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

Chirho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7월 20일 (월) 23:05 판 (새 문서: *六十甲子 ==개요== 10개의 천간(天干, 십간이라고도 한다)과 12개의 지지(地支, 12지라고도 한다)를 조합한 것으로 간지(干支)라고 칭하기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 六十甲子

개요

10개의 천간(天干, 십간이라고도 한다)과 12개의 지지(地支, 12지라고도 한다)를 조합한 것으로 간지(干支)라고 칭하기도 한다. 10개의 간과, 12개의 지를 조합하면 총 60개의 조합이 나오기 때문[1]에 육십갑자라고 부르는 것이며, 줄여서 육갑(六甲)이라고도 한다. 이 육갑이라는 약칭은 욕설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함부로 썼다가는 실컷 두들겨 맞거나 다른 욕을 한바가지 거하게 얻어먹을 수 있을 것이다.

10개의 천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로 구성된다.


12개의 지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한 것은 십이지문서를 참조하자.

목록

갑자 (甲子) 을축 (乙丑) 병인 (丙寅) 정묘 (丁卯) 무진 (戊辰) 기사 (己巳) 경오 (庚午) 신미 (辛未) 임신 (壬申) 계유 (癸酉) 갑술 (甲戌) 을해 (乙亥)
병자 (丙子) 정축 (丁丑) 무인 (戊寅) 기묘 (己卯) 경진 (庚辰) 신사 (辛巳) 임오 (壬午) 계미 (癸未) 갑신 (甲申) 을유 (乙酉) 병술 (丙戌) 정해 (丁亥)
무자 (戊子) 기축 (己丑) 경인 (庚寅) 신묘 (辛卯) 임진 (壬辰) 계사 (癸巳) 갑오 (甲午) 을미 (乙未) 병신 (丙申) 정유 (丁酉) 무술 (戊戌) 기해 (己亥)
경자 (庚子) 신축 (辛丑) 임인 (壬寅) 계묘 (癸卯) 갑진 (甲辰) 을사 (乙巳) 병오 (丙午) 정미 (丁未) 무신 (戊申) 기유 (己酉) 경술 (庚戌) 신해 (辛亥)
임자 (壬子) 계축 (癸丑) 갑인 (甲寅) 을묘 (乙卯) 병진 (丙辰) 정사 (丁巳) 무오 (戊午) 기미 (己未) 경신 (庚申) 신유 (辛酉) 임술 (壬戌) 계해 (癸亥)
  1. 10과 12의 최소공배수가 6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