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닝 하이파워

211.36.132.98 (토론)님의 2022년 6월 11일 (토) 22:44 판 (새 문서: == 설명 == 벨기에의 총기 제조사 FN 에르스탈사의 9mm 파라블럼 구경의 자동권총 이다. 개발자는 총덕들이 들으면 깜놀하는 미국의 존 모...)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설명

벨기에의 총기 제조사 FN 에르스탈사의 9mm 파라블럼 구경의 자동권총 이다. 개발자는 총덕들이 들으면 깜놀하는 미국의 존 모지스 브라우닝이다. 현대 자동권총의 선구격인 모델인데 지금이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총의 장탄수가 13발 이상인게 당연하지만 1930년대의 당시 시대상으로는 장탄수가 13발 이상 되는 자동권총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역사

1914년 새로운 제식권총을 만들어 달라는 프랑스군의 외뢰로 개발에 착수하게 된다. 그가 개발한 M1911도 있긴 했지만 판권이 콜트사로 넘어갔기 때문에 M1911의 디자인을 더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자 M1911의 디자인을 다듬어서 제작하게 된다. M1911에서 갈라져 나온 디자인이라는 얘길 듣고 두 모델을 번갈아 가면서 살펴 본다면 정말 닮은 구석이 많다.

그러나, 1927년 브라우닝이 개발도중 사망하여 그의 유작이 된다. 개발 도중 세상을 떠났기에 정작 그는 완성을 지켜볼 수 없게 되었고 FN의 개발진이 제작을 이어나가 1935년에 초기형이 완성된다. 1929년에 발매할 예정이였으나 경재 대공황으로 인해 늦어진 것이다. 정작 프랑스에선 제식 채용이 되지 못했고 벨기에군이 채용하여 P35 라는 제식명이 부여된다. 이 총도 AK만큼은 아니지만 세계 각국에 퍼져나가서 연합군도 주축군도 서로 하이파워를 들고 겨누는 웃지못할 일도 생겨났다. 그만큼 성능도 뛰어나고 장탄수도 많아서 이 총을 눈여겨본 곳이 많았다는 것이다.

부활

SA35

미국의 스프링필드 아모리가 2021년 10월에 공개한 제품이다. 각인, 리어사이트 디자인, 그립페널 등을 제외하면 오리지널과 가장 가깝게 제작 되어시다.

FN HI POWER

특징

복열 장탄식 권총들은 복열의 특성상 그립부 두께가 두꺼워져서 손에 쥐는 느낌이 굵직하다. 이게 어떤 문제가 생기냐면 손에 쥐었을 때 불편할 뿐만 아니라 쥐고있는 손의 피로도가 빨리 올라가고 손이 작을 경우 심하면 손가락에 방아쇠가 안닿게 된다. 그런데 브라우닝 하이파워는 복열 장탄식 탄창을 사용하고도 그립감미 생각보다 불편하지 않다. 이는 이 제품의 벤치마킹판인 CZ75도 마찬가지.

매거진 세이프티 라는 안전장치를 사용한다. 탄창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머를 당기고 격발하면 해머가 원위치로 돌아오지 않는다. 반드시 탄창을 장착해야 격발이 가능하다. 단점은 세이프티 부품이 방아쇠를 간섭하여 방아쇠압이 높다는 단정이 있다. 이는 세이프티 부품을 갈아내어 간섭을 없에거나 매거진 ㅔ이프티 부품을 제거하면 해결이 가능하고 숙련된 경우면 불편할 정도를 아니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