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틀:사건사고

개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1986년 4월 26일 1시 24분에 소련 우크라이나 SSR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한 폭발에 의한 방사능 누출 사고를 말한다. 이 사고로 발전소에서 누출된 방사성 강하물이 우크라이나 SSR과 벨라루스 SSR, 러시아 SFSR 등에 떨어져 심각한 방사능 오염을 초래했다. 사고 후 소련 정부의 대응 지연에 따라 피해가 광범위화되어 최악의 원자력 사고가 되었다.

사고 이전의 상황

전날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한 가지 점검이 예정되어 있었다. 발전소-변전소간 전력 공급이 끊길 경우 발전소의 운용 전력도 같이 날아가는 데, 이를 커버할 수 있는 비상발전기는 쓸만한 출력을 내려면 좀 시간이 걸렸다. 그래서 터빈의 관성을 이용해 발전을 하여 비상발전기가 가동할 때까지 얼마나 시간을 벌어줄지 시험을 해볼 예정이었다.

그래서 새벽부터 원자로 출력을 낮추고 비상노심냉각장치(ECCS)를 차단하는 등 실험 준비를 하고 있었으나 변전소로 부터 전력을 공급해 달라는 요청이 들어와서 실험 절차가 중지되고 다시 출력을 높혔다. 이 과정에서 Xe-135가 축적되기 시작한다.

26일 새벽 1시

25일 23시 10분, 변전소의 전력 공급 요청이 끝나서 실험을 다시 재개한다. 4호기의 출력을 720MW까지 낮추는 과정에서 급격히 출력이 30MW까지 떨어져서 운전실에서 일대 혼란이 있었다. 실험은 원자로 출력 700MW에서 진행되어야 했기 때문에 제어봉을 일부 거두어 들여 다시 출력을 높히는 데, 전날 축적된 Xe-135가 중성자를 흡수하여 출력이 200MW에서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원자로가 규정보다 낮은 출력에서 가동하고 삽입된 제어봉은 6개에 불과했음에도 실험은 계속되었으며, 26일 1시경에는 비상 냉각수 펌프 2개를 가동하여 원자로 노심의 수위가 높아졌다.

1시 23분 04초, 실험이 시작되어 터빈으로 향하는 증기 공급이 중단되었다. 터빈이 느려지면서 발전소 내부 전력도 감소했으며 냉각 계통의 냉각수 유량도 15%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에 따라 노심의 온도가 올라가 냉각수가 증기로 바뀌기 시작했으며, 중성자를 잡아줄 냉각수도, 제어봉도 없었으니 핵반응 속도가 급격히 오르기 시작한다.

1시 23분 40초, 이를 파악한 운전실에서 급히 제어봉을 투입하지만 실험 과정에서 다량의 제어봉을 꺼내둔 상태라 모두 삽입하는 데에는 18초라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고,장비를 정지합니다. 안 되잖아? 전날 축적된 Xe-135가 중성자를 흡수하면서 양이 줄어들자 원자로가 폭주하기 시작해서 30만MW까지 출력이 치솟았다. 노심의 냉각수가 죄다 증기로 바뀌어 반응로를 압박하기 시작한다.

1시 24분, 과다한 증기의 압력을 못 견딘 반응로가 2번에 걸쳐 폭발, 발전소 주변에 막대한 방사능 물질을 흩뿌렸고, 감속재인 흑연도 흩어져 산발적인 화재로 이어졌다.

1시 28분, 소방대가 도착하여 화재 진압이 시작된다. 화재는 열흘이 지나서야 완전 진압되었다.

험난한 폐로의 과정

사고 이후

관련항목