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축통화: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기축통화'''(key currency)는 여러 국가의 암묵적 동의 하에 국제 거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통화]]이다. 기축통화라는 표현은 1960년대 미국 예일 대학의 로베르 트리팽(Robert Triffin. 벨기에 인이지만 미국에서 오래 지내다 보니 영어식 독음인 '로버트 트리핀'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이 처음으로 사용하였다.<ref>[http://www.bokeducation.or.kr/common/popup/ecoDictionaryView.do?schInit=%EA%B0%80&seq=1408 경제용어 상세설명], [[한국은행]].</ref>
'''기축통화'''(Key Currency)는 여러 국가의 암묵적 동의 하에 국제 거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통화]]이다. 기축통화라는 표현은 1960년대 미국 예일 대학의 로베르 트리팽(Robert Triffin. 벨기에 인이지만 미국에서 오래 지내다 보니 영어식 독음인 '로버트 트리핀'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이 처음으로 사용하였다.<ref>[http://www.bokeducation.or.kr/common/popup/ecoDictionaryView.do?schInit=%EA%B0%80&seq=1408 경제용어 상세설명], 한국은행</ref>


기축통화란 어느어느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이리 쓰자고 정해 주는 것처럼 오해하기 쉬우나, 국제 거래에서 널리 쓰이게 된다면 기축통화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시대에 따라 기축통화가 종종 바뀌곤 하는데, 예전에는 [[금]]·[[은]] 등의 귀금속이나 지역의 패권을 장악한 국가의 통화를 사용하였다. 이후 제국주의 시대에는 각 제국 열강의 화폐가 기축통화로 사용되었다. 대표적으로 제국주의 초창기 스페인 탈러 은화가 있겠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미국 달러]]와 [[파운드 스털링]] 따위가 기축통화 구실을 하고 있다.
기축통화란 어느어느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이리 쓰자고 정해 주는 것처럼 오해하기 쉬우나, 국제 거래에서 널리 쓰이게 된다면 기축통화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시대에 따라 기축통화가 종종 바뀌곤 하는데, 예전에는 [[금]]·[[은]] 등의 귀금속이나 지역의 패권을 장악한 국가의 통화를 사용하였다. 이후 제국주의 시대에는 각 제국 열강의 화폐가 기축통화로 사용되었다. 대표적으로 제국주의 초창기 스페인 탈러 은화가 있겠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미국 달러]]와 [[파운드 스털링]] 따위가 기축통화 구실을 하고 있다.


다만, 미국 달러는 조금 예외적인 방법으로 기축통화가 되었는 데, 2차 대전 이후 연합국이 모인 금융회의에서 브레튼우즈 체제가 성립하면서 미국이 [[금본위제]]로 달러의 가치를 고정시켜 놓고, 달러에 다른 화폐의 환율을 고정시키는 식으로 이뤄졌기 때문. 물론 이는 60~70년대를 지나면서 금본위제와 고정환율제도가 깨져서 현재와 같은 상황이 되었지만<ref>[https://news.joins.com/article/22042017 기축통화(key currency)], 중앙일보, 2017.10.24.</ref> , 기축통화를 선점한 달러가 그 지위를 뺏기는 일이 벌어지진 않았다. [[유로화]]나 [[중국 위안|위안화]]가 그 아성에 도전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
미국 달러는 조금 예외적인 방법으로 기축통화가 되었는데, 2차 대전 이후 연합국이 모인 금융회의에서 브레튼우즈 체제가 성립하면서 미국이 [[금본위제]]로 달러의 가치를 고정시켜 놓고, 달러에 다른 화폐의 환율을 고정시키는 식으로 이뤄졌기 때문. 물론 60~70년대를 지나면서 달러 위기와 닉슨 쇼크로 인해 금본위제와 고정환율제도가 깨져서 현재와 같은 상황이 되었지만<ref>[https://news.joins.com/article/22042017 기축통화(key currency)], 중앙일보, 2017.10.24.</ref>, 기축통화를 선점한 달러가 그 지위를 뺏기는 일이 벌어지진 않았다. [[유로화]]나 [[중국 위안|위안화]]가 그 아성에 도전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
 
자기 화폐가 기축통화가 되면 좋겠다고 일반인들은 많이들 생각하겠지만, 해당국의 경제 당국에게는 상당히 골치가 아픈 문제가 된다. 나라 밖에서도 해당국의 통화를 쓸 수 있다는 건 일단 그 통화가 국외로 빠져나가야 한다는 얘기이니 무역수지가 항상 적자가 되어 서류상으로 보기 껄끄럽고, 기축통화가 될 정도라면 유출 규모도 어마어마하다. 보통 국가면 인플레이션을 각오해야 할 정도인데 심지어 그걸 통제도 못 하게 되니 부담도 그런 부담이 없다. 그렇다고 국내의 경기 부양책으로 정부가 화폐를 뿌려대자니 기축통화로서의 신뢰도가 급하락한다. 굳이 말하자면, 기축통화가 좋은 게 아니라 기축통화 지위를 차지할 만큼 경제가 좋다고 봐야 할 것이다.
{{각주}}
{{각주}}
[[분류:국제경제학]]
[[분류:국제경제학]]
[[분류:화폐]]
[[분류:화폐]]

2020년 5월 3일 (일) 15:21 기준 최신판

기축통화(Key Currency)는 여러 국가의 암묵적 동의 하에 국제 거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통화이다. 기축통화라는 표현은 1960년대 미국 예일 대학의 로베르 트리팽(Robert Triffin. 벨기에 인이지만 미국에서 오래 지내다 보니 영어식 독음인 '로버트 트리핀'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이 처음으로 사용하였다.[1]

기축통화란 어느어느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이리 쓰자고 정해 주는 것처럼 오해하기 쉬우나, 국제 거래에서 널리 쓰이게 된다면 기축통화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시대에 따라 기축통화가 종종 바뀌곤 하는데, 예전에는 · 등의 귀금속이나 지역의 패권을 장악한 국가의 통화를 사용하였다. 이후 제국주의 시대에는 각 제국 열강의 화폐가 기축통화로 사용되었다. 대표적으로 제국주의 초창기 스페인 탈러 은화가 있겠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미국 달러파운드 스털링 따위가 기축통화 구실을 하고 있다.

미국 달러는 조금 예외적인 방법으로 기축통화가 되었는데, 2차 대전 이후 연합국이 모인 금융회의에서 브레튼우즈 체제가 성립하면서 미국이 금본위제로 달러의 가치를 고정시켜 놓고, 달러에 다른 화폐의 환율을 고정시키는 식으로 이뤄졌기 때문. 물론 60~70년대를 지나면서 달러 위기와 닉슨 쇼크로 인해 금본위제와 고정환율제도가 깨져서 현재와 같은 상황이 되었지만[2], 기축통화를 선점한 달러가 그 지위를 뺏기는 일이 벌어지진 않았다. 유로화위안화가 그 아성에 도전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

자기 화폐가 기축통화가 되면 좋겠다고 일반인들은 많이들 생각하겠지만, 해당국의 경제 당국에게는 상당히 골치가 아픈 문제가 된다. 나라 밖에서도 해당국의 통화를 쓸 수 있다는 건 일단 그 통화가 국외로 빠져나가야 한다는 얘기이니 무역수지가 항상 적자가 되어 서류상으로 보기 껄끄럽고, 기축통화가 될 정도라면 유출 규모도 어마어마하다. 보통 국가면 인플레이션을 각오해야 할 정도인데 심지어 그걸 통제도 못 하게 되니 부담도 그런 부담이 없다. 그렇다고 국내의 경기 부양책으로 정부가 화폐를 뿌려대자니 기축통화로서의 신뢰도가 급하락한다. 굳이 말하자면, 기축통화가 좋은 게 아니라 기축통화 지위를 차지할 만큼 경제가 좋다고 봐야 할 것이다.

각주

  1. 경제용어 상세설명, 한국은행
  2. 기축통화(key currency), 중앙일보, 2017.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