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데시 타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외환}}
{{화폐 정보
{{화폐 정보
|화폐이름 = 방글라데시 타카
|현지어 명칭 = বাংলাদেশী টাকা<small><small> (방글라데쉬 따까, [[벵갈어|bn]])</small></small><ref>▶오른쪽 방향으로 읽는다.</ref>
|원어이름 = বাংলাদেশী টাকা 방라데시 따까<sup>[[벵골어|bn]]</sup>
|다른 언어명 = Bangladeshi Taka<small> (방글라데시 타카, [[영어|en]])</small>
|그림    = বাংলাদেশ ব্যাংকের প্রতীক.svg
|그림1 =বাংলাদেশ ব্যাংকের প্রতীক.svg
|그림설명 =  
|그림1_설명 =  
|그림2   =  
|그림2 =  
|그림2설명=  
|그림2_설명 =  
|사용국   = {{나라|방글라데시}}
|사용국 = {{국기|방글라데시}}
|비공식   =  
|비공식 사용국 =
|ISO      = BDT
|iso 코드 = BDT
|기호     = ৳
|기호 = ৳
|보조단위 =
|보조단위_비율_1 = <small>1/100</small>
{{화폐 정보/보조단위
|보조단위_이름_1 = <small>포이샤 (পয়সা)</small>
|비율 = <small>1/100</small>
|보조단위_비율_2 =
|이름 = <small>포이샤 (পয়সা)</small>
|보조단위_이름_2 =
}}
|지폐 = ৳2, ৳5, ৳10, ৳20, ৳50, ৳100, ৳500, ৳1000<br/><small>희귀 : ৳1</small>
|지폐     = ৳2, ৳5, ৳10, ৳20, ৳50, ৳100, ৳200, ৳500, ৳1000 <small>(드물게 통용 : ৳1)</small>
|동전 = ৳2, ৳5<br/><small>희귀 : ৳1</small>
|동전     = ৳2, ৳5 <small>(드물게 통용 : ৳1)</small>
|발행 기관 = 방글라데시 은행 (বাংলাদেশ ব্যাংক)
|중앙은행 = 방글라데시 은행 (বাংলাদেশ ব্যাংক)
|인쇄처 = 방글라데시 보안인쇄 유한공사 <small>(দি সিকিউরিটি প্রিন্টিং কর্পোরেশন (বাংলাদেশ) লিমিটেড)</small>
|인쇄처   = 방글라데시 보안인쇄 유한공사 <small>(দি সিকিউরিটি প্রিন্টিং কর্পোরেশন (বাংলাদেশ) লিমিটেড)</small>
|조폐국 = 방글라데시 보안인쇄 유한공사
|조폐국   = 방글라데시 보안인쇄 유한공사
|인플레이션 = 5.57%<small> (2017.07 추정치)</small>
|환율     = 14원/৳<small> (2019.9.14 기준)</small><small><br />80৳/USD<small> (2015)</small>, 84৳/USD<small> (2014)</small>, 72৳/USD<small> (2011)</small>, 30৳/USD<small> (1980년대)</small></small>
|환율 = 14원/৳<small> (2019.9.14 기준)</small><small><br/>80৳/USD<small> (2015)</small>, 84৳/USD<small> (2014)</small>, 72৳/USD<small> (2011)</small>, 30৳/USD<small> (1980년대)</small></small>
|고정환율 =  
|고정환율 =  
|이전화폐 = [[파키스탄 루피]] [1 : 1]<br /><small>(1972년, 당시 환율 약 8৳/USD)</small>
|전신 = {{국기|파키스탄}} [[파키스탄 루피|루피]] [1 : 1]<br/><small>(1972년, 당시 환율 약 8৳/USD)</small>
|이후화폐 =
|후신 =  
|비고    =  
}}
}}
[[영어]] : Bangladeshi Taka<small> (방글라데시 타카)</small>
== 개요 ==
== 개요 ==
[[방글라데시]]의 [[루피]]계열 통화로, [[동파키스탄]]이 방글라데시로 독립한 지 1년이 지난 다음인 1972년 3월 4일부터 사용하였다.  
[[방글라데시]]의 [[루피]]계열 통화로, 동부 파키스탄이 방글라데시로 독립한지 1년 지난 때인 1972년 3월 4일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타카(টাকা)"라는 단어는 인도 동부 및 동북부 방언으로, 힌디어의 '루피'와 마찬가지로 "돈"이라는 뜻이다.<ref>이 같은 이유로 인도 동부지역에서는 인도의 루피화를 "타카"라고 부르곤 한다.</ref> 그러나 타카는 [[인도 루피]]와는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에 [[인도]]에서는 쓸 수 없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타카(টাকা, 따까)"라는 단어는 인도 동부 및 동북부에서도 통용되는 [[벵골어]] 어휘로, 힌디어의 '루피'와 마찬가지로 "돈"이라는 뜻이다. 이 같은 이유로 인도 동부지역에서는 인도의 루피화를 "타카"라고 부르곤 한다. 그러나 타카는 [[인도 루피]]와는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에 [[인도]]에서는 쓸 수 없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건국 정세부터 어지러웠던 탓에 방글라데시 타카의 가치는 등장 직후부터 쭉쭉 내려가기만 했고, 고작 2년만인 1974년에 [[IMF]] 구제금융을 신청하여 1978년에 겨우 회복할 기미를 보이나 했는데, 그것도 1년을 넘기지 못했다. IMF도 IMF대로, 무지브 정권이 IMF의 요구사항을 미적지근하게 대처한 괘씸죄(?)로서 [[세계은행]]에 관여해 타카화를 50% 이상 평가절하을 조치하였다.


건국 초기부터 정세가 어지러웠던 탓에 방글라데시 타카의 가치는 오를 일 없이 쭉쭉 내려가기만 했고, 그 심각함은 통화 독립 고작 2년 만인 1974년에 [[IMF]] 구제금융을 신청하기 이른다. 1978년에 겨우 회복할 기미를 보이나 했으나 이마저 1년을 넘기지 못했다. 그리하여 당시 IMF는, 무지브 정권이 IMF의 요구사항을 미적지근하게 대처한 괘씸죄(?)를 숙청하는 마냥, [[세계은행]]에 관여해 타카화의 50% 이상 평가절하를 조치하기도 하였다.
특이사항으로, 과거에는 방글라데시 타카화는 방글라데시 중앙은행과 재정부(정부기관)가 서로 짜고 맞춘듯 양분해서 발행하다가, 점차 중앙은행으로 권한을 넘긴 바가 있었다.
 
과거에는 방글라데시 타카화를 방글라데시 중앙은행과 재정부(정부기관)가 서로 짜고 맞춘듯 양분해서 발권하였지만, 점차 중앙은행으로 권한을 넘겨, 현재는 거의 대부분의 발권을 은행에서 담당하고 있다.<ref>다만 소액권(소액지폐 및 동전 등)을 정부가 발행하는 일은 세계적으로 매우 흔한 사례이다.</ref>


=== 환전 및 사용 ===
=== 환전 및 사용 ===
의외로 한국 시중은행에서 정식으로 취급하던 통화였다. 심지어 [[태국 바트]]보다도 수수료율(환가료율)이 낮게 설정되었었다(!) 그러나 방글라데시로 가는 사람들 대부분은 사업방문차 가는 출장손님이 99%라서 거래량이 시망일 수준으로 없다시피 하였고, 고로 한국에서 타카를 필요한 만큼 매입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였으며, 반대로 타카를 매도하는 것도 외환창구직원을 알기 쉽게 설득해야만(?) 하는 고난이 따랐다. 더불어 불안정한 정세 때문에 인도, 파키스탄과 함께 2018년 6월부터 취급이 중단되었다.
의외로 한국 시중은행에서 정식으로 취급하던 통화였다. 심지어 [[태국 바트]]보다도 수수료율이 낮게 설정되었었다(!) 그러나 방글라데시로 가는 사람들 대부분은 사업방문차 가는 출장손님이 99%라서 거래량이 시망일 수준으로 없다시피 하였고, 고로 한국에서 타카를 필요한 만큼 매입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였으며, 반대로 타카를 매도하는 것도 외환창구직원을 알기 쉽게 설득해야만(?) 하는 고난이 따랐다. 더불어 불안정한 정세 때문에 인도, 파키스탄과 함께 2018년 6월부터 취급이 중단되었다.


그러므로 [[미국 달러]]를 들고가 현지에서 환전하는게 좋다. 유의할 점은 고액권일수록 환율을 잘 쳐준다는 것이다. 즉, 100달러*1장이 5달러*20장보다 값을 훨씬 더 잘 쳐준다.
그러므로 [[미국 달러]]를 들고가 현지에서 환전하는게 좋다. 유의할 점은 고액권일수록 환율을 잘 쳐준다는 것이다. 즉, 100달러*1장이 5달러*20장보다 값을 훨씬 더 잘 쳐준다.


== 지폐 ==
== 지폐 ==
앞서 언급했듯 방글라데시 타카는 중앙은행과 정부가 역할분담하여 발행하고 있었다.
앞서 언급했듯 방글라데시 타카는 중앙은행과 정부가 역할분담하여 발행하고 있다.


중앙은행권의 경우, 1972년 처음으로 5, 10, 100타카화 3종을 발행했다. 3년 후인 1975년에 50타카가 추가되었고, 2년후인 1977년에 500타카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또 3년 뒤(1980년)에는 20타카화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이 구성은 찔끔찔끔거리는 변화를 제외하고는 2010년까지 유지했는데 워낙 따로따로 내놓다보니 규격이나 디자인이 통일되지 않았었다.
중앙은행권의 경우, 1972년 처음으로 5, 10, 100타카화 3종을 발행했다. 3년 후인 1975년에 50타카가 추가되었고, 2년후인 1977년에 500타카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또 3년 뒤(1980년)에는 20타카화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이 구성은 찔끔찔끔거리는 변화를 제외하고는 2010년까지 유지했는데 워낙 따로따로 내놓다보니 규격이나 디자인이 통일되지 않았었다.  


정부발행권의 경우, 1972년 1타카를 만들어 1993년까지만 발행했고, 1989년부터 2타카를 찍고있다. 2000년에는 '''시험삼아''' 폴리머를 도입한 10타카화를 발행했지만 그야말로 실패로 끝냈다. 2008년에는 사실상 최고액권인 1,000타카화를 발행했다.
정부발행권의 경우, 1972년 1타카를 만들어 1993년까지만 발행했고, 1989년부터 2타카를 찍고있다. 2000년에는 '''시험삼아''' 폴리머를 도입한 10타카화를 발행했지만 그야말로 실패로 끝냈다. 2008년에는 사실상 최고액권인 1,000타카화를 발행했다.
51번째 줄: 46번째 줄:
그러던 2011년, 중앙은행이 정부발행 2타카와 1,000타카까지 인수해 규격화된 신 시리즈를 내놓게 되었다. (2, 5, 100, 500, 1000타카) 중간에 비어버린 10, 20, 50타카 3종은 1년 늦은 2012년 2월 15일에 내놓아 완성시켰다.
그러던 2011년, 중앙은행이 정부발행 2타카와 1,000타카까지 인수해 규격화된 신 시리즈를 내놓게 되었다. (2, 5, 100, 500, 1000타카) 중간에 비어버린 10, 20, 50타카 3종은 1년 늦은 2012년 2월 15일에 내놓아 완성시켰다.


=== 현행권 (2011 ~ 현재) ===
=== 2차 (현행권, 2011~현재)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 방글라데시 타카 현행권 시리즈 (2011년 이후)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Bangladesh Taka 2nd Series (2011~현재)
|-
|-
| style="text-align: center;" | 동전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 (※구권과 동일)
| style="text-align: center;" | [[File:BDT702.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2 샤히드 미날<small>(언어 수호의 탑)</small><ref>파키스탄 시절 벵갈어가 우르두어와 동등한 지위를 갖지 못하고 탄압되자 대학생과 지식인들이 들고 일어섰는데 파키스탄 경찰이 이들을 무참히 학살한 것을 기억하자는 기념비로 만들어졌다. 최초 및 도안에 그려진 미날은 다카대학교의 약대 근처에 있다. 독립 전까지는 수차례 부서지는 수모를 겪었지만 독립 후에는 독립전쟁의 상징으로 남게 되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File:BDT704.jpg|섬네일]]
|-
|-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공통
| style="text-align: center;" | ৳2
샤히드 미날 (언어 수호의 탑)<ref>파키스탄 시절 벵갈어가 우르두어와 동등한 지위를 갖지 못하고 탄압되자 대학생과 지식인들이 들고 일어섰는데 파키스탄 경찰이 이들을 무참히 학살한 것을 기억하자는 기념비로 만들어졌다. 최초 및 도안에 그려진 미날은 다카대학교의 약대 근처에 있다. 독립 전까지는 수차례 부서지는 수모를 겪었지만 독립 후에는 독립전쟁의 상징으로 남게 되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5
쿠숨바 모스크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BDT706.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DT702.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공통<sub>(※৳1 제외)</sub> [[무지부르 라만]]<ref>영문명(Sheikh Mujibur Rahman)으로 검색시 흔히 앞에 수식되는 '셰이크(Sheikh)'는 '지도자'라는 뜻의 호칭이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10
| style="text-align: center;" | ৳5 쿠숨바 모스크
국가 모스크
| style="text-align: center;" | ৳10 국가 모스크
| style="text-align: center;" | ৳20
샷 곰부즈 마스지트 (60개 돔의 모스크)
| style="text-align: center;" | ৳50
Moi Deya (밭갈기 (그림), 실파찰자 자이눌 아베딘 作 (Shilpacharza Zainul Abedin))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BDT712.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BDT704.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BDT714.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BDT706.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20 샷 곰부즈 마스지트<small>(60개 돔의 모스크)</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50「밭갈기」<small>, 실파찰자 자이눌 아베딘 作</small><ref>《Moi Deya》, Shilpacharza Zainul Abedin</ref>
타라 모스크
| style="text-align: center;" | ৳100 타라 모스크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DT708.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DT710.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DT712.jpg]]
|-
| style="text-align: center;" | ৳2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다카 국회의사당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국회의사당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DT714.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DT716.jpg]]
|}
|}
* 1차의 1타카화는 계속 계승되어 쓰이고 있다.


==== 기념권 ====
=== 1차 (구권, 1972~2011) ===
2011년 독립 40주년을 기념하는 40타카 지폐를 시작으로, 2010년대 후반부터 뭔가 ○○주년에 걸맞는 '''정부 관련''' 사건이 있다 싶으면 재빠르게 찍어내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 상기했듯 첫 타카화는 중간중간에 자주 판본을 바꾸었기 때문에 이형이 은근히 많다. 단락에서는 교체 직전의 최종판만 기록하고 나머지 옛 버전은 다음 단락에서 다룬다.
* 2011년 40타카, 독립 40주년 기념
* 2012년 60타카, 방글라데시 언어운동 60주년
* 2013년 25타카, 방글라데시 은행 25주년
* 2013년 100타카, 방글라데시 국립박물관 100주년
* 2018년 70타카, 국가 발전지향 기념
* 2020년 100타카, 무지부르 라만 탄신 100주년(※현행권 타입의 200타카화와 동시 발행)
* 2021년 50타카, 독립 50주년 기념 (첨쇄형/기념권형)
* 2022년 100타카, [[파드마 대교]] 건립기념
* 2022년 50타카, 헌법 제정 및 대법원 건립 50주년 기념
* 2023년 50타카, [[다카 메트로]] 개통 기념
* 2023년 50타카, [[방가반드]] 무지부르 라만 터널(※수중터널) 개통 기념


=== 구권 (1972 ~ 2011)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 방글라데시 타카 : 구권 시리즈 (1972 ~ 2010)
!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Bangladesh Taka 1st Series (1972~2011)
|-
|-
| style="text-align: center;" | ৳1 국장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2 샤히드 미날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
| style="text-align: center;" | 국장
| style="text-align: center;" | 사슴 무리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2
| style="text-align: center;" | 사슴 무리
| style="text-align: center;" | 샤히드 미날
| style="text-align: center;" | 까치울새
| style="text-align: center;" | 까치울새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5 메흐랍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0 바이툴 무카람
| style="text-align: center;" | ৳5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20 초토 소나 모스크
| style="text-align: center;" | 메흐랍
| style="text-align: center;" | 공업지구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
| style="text-align: center;" | 바이툴 무카람
| style="text-align: center;" | 자티요 상샤드 바반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
| style="text-align: center;" | 초토 소나 모스크
| style="text-align: center;" | [[황마]]를 씻는 네 남자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50
| style="text-align: center;" | 공업지구
| style="text-align: center;" | 자티요 상샤드 바반
| style="text-align: center;" | 자티요 상샤드 바반
| style="text-align: center;" | [[황마]]를 씻는 네 남자
| style="text-align: center;" | 바가 모스크
|-
| style="text-align: center;" | ৳50 자티요 상샤드 바반
| style="text-align: center;" | ৳100 국가기념비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국가기념비
| style="text-align: center;" | 바가 모스크
| style="text-align: center;" | 자무나 교량 (방가반두 다리)<ref>자무나강을 관통하는 5.63km의 다리. 시라지간지에서 탕갈리를 이어주는 다리로 1998년 [[현대건설]]이 완공시켰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자무나 교량 (방가반두 다리)<ref>자무나강을 관통하는 5.63km의 다리. 시라지간지에서 탕갈리를 이어주는 다리로 1998년 [[현대건설]]이 완공시켰다.</ref>
|-
|-
| style="text-align: center;" | ৳500 국가기념비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샤히드 미날
|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최고의원회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 style="text-align: center;" | 샤히드 미날
| style="text-align: center;" | 최고의원회
| style="text-align: center;" | 쿠르존 홀
| style="text-align: center;" | 쿠르존 홀
|}
|}
=== 1차 구판 (1972~2002) ===
=== 기념권 ===
방글라데시 타카에는 2018년 현재, 5종류의 기념화폐(지폐)를 발행하였다.
* 40타카 (2011), 독립 40주년 기념
* 60타카 (2012), 방글라데시 언어운동 60주년
* 25타카 (2013), 방글라데시 은행 25주년
* 100타카 (2013), 방글라데시 국립박물관 100주년
* 70타카 (2018), 국가 발전지향 기념


== 동전 ==
== 동전 ==
153번째 줄: 156번째 줄:
{{각주}}
{{각주}}
{{아시아의 화폐}}
{{아시아의 화폐}}
[[분류:화폐]]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