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도 (수학)

Hwangjy9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6월 19일 (금) 19:10 판 (→‎정의)

틀:학술 틀:토막글

정의

농도(Cardinality)집합론에서 정의되는 개념이다. 만약 유한집합이라면 "농도는 집합의 원소의 개수입니다!"라고 외치고 싶겠지만 잠시만 참자. 농도를 정의할 때는 다른 개념과 달리 "농도는 ...이다"라고 정의하지 않는다. 아래를 보자.

  • 집합 AB가 주어졌을 때, 일대일 대응 [math]\displaystyle{ f:A\to B }[/math]가 존재하면 AB의 농도는 같다 또는 AB는 동등하다(equipotent)고 하고, [math]\displaystyle{ |A|=|B| }[/math]로 나타낸다.
  • 집합 AB가 주어졌을 때, 일대일 함수 [math]\displaystyle{ f:A\to B }[/math]가 존재하면 A의 농도는 B의 농도와 같거나 그보다 작다고 하고, [math]\displaystyle{ |A|\le |B| }[/math]로 나타낸다.
  • 집합 AB가 주어졌을 때, 일대일 함수 [math]\displaystyle{ f:A\to B }[/math]가 존재하지만 일대일 대응 [math]\displaystyle{ g:A\to B }[/math]가 존재하지 않으면 A의 농도는 B보다 작다고 하고, [math]\displaystyle{ |A|\lt |B| }[/math]로 나타낸다.

이 정의가 이해되지 않는가? 간절히 기도하라. 우주가 도와줄 것이다.

성질

임의의 집합 A,B,C에 대해

  1. [math]\displaystyle{ |A|=|A| }[/math]
  2. [math]\displaystyle{ |A|=|B| }[/math]이면 [math]\displaystyle{ |B|=|A| }[/math]이다.
  3. [math]\displaystyle{ |A|=|B| }[/math]이고 [math]\displaystyle{ |B|=|C| }[/math]이면 [math]\displaystyle{ |A|=|C| }[/math]이다.

이고 임의의 집합 A,B,C에 대해

  1. [math]\displaystyle{ |A|\le |A| }[/math]
  2. [math]\displaystyle{ |A|\le |B| }[/math]이고 [math]\displaystyle{ |B|\le |A| }[/math]이면 [math]\displaystyle{ |A|=|B| }[/math]이다. (칸토어-베른슈타인 정리)
  3. [math]\displaystyle{ |A|\le |B| }[/math]이고 [math]\displaystyle{ |B|\le |C| }[/math]이면 [math]\displaystyle{ |A|\le |C| }[/math]이다.

즉, [math]\displaystyle{ =,\le }[/math]는 각각 동치관계, 반순서관계이다.

유한집합과 무한집합

만약 집합 A가 자연수 n과 동등하다면, 즉 [math]\displaystyle{ |S|=n }[/math]이라면 A를 유한집합(finite set)이라 하고 An개의 원소(element)를 가진다고 한다. 만약 A가 유한집합이 아니라면 무한집합(infinite set)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