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 에스쿠도

Jks84562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10월 29일 (목) 04:19 판 (나무위키 편집자 본인입니다. (해당 역사 중 맞춤법 수정은 다른 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포르투갈어 : Escudo português (이쉬쿠두[1] 푸르투게쉬)

포르투갈과 그 해외주(마데이라, 아조레스)에서 2001년(혹은 1998년)까지 사용하던 통화로, 에스쿠도화의 대표였었다. ISO 4217코드는 PTE. 최종 인플레이션은 2.8%, 대 유로비값은 200.482에스쿠도/EUR, 그러니까 에스쿠도당 7원정도였다. 보조단위는 센타보를 사용하였는데, 최종 환율을 보더라도 알 수 있듯 가치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바람에 1990년까지만 쓰고 폐기되었다.

기호는 S에 세로선 2개를 그어놓은 . 분명히 $와는 다르지만 자판에 인식이 되지 않을 경우는 그냥 $를 쓰기도 한다. (본 문서에서도 편의상 $라고 쓴다.)[2] 다만 표기법이 다소 독특한데, $의 앞에는 고액단위가, 뒤에는 보조단위가 들어간다. 예를들어 125$25라면 125에스쿠도 25센타보.

전신은 포르투갈 헤이쉬(réis)인데 1910년 민주화 혁명으로 나라가 갈아엎어지기 전에 쓰여진 단위다. 교환비는 1,000헤이쉬 = 1에스쿠도이다.

본토 통화

본래 포르투갈 에스쿠도의 시리즈 구분은 통합적으로 다루기 보다는 각 액면의 등장순서에 맞춰서 ch.0 (Chapa)과 같은 형태로 표기하기 때문에 분류하는 사람들에 따라서는 다소 견해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다.

1913 ~ 1923

(표10)

1920 ~ 1928

(표9)

1922 ~ 1926

(표8)

1927 ~ 1940

(표7)

1935 ~ 1957

(표6)

1947 ~ 1961

(표5)

  • 50, 100 및 1,000에스쿠도는 기존판형이 따로 존재한다.

1964 ~ 1979

(표4)

(1968 ~ 1985)

(표3)

(1986 ~ 1994)

(표2)

  • 이 당시 동전은 0.50(50센타보), 1, 2.50(2½에스쿠도), 5, 10, 20, 50에스쿠도화가 유통되고 있었다.

포르투갈의 선원 & 탐험가 시리즈 (최종, 1995)

1995년에 등장하여 2001년까지 쓰여진 시리즈. 동전 7종(1, 5, 10, 20, 50, 100, 200에스쿠도)에 지폐 5종이 쓰여졌다.

(표1)

  • 이 지폐들은 2022년까지 유로화로 교환이 가능하다. (동전은 2002년에 이미 종료)
  • 교환비를 보면 계산 가능한데, 500$ 2장보다 1,000$ 1장이 1센트 비싸고, 1천$ 5장이 5천$ 1장보다 1센트 비싸다. 그리고 1만$짜리 1장보다 1천$ 10장 혹은 2천$ 5장이 2센트 더 비싸다. (...)
  • 이 당시 동전은 1(€.0050), 5(€.0249), 10(€.0499), 20(€.0998), 50(€.2494), 100(€.4988), 200(€.9976)에스쿠도화가 유통되고 있었다. 동전또한 장당 교환값으로 계산했고, 1센트보다 바닥인 경우 그냥 버림 처리를 했다고 한다.

예하 통화

포르투갈 에스쿠도와 예하 에스쿠도는 거의 별개의 통화로서 취급되었지만, 지점을 내놓듯하여 상호교류를 하기도 했다. 그 대표적인 유산이 마카오의 대서양은행(Banco Nacional Ultramarino)이다.

  • 아조레스 헤알
  • 마데이라 헤알
  • 홍콩 파타카
  • 앙골라
  • 모잠비크
  • 티모르 파타카
  • 브라질

이야기거리

  • 유로화로 변경되기 전에는 콘투(Conto)라는 표현을 자주 써왔었는데, 포어로 100만을 의미한다. 이는 100만 헤이즈 = 1,000에스쿠도 = 약 5유로로서 비교적 거래가 손쉬운 점에서 착안, 250, 500과 같은 복잡한 표현보다 반콘투, 쿼터콘투, 둘콘투와 같은 은어를 썼었다. 2013년인 현재는 당연하지만 옛날옛적 이야기.
  1. 이쉬쿠두가 본래 발음이지만 에스쿠도가 이미 정착된 표현이라 본 문서에서도 에스쿠도로 줄곧 표기하도록 한다.
  2. 도리어 반대로 USD, CAD같은 통화를 표기할때 로 잘못쓰는 경우도 더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