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Inmate showers in Old Central Prison (State Prison), Raleigh, NC, in cell block, no date (c.1950-1960s); copied courtesy Keith Acree, NC Department of Corrections. State Archives of North Carolina, (28891475665).jpg|thumb]]
[[File:Inmate_showers_in_Old_Central_Prison_(State_Prison),_Raleigh,_NC,_in_cell_block,_no_date_(c.1950-1960s);_copied_courtesy_Keith_Acree,_NC_Department_of_Corrections._State_Archives_of_North_Carolina,_(28891475665).jpg|thumb]]
矯導所 / {{영어|Prison}}
矯導所 / {{llang|en|Prison}}


== 개요 ==
== 개요 ==
10번째 줄: 10번째 줄:
교도소와 유사한 시설로서 '구치소'가 별도로 존재하는데, 이 곳은 재판이 시작되기 전인 [[피의자]] 혹은 재판 중인 [[피고인]] 중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법원이 이를 허가한 미결수들을 판결이 내려질 때까지 수용하는 구금 시설을 의미한다. [[무죄추정의 원칙]]에 따라 최종적인 판결이 내려지기 전까지는 미결수 신분을 유지하기 때문에 형벌을 집행하는 교도소가 아닌 구치소에 임시로 수용하는 것. 재판 결과에 따라 징역, 금고 등 자유형이 내려지면 교도소로 이감되며, 무죄 혹은 집행유예를 선고받는 경우 그 즉시 구치소에서 출소하게 된다.
교도소와 유사한 시설로서 '구치소'가 별도로 존재하는데, 이 곳은 재판이 시작되기 전인 [[피의자]] 혹은 재판 중인 [[피고인]] 중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법원이 이를 허가한 미결수들을 판결이 내려질 때까지 수용하는 구금 시설을 의미한다. [[무죄추정의 원칙]]에 따라 최종적인 판결이 내려지기 전까지는 미결수 신분을 유지하기 때문에 형벌을 집행하는 교도소가 아닌 구치소에 임시로 수용하는 것. 재판 결과에 따라 징역, 금고 등 자유형이 내려지면 교도소로 이감되며, 무죄 혹은 집행유예를 선고받는 경우 그 즉시 구치소에서 출소하게 된다.


구치소와 관련되어 [[사형수]]의 수용 장소가 거론되는데, 원칙적으로 [[사형]]은 사형 판결을 받은 수용자를 [[교수형]]에 처하는 집행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형벌을 집행하지 않은 미결수 신분을 유지하기 때문에 구치소에 수감하도록 되어있다. 다만 대한민국은 실질적인 사형 폐지 국가로 보는 편<ref>[[문민정부]] 막바지인 [[1997년]] [[12월 30일]] 집행을 마지막으로 {{현재년}}년 현재까지 약 20년이 넘는 세월동안 단 1건의 사형 집행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기간동안 10명 가량의 사형수가 자연사 혹은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ref>이고, 구치소와 교도소 할 것 없이 [[혐오시설]]로 분류되어 규모를 확장하거나 새로운 교정시설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 등 부담이 따르는 현실상 사형수도 기결수에 준하도록 법을 개정하여 [[고등법원]]이 설치된 지역의 교도소에 사형수들을 분산하여 수용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고등법원은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수원에 설치되어 있는데 해당 지역의 구치소와 교도소에는 사형수를 수감하고 사형 집행이 이뤄질 것에 대비하여 [[교수형]]을 집행할 수 있는 별도의 형장이 설치된다. 현재 사형장이 있는 교도소(구치소)는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5곳으로 알려져 있다.<ref>[http://weekly.hankooki.com/whan/200106/w2001062115124361510.htm 사형수와 사형제도 '형장의 이슬' 대기자 사형수], 주간한국, 2001.6.21.</ref> 신축이전 중인 대구교도소의 경우, 신축건물의 사형장의 설치 여부는 2016년 기준으로 불분명하다.<ref>[http://m.imaeil.com/view/m/?news_id=13381&yy=2016 올 여름 이전되는 대구교도소, 사형장 설치 여부는 묵묵부답], 매일신문, 2016.3.13.</ref> 한편 사형이 선고된 흉악범을 집중관리하기 위해 청송교도소에 사형장을 세우는 방안이 한때 검토되었으나, 주민반발로 백지화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2189741 “청송 '사형장' 신설 계획 백지화”],
구치소와 관련되어 [[사형수]]의 수용 장소가 거론되는데, 원칙적으로 [[사형]]은 사형 판결을 받은 수용자를 [[교수형]]에 처하는 집행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형벌을 집행하지 않은 미결수 신분을 유지하기 때문에 구치소에 수감하도록 되어있다. 다만 대한민국은 실질적인 사형 폐지 국가로 보는 편<ref>[[문민정부]] 막바지인 [[1997년]] [[12월 30일]] 집행을 마지막으로 {{현재년}}년 현재까지 약 20년이 넘는 세월동안 단 1건의 사형 집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기간동안 10명 가량의 사형수가 자연사 혹은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ref>이고, 구치소와 교도소 할 것 없이 [[혐오시설]]로 분류되어 규모를 확장하거나 새로운 교정시설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 등 부담이 따르는 현실상 사형수도 기결수에 준하도록 법을 개정하여 [[고등법원]]이 설치된 지역의 교도소에 사형수들을 분산하여 수용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고등법원은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수원에 설치되어 있는데 해당 지역의 구치소와 교도소에는 사형수를 수감하고 사형 집행이 이뤄질 것에 대비하여 [[교수형]]을 집행할 수 있는 별도의 형장이 설치된다. 현재 사형장이 있는 교도소(구치소)는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5곳으로 알려져 있다.<ref>[http://weekly.hankooki.com/whan/200106/w2001062115124361510.htm 사형수와 사형제도 '형장의 이슬' 대기자 사형수], 주간한국, 2001.6.21.</ref> 신축이전 중인 대구교도소의 경우, 신축건물의 사형장의 설치 여부는 2016년 기준으로 불분명하다.<ref>[http://m.imaeil.com/view/m/?news_id=13381&yy=2016 올 여름 이전되는 대구교도소, 사형장 설치 여부는 묵묵부답], 매일신문, 2016.3.13.</ref> 한편 사형이 선고된 흉악범을 집중관리하기 위해 청송교도소에 사형장을 세우는 방안이 한때 검토되었으나, 주민반발로 백지화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2189741 “청송 '사형장' 신설 계획 백지화”],
  세계일보, 2010.10.06.</ref>
  세계일보, 2010.10.06.</ref>


16번째 줄: 16번째 줄:


== 생활 ==
== 생활 ==
교도소 수용자들은 신체적 자유를 박탈당하는 형벌이 내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철저히 정해진 시간표대로 일과를 진행한다.<del>[[데카르트 샤먼|모 순수종 이노베이터]]의 증언 (?) 에 따르면 [[자위]]도 마음대로 못하는 군 시설 보단 나은 듯하다.</del> 사실상 군대의 일과와 별반 다르지 않지만, 결정적으로 군대는 그래도 일과 시간 이후에 개인정비 등 자유가 주어지지만, 교도소는 개인의 자유가 극히 제한된다는 점이다.
교도소 수용자들은 신체적 자유를 박탁당하는 형벌이 내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철저히 정해진 시간표대로 일과를 진행한다.<del>[[데카르트 샤먼|모 순수종 이노베이터]]의 증언 (?) 에 따르면 [[자위]]도 마음대로 못하는 군 시설 보단 나은 듯하다.</del> 사실상 군대의 일과와 별반 다르지 않지만, 결정적으로 군대는 그래도 일과 시간 이후에 개인정비 등 자유가 주어지지만, 교도소는 개인의 자유가 극히 제한된다는 점이다.


보통 오전 6시 30분 정도에 기상하여 7시 까지 점검을 하며, 8시 까지 아침식사 및 청소 등을 실시한다. 이후 8시부터 12시까지 [[노역장|노역]], 운동, 직업훈련, 교육 등의 일과를 수행하고, 13시까지 점심시간을 가지며, 14시부터 17시까지 오후 일과를 진행한다. 17시 30분부터 18시 30분까지 저녁식사 및 점검을 하고, 18시 30분부터 21시까지 TV시청<ref>물론 재소자들이 자유롭게 채널을 선택할 수 없고 방송되는 내용들도 철저히 자극적인 컨텐츠는 사전에 검열하여 편집한 상태로 내보내며, 주로 뉴스, 종교, 교화 등의 내용이 방송된다.</ref>, 독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21시에 일괄소등 후 취침한다. 식사의 경우 재소자들이 순번을 정하거나 자원을 받아 취사 지원을 나가고, 식사를 각 방에 넣어주는 역할을 분담한다. 식사는 큰 통에 담겨서 각 방으로 배급되며 이를 각 수용자들이 개인 식기에 나눠서 먹는 구조이다.
보통 오전 6시 30분 정도에 기상하여 7시 까지 점검을 하며, 8시 까지 아침식사 및 청소 등을 실시한다. 이후 8시부터 12시까지 [[노역장|노역]], 운동, 직업훈련, 교육 등의 일과를 수행하고, 13시까지 점심시간을 가지며, 14시부터 17시까지 오후 일과를 진행한다. 17시 30분부터 18시 30분까지 저녁식사 및 점검을 하고, 18시 30분부터 21시까지 TV시청<ref>물론 재소자들이 자유롭게 채널을 선택할 수 없고 방송되는 내용들도 철저히 자극적인 컨텐츠는 사전에 검열하여 편집한 상태로 내보내며, 주로 뉴스, 종교, 교화 등의 내용이 방송된다.</ref>, 독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21시에 일괄소등 후 취침한다. 식사의 경우 재소자들이 순번을 정하거나 자원을 받아 취사 지원을 나가고, 식사를 각 방에 넣어주는 역할을 분담한다. 식사는 큰 통에 담겨서 각 방으로 배급되며 이를 각 수용자들이 개인 식기에 나눠서 먹는 구조이다.
36번째 줄: 36번째 줄:
교도소는 교도소, 구치소, 특수교도소, 국군교도소, 민영교도소, 여성교도소로 분리되어 있다.
교도소는 교도소, 구치소, 특수교도소, 국군교도소, 민영교도소, 여성교도소로 분리되어 있다.
* 특수교도소
* 특수교도소
*: 직업집체훈련(경북·화성), 중경비(경북북부 제2)<ref>구 청송교도소.</ref>, 소년(김천), 외국인수용(천안) 등 특정 기능에 특화된 교도소를 말한다. 일반 교도소에도 특수 수용동을 설치하여 일부 수용하고 있으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집중화한 것이다.
*: 직업집체훈련(경북·화성), 중경비(경북북부 제2), 소년(김천), 외국인수용(천안) 등 특정 기능에 특화된 교도소를 말한다. 일반 교도소에도 특수 수용동을 설치하여 일부 수용하고 있으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집중화한 것이다.
 
* [[국군교도소]]
* [[국군교도소]]
*: 현역 군인 및 군무원의 형을 집행하기 위해 군이 운영하는 교도소이다. 3군에서 [[헌병]]이 차출되어 교정원으로 근무한다.
*: 현역 군인 및 군무원의 형을 집행하기 위해 군이 운영하는 교도소이다. 3군에서 [[헌병]]이 차출되어 교정원으로 근무한다.
* 민영교도소
* 민영교도소
*: 교도부처 대신 민간 법인에서 운영하는 교도소이다. 한국에는 소망교도소 1개소만 있다.
*: 교도부처 대신 민간 법인에서 운영하는 교도소이다. 한국에는 소망교도소 1개소만 있다.
* 여자교도소
* 여자교도소
*: 여성 수감자를 수용하는 교도소를 말한다. 한국에서는 청주여자교도소가 운영중이며, 장기 수감자들을 청주로 이감하여 수용한다. 미결수나 단기수는 종전대로 구치소 및 교도소에 전용 수감동을 마련하여 수용한다. 여성 수감자의 숫자가 대폭 증가하는 추세여서 화성에 여자교도소를 신축하고 있다.
*: 여성 수감자를 수용하는 교도소를 말한다. 한국에서는 청주여자교도소가 운영중이며, 장기 수감자들을 청주로 이감하여 수용한다. 미결수나 단기수는 종전대로 구치소 및 교도소에 전용 수감동을 마련하여 수용한다. 여성 수감자의 숫자가 대폭 증가하는 추세여서 화성에 여자교도소를 신축하고 있다.
* [[치료감호소]]·사법병동
* [[치료감호소]]·사법병동
*: [[치료감호]] 명령을 받은 경우 치료감호소나 사법병동에 수용된다. 형과 함께 치료감호 명령을 받았다면 치료감호 기간 동안 집행 기간이 소모되므로 교정시설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 [[치료감호]] 명령을 받은 경우 치료감호소나 사법병동에 수용된다. 형과 함께 치료감호 명령을 받았다면 치료감호 기간 동안 집행 기간이 소모되므로 교정시설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53번째 줄: 57번째 줄:
* [[교정직 공무원]]
* [[교정직 공무원]]
* [[정치범 수용소]]
* [[정치범 수용소]]
* [[치료감호]], [[국립법무병원]]
 
{{각주}}
{{각주}}
[[분류:건축물]]
[[분류:건축물]]
[[분류:교정시설]]
[[분류:교정시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