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투그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4번째 줄: 14번째 줄:
  {{화폐 정보/보조단위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0
  |비율 = 1/100
  |이름 = 뭉그 ({{lang|mn|мөнгө}})
  |이름 = 몽고 ({{lang|mn|Мөнгө}})
  }}
  }}
|지폐    = ₮10, ₮20, ₮50, ₮100, ₮500, ₮1000, ₮5000, ₮10000, ₮20000<br /><small>(드물게 통용) 10м, 20м, 50м, ₮1, ₮5</small>
|지폐    = ₮10, ₮20, ₮50, ₮100, ₮500, ₮1000, ₮5000, ₮10000, ₮20000<br /><small>(드물게 통용) 10м, 20м, 50м, ₮1, ₮5</small>
32번째 줄: 32번째 줄:
몽골 투그릭(몽골 투그루크)은 [[몽골]]에서 사용하는 [[원]](圓) 계열의 통화이다. (몽골어 '투그루크'의 원래 의미가 '둥글다'이다.)
몽골 투그릭(몽골 투그루크)은 [[몽골]]에서 사용하는 [[원]](圓) 계열의 통화이다. (몽골어 '투그루크'의 원래 의미가 '둥글다'이다.)


한국어 맞춤법에는 몽골어 표기를 위한 표준 시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러시아어]]<ref>몽골 근현대 문화는 러시아-소련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ref>나 [[영어]] 표기를 중역하고 있는데, 때문에 '투그릭({{러시아어|Ту́грик|투그리크}}, {{영어|Tugrik|투그릭}})'을 표준 표기법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본 문서도 '투그릭'으로 서술한다.)<ref>다른 나라도 크게 다르지 않은데, 옆 동네 일본도 '두구루구({{일본어=|トゥグルグ}})'로 표기하고 있다.</ref> 단, 실제 몽골어 '{{lang|mn|төгрөг / <small>{{만몽 유니코드|ᠲᠥᠭᠥᠷᠢᠭ}}</small>}} {{IPA|/ˈtʰɵkrɵk/}}'의 발음상 근사치 표기는 '투그루그(관용 표기는 투그룩)'에 더 가깝다.
한국어 맞춤법에는 몽골어 표기를 위한 표준 시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러시아어]]<ref>몽골 근현대 문화는 러시아-소련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ref>나 [[영어]] 표기를 중역하고 있는데, 때문에 '투그릭({{러시아어|Ту́грик|투그리크}}, {{영어|Tugrik|투그릭}})'을 표준 표기법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본 문서도 '투그릭'으로 서술한다.)<ref>다른 나라도 크게 다르지 않은데, 옆 동네 일본도 '두구루구({{일본어=|トゥグルグ}})'로 표기하고 있다.</ref> 단, 실제 몽골어 '{{lang|mn|Төгрөг / <small>{{만몽 유니코드|ᠲᠥᠭᠥᠷᠢᠭ}}</small>}} {{IPA|[ˈtʰɵɡrɵk]}}'의 발음상 근사치 표기는 [[불파음]]화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투그루크'에 더 가깝다.


=== 환전 및 사용 ===
=== 환전 및 사용 ===
투그릭화는 2012년 7월부터 [[외환은행]]에서 몽골의 칸 뱅크({{llang|mn|ХААН Банк}}, {{영어|Khan Bank}})와 협약을 맺어 정식으로 취급하였던 권종이었다. 허나 전적으로 몽골 이주민들을 위한 편의 서비스 차원에서 시작했기도 하거니와, 근본적으로 한국인들의 수요가 워낙 없기 때문에 일부러 수입해오지 않아 유통량은 거의 없었다.
투그릭화는 2012년 7월부터 [[외환은행]]에서 몽골의 칸 뱅크({{llang|mn|ХААН Банк}}, {{영어|Khan Bank}})와 협약을 맺어 정식으로 취급하였던 권종이었다. 허나 전적으로 몽골 이주민들을 위한 편의 서비스 차원에서 시작했기도 하거니와, 근본적으로 한국인들의 수요가 워낙 없기 때문에 일부러 수입해오지 않아 유통량은 거의 없었다.


더군다나 몽골 투그릭화 자체가 개도국 통화 특유의 약체다보니 취급수수료가 날강도 수준이다. (<small>하나은행 기준으로</small> 살 때 16.4% / 팔 때 23%) 사실상 피치못한 사정으로 남겨온 경우, 혹은 급전이 필요한 경우를 위한 정도에나 이용했지, 정식 취급 이후로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몽골 현지로 날라가 환전하는 일이 더 잦았다. 2018년 6월에 중개 금융업체를 통한 협약이 종료됨에 따라 여러 통화가 단종되었는데, 몽골 투그릭도 포함되었다. 시간이 흘러 [[러시아 루블]]이 전쟁 특수로 30~40%라는 스프레드를 얻어맞는 꼴은 못 보게 되었다.
더군다나 몽골 투그릭화 자체가 개도국 통화 특유의 약체다보니 취급수수료가 날강도 수준이다. (<small>하나은행 기준으로</small> 살 때 16.4% / 팔 때 23%) 사실상 피치못한 사정으로 남겨온 경우, 혹은 급전이 필요한 경우를 위한 정도에나 이용했지, 정식 취급 이후로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몽골 현지로 날라가 환전하는 일이 더 잦았다. 2018년 6월에 중개 금융업체를 통한 협약이 종료됨에 따라 여러 통화가 단종되었는데, 몽골 투그릭도 포함되었다. 시간이 흘러 [[러시아 루블]]이 전쟁 특수로 30~40%라는 스프레드를 얻어맞는 꼴은 못 보게 되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