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사

Hwangjy9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5월 17일 (화) 00:16 판

틀:토막글 틀:차별비하

개요

김여사는 운전에 서툰 (중년) 여성 운전자를 비하하는 용어이다.[1][2]

실제로 1990년대 당시에는 여성 운전자를 비하하는 단어로 "솥뚜껑 운전사"라는 말을 쓰거나 "집에서 밥이나 하고 나와"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하였었다. 언론에 '김여사'라는 말이 등장하기 시작한 시기는 2006년 4월 중순으로, 네티즌이 교통을 어지럽게 하는 운전자들의 사진을 게시판에 퍼나르는 '김여사 놀이'를 다루었다.[3][4] 이정복은 용어가 2006년 MBC 개그 프로그램 개그야의 코너 "사모님"으로 인해 전파되었다고 보았으며,[5]:222 시사인 기사는 '김여사'가 2007년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고 본다.[6]

용례

기본적으로 '김여사'는 운전과 관련된 상황에서 많이 등장하나, 운전과 상관없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김기사'와의 대응

'김여사'에 대응되는 남성형 비칭은 '김기사', '김사장' 등이 있으나,[5]:226 용법에서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정복은 '김여사'와 '김기사' 등에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고 본다.

  • 김여사와 김기사의 표현 뒷부분이 각각 '여사'와 '기사'로 비대칭적이다.[5]:220
  • 김여사가 남성형 비칭보다 많이 사용된다.[5]:226
  • 김여사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김기사는 김여사에 의존적이다.[5]:226-227

같이 보기

각주

  1. 정희원. “[우리말 톺아보기] 김 여사”, 《한국일보》, 2015년 7월 7일 작성. 2016년 5월 16일 확인.
  2. 김미영. “아차차, 무심코 썼는데 비하표현이었구나”, 《한겨레》, 2016년 5월 12일 작성. 2016년 5월 16일 확인.
  3. 박은정. “인터넷은 '김여사 놀이'로 시끌”, 《마이데일리》, 2006년 4월 18일 작성. 2016년 5월 16일 확인.
  4. [클릭! 검색어] "성폭행 교주에 당했다" 증언에 충격·분노”, 《데일리한국》, 2006년 4월 25일 작성. 2016년 5월 16일 확인.
  5. 5.0 5.1 5.2 5.3 5.4 이정복 (2010년). 인터넷 통신 공간의 여성 비하적 지시 표현. 《사회언어학》 18 (2).
  6. 임지영. “<개콘> 정여사의 끈질긴 ‘여성 혐오’”, 《시사인》, 2012년 10월 19일 작성. 2016년 5월 16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