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맛'''은 [[혀]]로 느끼는 감각이다.
'''맛'''은 사람이 [[혀]]로 느끼는 감각이며 단맛, 신맛, 짠맛, 쓴맛 네 가지가 있다. [[매운맛]]은 혀과 느끼는 통증이며 [[떫은맛]]과 같은 경우엔 혀가 느끼는 압력에 해당한다. 즉 매운맛과 떫은맛은 정확하게는 혀의 미각세포가 느끼는 맛이 아닌 것


== 맛을 느끼는 부분 ==
학교에서 과학시간에 혀는 부위별로 느끼는 맛이 다르다고 배웠을 텐데 후에 이는 사실이 아니라고 새로 배웠을 것이다. 즉 혀의 부위에 따른 맛의 차이는 없으며 이는 충분한 연구가 행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히 내린 결론이라고 알고 있지만 혀 지도가 부분적으로는 맞다고 한다. 혀 지도는 [[1901년]]에 발표된 독일의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었지만, Harvard 대학의 영향력 있는 심리학자인 Edwin Boring이 그것을 잘못 번역하였다. 원래의 연구가 보여준 것은 인간의 혀에는 서로 다른 맛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민감한 부위가 있다는 것이었으나, 그의 번역은 각각의 맛이 한 부위에서만 느껴질 수 있다고 하였다. [[1974년]]에야 비로소 또 다른 미국인 과학자인 Dr. Virginia Collings가 원래의 이론을 재검토하였다. 그녀는 비록 네 가지 주요 맛에 대한 민감도가 혀의 전 부위에 걸쳐 정말 다르지만 그것의 정도는 미미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ref>해당 문서의 출처는 [[2014년]] 고3 [[10월]] 교육청 모의고사 36번의 지문을 편집한 것이다</ref>
== 맛의 종류 ==
== 맛의 종류 ==
○표시는 실제로 맛이 아닌 것을 나타냄.
○표시는 실제로 맛이 아닌 것을 나타냄.
14번째 줄: 16번째 줄:
=== 신맛 ===
=== 신맛 ===
일반적으로는 [[식초]]나 [[레몬]]맛을 말한다. 실제로 식초나 레몬이 신맛이 난다. 어떤 맛인지 궁금하다면 직접 한 번 먹어보자. 신맛이 나는 음식은 보통 [[산성]]을 띤다. [[김치]]같은 [[발효음식]]에서도 신맛이 난다.
일반적으로는 [[식초]]나 [[레몬]]맛을 말한다. 실제로 식초나 레몬이 신맛이 난다. 어떤 맛인지 궁금하다면 직접 한 번 먹어보자. 신맛이 나는 음식은 보통 [[산성]]을 띤다. [[김치]]같은 [[발효음식]]에서도 신맛이 난다.
유기물이 부패하면 신맛을 낸다.그래서 상한 음식에서는 신맛과 냄새가 난다.쓴맛과 더불어 인류가 해로운 것을 피하기 위해 발달시킨 미각이다.
그렇지만, 기호에 따라 쓴맛을 즐기는 것처럼 신맛을 즐기기도 한다.


=== 짠맛 ===
=== 짠맛 ===
25번째 줄: 23번째 줄:


=== 쓴맛 ===
=== 쓴맛 ===
인류가 기피하는 맛. 애초에 쓴맛을 발달시킨게, 해로운 독초가 대부분 쓴맛을 내기 때문에 쓴맛 = 해로운 것이라는 매커니즘이 본능적으로 박혀있기 때문이다.그렇기 때문에 쓴맛은 거의 대부분 싫어한다.
일반적으로는 [[커피]]나 약을 먹을 때 쓴맛이 난다고 한다. 실제로 [[커피]]나 약이 쓴 맛이 나는 경우가 많다. 어떤 맛인지 궁금하면 커피를 아메리카노나 에스프레소를 먹어보자.
일반적으로는 [[커피]]나 약을 먹을 때 쓴맛이 난다고 한다. 실제로 [[커피]]나 약이 쓴 맛이 나는 경우가 많다. 어떤 맛인지 궁금하면 커피를 아메리카노나 에스프레소를 먹어보자.


어른의 기호품인 [[술]], [[담배]] 역시 쓴맛을 낸다.
어른의 기호품인 [[술]], [[담배]] 역시 쓴맛을 낸다.


어린 아이들은 쓴맛에 대한 민감도가 어른보다 더 높다. 때문에 채식을 잘 하지 못하고 나물이나 풀 등을 먹을 때 쓴맛을 더 강하게 느낀다. 어른들은 그걸 모르고 편식하냐며 괜히 애들을 갈군다.
어린 아이들은 쓴맛에 대한 민감도가 어른보다 더 높다. 때문에 채식을 잘 하지 못하고 나물이나 풀 등을 먹을 때 쓴맛을 더 강하게 느낀다. 어른들은 그걸 모르고 편식하냐며 괜히 애들을 갈구기도.


=== ○매운맛 ===
=== ○매운맛 ===
37번째 줄: 33번째 줄:


=== ○떫은맛 ===
=== ○떫은맛 ===
혀에 있는 부드러운 막이 오그라드는 느낌. 맛으로 오인되는 혀의 감각이다. 떫은 맛은 실제로 압각이다. 한자어로는 삽미(澁味)라고 부른다.
보리수, 감, 금속 등에서 느낄 수 있다.
=== 감칠맛 ===
=== 감칠맛 ===
Umami<ref>정식 명칭이 '우마미(旨味)'이다.</ref> (Savory Taste). 기존에 통용되던 네 가지 맛으로는 표현할 수 없던 '''5번째 맛'''으로서 새로 추가된 맛의 종류이다. 대개 분해된 단백질(글루탐산)에서 나오는 맛인지라 발효음식에서 주로 이 맛이 강하게 나며, 그 자체적인 맛은 기존 4미(味) 중에선 짭짤함에 가깝고, 이와 별개로 향(香)분자의 자극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향미증진제로 이용하기 위해 우마미만을 추출하여 만든 조미료가 다름 아닌 '''[[MSG]]'''.
Umami<ref>정식 명칭이 '우마미(旨味)'이다.</ref> (Savory Taste). 기존에 통용되던 네 가지 맛으로는 표현할 수 없던 '''5번째 맛'''으로서 새로 추가된 맛의 종류이다. 대개 분해된 단백질(글루탐산)에서 나오는 맛인지라 발효음식에서 주로 이 맛이 강하게 나며, 그 자체적인 맛은 기존 4미(味) 중에선 짭짤함에 가깝고, 이와 별개로 향(香)분자의 자극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향미증진제로 이용하기 위해 우마미만을 추출하여 만든 조미료가 다름 아닌 '''[[MSG]]'''.
52번째 줄: 44번째 줄:


== 어디에서 느끼나? ==
== 어디에서 느끼나? ==
혀의 표면에는 맛봉오리(taste buds, 미뢰)가 있어서 이곳에서 맛을 느끼게 된다.
혀의 표면에는 맛봉오리(taste buds)가 있어서 이곳에서 맛을 느끼게 된다.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