품안전처. 2018. <보건용 마스크의 기준 규격에 대한 가이드라인>.</ref> 반면 방진마스크는 보호구로서 노동노동부와 산하기관에서 관리한다. 또 시험기준도 보건용 마스크는 분진포집효율, 안면부흡기저항, 누설율만을 평가하는데 반해 산업용 방진마스크는 분진포집효율, 안면부흡기저항, 안면부배기저항, 누설율, 배기밸브 작동시험(특급 및 1급), 불연성, 영구변형율, 여과재 질량시험, 안면부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시험등 까다로운 기준을 통과하여야 한다.  
보건용마스크와 산업용 방진마스크의 가장 큰 차이는 인증주체이다. 보건용마스크의 경우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관리한다.<ref>식품의약품안전처. 2018. <보건용 마스크의 기준 규격에 대한 가이드라인>.</ref> 반면 방진마스크는 보호구로서 노동노동부와 산하기관에서 관리한다. 또 시험기준도 보건용 마스크는 분진포집효율, 안면부흡기저항, 누설율만을 평가하는데 반해 산업용 방진마스크는 분진포집효율, 안면부흡기저항, 안면부배기저항, 누설율, 배기밸브 작동시험(특급 및 1급), 불연성, 영구변형율, 여과재 질량시험, 안면부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시험등 까다로운 기준을 통과하여야 한다.  
{| class="wikitable"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등급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기준
|-
| 보건용
| 산업용
| 분진포집효율
| 안면부 흡기저항(보건)
| 안면부 흡기저항 (산업)
| 누설율
|-
| KF80
| 2급
| 80.0%
| 유량 30ℓ/min 60 Pa 이하
| 유량 95ℓ/min 210 Pa 이하
| 25% 이하
|-
| KF94
| 1급
| 94.0%
| 유량 30ℓ/min 70 Pa 이하
| 유량 95ℓ/min 240 Pa 이하
| 11% 이하
|-
| KF99
| 특급
| 99.0%
| 유량 30ℓ/min 100 Pa 이하
| 유량 95ℓ/min 300 Pa 이하
| 5% 이하
|}
두 규격모두 공유하는 기준에 의하면 위과 같다. 다만 둘 모두 안면부여과식 기준으로, 산업용 분리식 마스크의 경우 특급의 분진포집효율 기준이 더 까다롭고(99.95% 이상), 반면형 및 전면형 마스크의 경우 누설율 기준이 더 높다(5%, 0.05% 이하).


{{각주}}
{{각주}}
[[분류:안전공학]]
[[분류:안전공학]]

2019년 3월 3일 (일) 15:44 판

개요

방진마스크란 분진, 미스트 및 흄등의 고체 혹은 액체입자를 막기 위해 안면부에 착용하는 마스크를 말한다.[1] 목적이 목적인 만큼 분진이 발생하는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나 미세먼지등 대기질의 악화로 산업현장이 아닌 곳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유해분진으로 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물건인 만큼 유독가스 등 유해물질이 있는 환경에서는 방독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활성탄이 함유된 방진마스크의 경우 산성계 유해냄새로 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나 역시 유독가스가 있는 환경에서 사용해서는 안된다. 또한 산소농도 18% 이상인 장소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농도가 낮은 곳은 당연히 송기마스크 등의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원리

안전인증규격

방진마스크는 산업현장에서 분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이므로 한국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과 그 시행령, 고용노동부 고시를 통해 성능을 평가하고 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등급구분은 사용장소에 따라 구분하는데, 안면부여과식 마스크의 경우 배기밸브가 없을시 특급 및 1급 장소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안면부여과식 1급 및 특급 마스크는 모두 배기밸브가 달려있다.

등급구분[2]

  • 2급 방진마스크
    • 특급 및 1급 마스크 착용장소를 제외한 분진 등 발생 장소
  • 1급 방진마스크
    • 특급마스크 착용장소를 제외한 분진 등 발생장소
    • 금속흄 등과 같이 열적으로 생기는 분진 등 발생장소
    • 기계적으로 생기는 분진 등 발생장소(규소 등과 같이 2급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여도 무방한 경우는 제외한다.)
  • 특급 방진마스크
    • 베릴륨과 같이 독성이 강한 물질들을 함유한 분진 등 발생장소
    • 석면 취급장소

성능기준

안면부여과식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접하는 형태의 마스크로 안면부 전체가 여과재로 되어있다.

  • 2급 안면부여과식 마스크
    • 안면부 흡기저항: 차압 210 Pa 이하
    • 분진포집효율: 염화나트륨 및 파라핀오일 시험에서 80.0% 이상
    • 안면부 배기저항: 차압 300 Pa 이하
    • 안면부 누설율: 25%이하
    • 배기밸브 작동율: 정확하게 작동할 것
    • 강도, 신장율 및 영구변형율: 배기밸브 덮개가 이탈되지 않을 것
    • 불연성: 불꽃을 제거했을 때 안면부가 계속적으로 타지 않을 것
    • 안면부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부피분율 1% 이하
  • 1급 안면부여과식 마스크
    • 안면부 흡기저항: 차압 240 Pa 이하
    • 분진포집효율: 염화나트륨 및 파라핀오일 시험에서 94.0% 이상
    • 안면부 배기저항: 차압 300 Pa 이하
    • 안면부 누설율: 11%이하
    • 배기밸브 작동율: 정확하게 작동할 것
    • 강도, 신장율 및 영구변형율: 배기밸브 덮개가 이탈되지 않을 것
    • 불연성: 불꽃을 제거했을 때 안면부가 계속적으로 타지 않을 것
    • 안면부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부피분율 1% 이하
  • 특급 안면부여과식 마스크
    • 안면부 흡기저항: 차압 300 Pa 이하
    • 분진포집효율: 염화나트륨 및 파라핀오일 시험에서 99.0% 이상
    • 안면부 배기저항: 차압 300 Pa 이하
    • 안면부 누설율: 5%이하
    • 배기밸브 작동율: 정확하게 작동할 것
    • 강도, 신장율 및 영구변형율: 배기밸브 덮개가 이탈되지 않을 것
    • 불연성: 불꽃을 제거했을 때 안면부가 계속적으로 타지 않을 것
    • 안면부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부피분율 1% 이하

보건용과 산업용의 차이

보건용마스크와 산업용 방진마스크의 가장 큰 차이는 인증주체이다. 보건용마스크의 경우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관리한다.[3] 반면 방진마스크는 보호구로서 노동노동부와 산하기관에서 관리한다. 또 시험기준도 보건용 마스크는 분진포집효율, 안면부흡기저항, 누설율만을 평가하는데 반해 산업용 방진마스크는 분진포집효율, 안면부흡기저항, 안면부배기저항, 누설율, 배기밸브 작동시험(특급 및 1급), 불연성, 영구변형율, 여과재 질량시험, 안면부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시험등 까다로운 기준을 통과하여야 한다.

등급 기준
보건용 산업용 분진포집효율 안면부 흡기저항(보건) 안면부 흡기저항 (산업) 누설율
KF80 2급 80.0% 유량 30ℓ/min 60 Pa 이하 유량 95ℓ/min 210 Pa 이하 25% 이하
KF94 1급 94.0% 유량 30ℓ/min 70 Pa 이하 유량 95ℓ/min 240 Pa 이하 11% 이하
KF99 특급 99.0% 유량 30ℓ/min 100 Pa 이하 유량 95ℓ/min 300 Pa 이하 5% 이하

두 규격모두 공유하는 기준에 의하면 위과 같다. 다만 둘 모두 안면부여과식 기준으로, 산업용 분리식 마스크의 경우 특급의 분진포집효율 기준이 더 까다롭고(99.95% 이상), 반면형 및 전면형 마스크의 경우 누설율 기준이 더 높다(5%, 0.05% 이하).

각주

  1. 고용노동부고시 제2017-64호, 보호구 안전인증고시
  2. 보호구 안전인증고시 별표4 <방진마스크의 성능기준>
  3.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 <보건용 마스크의 기준 규격에 대한 가이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