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8번째 줄: 18번째 줄:


== 소개 ==
== 소개 ==
관우는 '''중국에서 가장 널리 알려지고 중국인들에게 가장 많이 숭배받는 삼국지 인물'''이다.
'''관우'''는 중국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삼국지의 인물이다.


오늘날 그의 일생은 소설 [[삼국지연의]]와 민담에 의해서 크게 확대되어 널리 알려졌고 그는 관성제군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신으로서 숭상받고 있다, 즉 중국판 '신이라고 불리는 사나이.' 흔히 관우가 삼국지연의에 의해 명성을 얻었다는 얘기가 나오긴 하나 이미 당나라 무성왕묘에 관우는 역대 명장 반열에 들었다.<ref>당나라 시기 무성왕 묘에 든 장수들은 다음과 같다. 백기, 한신, 제갈량, 이정, 이적, 장량,  전양저(사마양저), 손무(손자), 오기, 악의,  범려, 손빈, 염파, 왕전, 조참, 주발, 이광, 곽거병, 등우, 가복, 구순, 마원, 황보숭, 장료, 관우, 주유, 육손, 양호, 왕준, 사현, 모용각, 단도제, 왕승변, 모용소종, 우문헌, 한금호, 사만세, 위지경덕, 소정방, 장인단, 왕준, 왕효걸, 관중, 전단, 조사, 이목, 팽월, 주아부, 위청, 조충국, 오한, 풍이, 경감, 단경, 등애, 장비, 여몽, 육항, 두예, 도간, 왕맹, 장손숭, 왕진악, 오명철, 곡율광, 우근, 위효관, 양소, 하약필, 이효공, 배행검, 곽원진, 장제구, 곽자의</ref> 관우가 왕, 진군 소리 붙은건 이미 송원나라때부터였고 [[삼국지연의]]는 원말명초 소설이다. 한나라 이후 전장에서 용맹한 자에겐 관우장비의 용맹(漢以後稱勇者必推關張)이라는 명칭을 붙였다고 청나라 시대 역사학자 조익은 전한다.
오늘날 그의 일생은 소설 [[삼국지연의]]와 민담에 의해서 크게 확대되어 널리 알려졌고 그는 관성제군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신으로서 숭상받고 있다, 즉 중국판 '신이라고 불리는 사나이.' 흔히 관우가 삼국지연의에 의해 명성을 얻었다는 얘기가 나오긴 하나 이미 당나라 무성왕묘에 관우는 역대 명장 반열에 들었다.<ref>당나라 시기 무성왕 묘에 든 장수들은 다음과 같다. 백기, 한신, 제갈량, 이정, 이적, 장량,  전양저(사마양저), 손무(손자), 오기, 악의,  범려, 손빈, 염파, 왕전, 조참, 주발, 이광, 곽거병, 등우, 가복, 구순, 마원, 황보숭, 장료, 관우, 주유, 육손, 양호, 왕준, 사현, 모용각, 단도제, 왕승변, 모용소종, 우문헌, 한금호, 사만세, 위지경덕, 소정방, 장인단, 왕준, 왕효걸, 관중, 전단, 조사, 이목, 팽월, 주아부, 위청, 조충국, 오한, 풍이, 경감, 단경, 등애, 장비, 여몽, 육항, 두예, 도간, 왕맹, 장손숭, 왕진악, 오명철, 곡율광, 우근, 위효관, 양소, 하약필, 이효공, 배행검, 곽원진, 장제구, 곽자의</ref> 관우가 왕, 진군 소리 붙은건 이미 송원나라때부터였고 [[삼국지연의]]는 원말명초 소설이다. 한나라 이후 전장에서 용맹한 자에겐 관우장비의 용맹(漢以後稱勇者必推關張)이라는 명칭을 붙였다고 청나라 시대 역사학자 조익은 전한다.


관우는 송나라때 왕, 진군 소리를 듣기 시작했으며 명청때는 황제의 시호를 받았다. 청나라 옹정제 때는 아예 전국 각지에 관묘를 세울 것을 지시해서 공자의 제사와 같이 본다, 가을에 성대히 문무백관이 참석한 가운데 제사를 행하고 관우를 주신으로 국가적인 제사가 행해지기 시작했다. 한국의 경우엔 임진왜란 당시 들어온 관제묘가 몇 개 세워져 있고 몇몇 무속신앙등이나 토속 종교에서도 관우를 신으로 섬기는 곳이 있다. 중국에서 관우는 신으로 추앙받고 아예 관우라고 불리지도 않고 '관제'(關帝), '관공'(關公)으로만 불린다.
관우는 송나라때 왕, 진군 소리를 듣기 시작했으며 명청때는 황제의 시호를 받았다. 청나라 옹정제 때는 아예 전국 각지에 관묘를 세울 것을 지시해서 공자의 제사와 같이 본다, 가을에 성대히 문무백관이 참석한 가운데 제사를 행하고 관우를 주신으로 국가적인 제사가 행해지기 시작했다. 한국의 경우엔 임진왜란 당시 들어온 관제묘가 몇 개 세워져 있고 몇몇 무속신앙등이나 토속 종교에서도 관우를 신으로 섬기는 곳이 있다. 중국에서 관우는 신으로 추앙받고 아예 관우라고 불리지도 않고 관제, 관공으로만 불린다.


== 생애 ==
== 생애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