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원여객

부천토끼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4월 19일 (일) 21:22 판 (새 문서: == 안산시 시내버스 === === 개요 === 1979년 12월 소신여객의 반월,안양 영업소가 분리되어 나왔으며, 분리 당시에는 안양시 면허로 운행했...)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안산시 시내버스 =

개요

1979년 12월 소신여객의 반월,안양 영업소가 분리되어 나왔으며, 분리 당시에는 안양시 면허로 운행했으나, 1980년대 후반엔 안산시 면허로 변경하여 운행중이다. 일반좌석노선에 투입된 고급형 차량의 상당수가 직행좌석 도색을 하고 운행되고 있다. 수원여객과 마찬가지로 예비차를 많이 사용하나, 수원여객보다는 덜하다. 계열사로는 시흥교통이 있다. 경원여객은 정속/저속주행을 생활화하고 있어, 110번의 경우 경쟁노선이 사고가 발생하는 반면, 110번은 사고가 하나도 나지 않았다.

시내일반 노선

굵은글씨는 안산시 구간을 전혀 걸치지 않는다.

  • 1(반월공단-부천소풍)
  • 1-1
  • 2-1
  • 3-1
  • 4-1
  • 5(반월공단-신길동-거모동-반월공단)
  • 6-1
  • 8-1
  • 10
  • 30(시화공단-월피동)
  • 30-2(오이도-안산동)
  • 30-7(연성지구-월피동. 안내방송은 태화상운과 동일하다.)
  • 31-7(수리산역-부천역)
  • 32(호계동-호구포역)
  • 33
  • 33-1
  • 33-2
  • 35(호계동-중앙역)
  • 38(매화동-부천역)
  • 52(반월공단-본오아파트)
  • 55(시화단지-본오동)
  • 61(반월공단-부천소풍)
  • 62(본오동-오이도역)
  • 70
  • 76
  • 77
  • 88
  • 98(시화단지-본오동)
  • 99(스틸랜드-반월동)
  • 101(반월공단-본오동)
  • 300(중앙역-대부도)
  • 314
  • 350(호계동-오이도)
  • 500(고잔역-시화MTV)
  • 501(반월공단-반월공단. 순환버스.)
  • 511(반월공단-본오동)

좌석버스 노선

(굵은글씨는 직행좌석,경기순환.)

  • 110(선부동-수원역)
  • 301(본오동-여의도)
  • 320(반월공단-여의도)
  • 3100(고잔신도시-강남역)
  • 3101(고잔신도시-강남역)
  • 5601 (반월공단-여의도)
  • 8407(군포-킨텍스. 경기순환)

광역급행

  • M5609(자유센타-여의도)
  • M6410(논현단지-강남역)

경남 시외버스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시외버스 회사. 경원고속이라고도 한다. 전 차량을 기아자동차로만 출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