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게임

Unter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8월 18일 (금) 10:22 판 (Unter님이 고전게임 문서를 고전 게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띄어쓰기!)

old school game/retro game

개요

게임 역사가 50년도 안돼긴 했지만, 최신 게임에 비해 비교적 오래된 게임을 뜻한다. 보통 도트 그래픽, 조악한 3D 그래픽 등을 포함한다. 정의가 몹시 애매하기 때문에 '발매되면 고전 게임', '출시 정보 나오면 고전게임' 등의 농담을 하기도 한다.

특징

  • 높은 자유도와 불친절함. 퀘스트 마커에 NPC들이 브리핑으로 온갖 도움을 주는 최신게임과는 다르게 선형 게임이든 비선형 게임이든 고전게임은 플레이어를 맵 한복판에 던져넣고는 아무런 힌트도 주지 않는다.
  • 낮은 그래픽 품질. 소설이나 영화에 비해 게임은 같은 게임이라도 그래픽 때문에 과거에 경험했던 사람과 현재 경험했던 사람의 체험 격차가 클 수 밖에 없다. 하프라이프 1편이 명작이었더라도 고전게임에 관심없는 현대 게이머들에게 준다면 예전보다는 확실히 못한 평가를 받을 것이다.
  • 불편한 키 세팅 : FPS를 예로 들자면 WASD식 세팅이 본격적으로 정착된건 하프라이프 1편부터이다. 예전 게임들을 해보면 WAXD 등 불편할 법한 세팅을 달고 나온다. PC게임이라면 그나마 단축키를 변경할 수 있어서 다행.
  • 저사양 : 그래픽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그만큼 컴퓨터에 부담이 덜 간다. 노트북에서도 얼마든지 3D 고전게임들을 돌릴 수 있다.
  • 풍성한 내용물 : 현대 게임에 비해 비교적 게임 플레이타임이 길며, 확장팩 내용도 평균적으로 DLC보다 많다.
  • 높은 난이도 : 현대 게임에 비해 비교적 난이도가 높다. 굳이 마계촌이나 닌자 용검전같은 어려운 게임이 아니더라도 그렇다. 예를 들어 스타워즈 최신작과 고전작을 플레이해보고 비교해보면 엄청난 차이가 난다.

구하는 법

대형 게임 회사 고전 게임이라면 스팀(플랫폼), GOG 등에서 비교적 쉽게 게임을 찾을 수 있지만, 판권 분쟁이 있는 게임(써틴 등)이거나 비교적 덜 유명한 서드 파티 콘솔 게임이라면 중고말고는 답이 없다. 일본이나 미국에서는 고전 게임기를 구매할 수 있는 시장이 많지만, 한국에는 그 수가 매우 적다. 아마존 등 해외 직구 사이트에서 게임기와 게임팩들을 찾아보자. 일본어와 영어로 검색하는것을 추천.

중고 매물은 대부분 웃돈을 받기 때문에 수집이 너무 힘들다면 대체재를 찾아보는것도 좋다. 소닉 매니아같은 레트로풍 AAA게임이나 고전 감성으로 만들어진 인디 게임들이 많이 존재한다. 평가를 좋게 받은 게임을 구입해서 플레이한다면 상당한 양질의 경험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