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전화: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통신 {{다른 뜻|휴대전화||옥외에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화}} * Cordless Phone / 無線電話 == 개요 == 기존의 집전화 단말기를 고...)
 
잔글 (→‎개요)
3번째 줄: 3번째 줄:
* Cordless Phone / 無線電話
* Cordless Phone / 無線電話
== 개요 ==
== 개요 ==
기존의 집전화 단말기를 고정형에서 무선-휴대형으로 바꾼 전화이다. 전화기 혼자서 쓸 순 없고 짝이 맞는 고정장치(기지국)따라온다.
기존의 집전화 단말기를 고정형에서 무선-휴대형으로 바꾼 전화이다. 전화기 혼자서 쓸 순 없고 짝이 맞는 고정장치(기지국)따라온다.


뒷날 출시된 [[휴대전화]]와 달리 이동성에 큰 제한이 있지만, [[시티폰]]이나 [[PHS]] 같이 기술적 제한을 타파하고 휴대전화에 가깝게 만들어진 서비스가 등장했었다. 둘다 휴대전화에 밀려 망했지만.
뒷날 출시된 [[휴대전화]]와 달리 이동성에 큰 제한이 있지만, [[시티폰]]이나 [[PHS]] 같이 기술적 제한을 타파하고 휴대전화에 가깝게 만들어진 서비스가 등장했었다. 둘다 휴대전화에 밀려 망했지만.

2018년 1월 14일 (일) 23:52 판

  • Cordless Phone / 無線電話

개요

기존의 집전화 단말기를 고정형에서 무선-휴대형으로 바꾼 전화이다. 전화기 혼자서 쓸 순 없고 짝이 맞는 고정장치(기지국)가 따라온다.

뒷날 출시된 휴대전화와 달리 이동성에 큰 제한이 있지만, 시티폰이나 PHS 같이 기술적 제한을 타파하고 휴대전화에 가깝게 만들어진 서비스가 등장했었다. 둘다 휴대전화에 밀려 망했지만.

표준

  • CT-1
    최초의 표준. 아날로그 통신을 사용하며, LTEGSM과 일부 주파수가 겹치기 때문에 현대에 사용하려는 경우 주파수 관리 당국의 재제를 받을 수 있다. 한국의 경우 KT LTE가 주파수를 받아가면서 중앙전파관리소에서 단속하니 마니 갑론을박이 조금 있었다.
  • CT-2
    제한된 공간을 탈피하기 위해 제한적으로 공공 기지국을 사용했던 표준. 사유 공간에서는 고정장치나 사설 기지국으로 일반 무선전화처럼 사용하고, 공공장소에서는 기지국에 연결하여 '발신'만 할 수 있게 했다. 핸드오프의 개념은 있었지만 기술적인 한계로 통화중 핸드오프시 통화가 단절되었다. 한국에서는 시티폰으로 영업했으나 1년도 안 돼 PCS에 밀려 참패하고 시장에서 철수하게 된다. 일본의 PHS는 이걸 좀더 발전시켜서 쓸만하게 만든 것.
  • DECT(DCP)
    현대의 무선전화 표준. 디지털화 되었으며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운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LG U+ CDMA와 이웃한 1786 – 1792 MHz 대역을 사용한다.

관련 항목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